$\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ricalcium Silicate-Based 치수복조재에 대한 수 종 수복재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to Tricalcium Silicate-Based Pulp Capping Materials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44 no.2, 2017년, pp.200 - 209  

정화경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Tri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3종의 치수복조재(Theracal $LC^{TM}$, $Biodentine^{TM}$, $ProRoot^{TM}$ white MTA)와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복재인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그리고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 90개를 제작하고 각각 30개씩 3종의 치수복조재로 중심구 안에 채운 다음, 다시 무작위로 10개씩 하위 군을 나누어 치수복조재 상방에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를 적용하여 총 9개 군으로 이루어진 시편을 제작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뒤, 입체현미경을 사용해 파절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heracal $LC^{TM}$-복합레진 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Theracal $LC^{TM}$-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군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다. 복합레진이 수복재로 선택된 군들이 다른 수복재 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가 수복재인 경우 $Biodentine^{TM}$이 다른 치수복 조재 군들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SBS) of three typical restorative materials - glass ionomer cement (GIC), resin-modified glass ionomer (RMGIC) and composite resin (CR) - to different pulp capping materials, i.e., Theracal $LC^{TM}$ (TLC), $Biodentin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수복조재와 수복재 간 결합력은 재료의 물리화학적 특성, 치수복조재와 수복재 간 결합 특성, 그리고 사용된 접착시스템의 종류 및 전처치 과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7,24]. 본 연구는 3종의 tricalcium silicate 기반 치수복조재에 대한 다양한 수복재의 전단결합강도 비교를 목적으로 하여, 기존에 각 재료별로 경화시간이나 접착제 종류, 처치 방법을 변수로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한 논문들을 토대로 가능한 한 최적의 값을 나타낼 수 있는 조건으로 각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재료 각각에 대해 경화시간이나 접착시스템의 종류, 처치 방법 등에 따라 파절양상과 전단결합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수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또한 유사한 레진화합물로 구성되어 레진접착제 내 Hydroxyethyl methacrylate (HEMA)를 매개로 진성 화학결합을 형성함과 동시에, TLC와 CR의 산소저해층 내 미반응 methacrylate group 간 공중합(copolymerization)으로 부가적인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결합력이 강화되었을 것으로 생각된 다[11,12]. 본 연구에서는 self etching보다 total etching 접착시스템 적용 시 더 유지력이 좋은 미세공극이 형성되어 최적의 전단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보고를 토대로, CR군에 공통적으로 total etching 접착시스템을 적용하였다[2,13]. 그 결과, GIC 와 RMGIC군에서의 약산을 이용한 전처치에 비해 인산을 이용한 산부식이 기질의 표면 거칠기를 현저하게 증가시켜 미세기계적 결합과 함께 접착제 침투를 효과적으로 유도함으로써 전단 결합강도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14,15].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종의 치수복조재(ProRoot™ White MTA, Theracal LC™, Biodentine™)와 3종의 수복재 (복합레진, 레진강 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전통적인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간의 결합강도를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 평가하고 파절 양상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Theracal LC™, Biodentine™, ProRoot™ WMTA와 같은 tricalcium silicate 기반의 치수복조재와 임상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복재인 복합레진,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전통적인 글래스아이 오노머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동일선상에서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접치수복조술 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 무엇이 필수적인가? 직접치수복조술 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수 상태의 정확한 진단, 우식 제거, 미세누출 방지, 무균적 술식이 필수적이며, 적절한 치수복조재를 선택해 적용해야 한다[1]. 이때 사용되는 치수복조재는 밀폐능력이 우수하고, 상아질교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하며, 습윤한 환경에서도 경화되고, 적절한 압축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생체친화성 재료이어야 한다[3].
적절한 치수복조재의 조건은 무엇인가? 직접치수복조술 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수 상태의 정확한 진단, 우식 제거, 미세누출 방지, 무균적 술식이 필수적이며, 적절한 치수복조재를 선택해 적용해야 한다[1]. 이때 사용되는 치수복조재는 밀폐능력이 우수하고, 상아질교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어야 하며, 습윤한 환경에서도 경화되고, 적절한 압축강도와 경도를 가지는 생체친화성 재료이어야 한다[3]. 또한 치료 실패의 원인이 주로 잔존 세균에 의한 감염이나 수복물 변연의 미세누출로 인한 새로운 세균의 감염에서 비롯된다는 점에서, 상부 수복재와 안정적인 결합을 이룰 수 있어야 한다[4].
직접치수복조술이란 무엇인가? 건전한 치수 혹은 가역성 치수염이 있는 치아에서 우식, 외상 또는 의인성으로 치수가 노출된 경우, 치수생활력을 보존하기 위해 직접치수복조술을 시행할 수 있다. 직접치수복조술은 우식 등의 자극인자를 제거하고, 치수조직 치유와 수복상아질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수 상방에 생체적합성 재료를 적용하는 술식으로, 치아를 보존하고 미성숙 영구치일 경우 지속적인 치근발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소아청소년치과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khlaghi N, Khademi A : Outcomes of vital pulp therapy in permanent teeth with different medicaments based on review of the literature. Dent Res J, 12:406-417, 2015. 

  2. Cantekin K : Bond strength of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to light-curable mineral trioxide aggregate. J Clin Pediatr Dent, 39:143-148, 2015. 

  3. Gulati S, Shenoy VU, Margasahayam SV :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to conditioned and unconditioned mineral trioxide aggregate surface: An in vitro study. J Conserv Dent, 17:440-443, 2014. 

  4. Ajami AA, Navimipour E, Daneshpooy M, et al. : Comparison of shear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composite resin to three pulp capping agents. J Dent Res Dent Clin Dent Prospects, 7:164-168, 2013. 

  5. Nowicka A, Lipski M, Buczkowska-Radlinska J, et al. : Response of human dental pulp capped with biodentine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 J Endod, 39:743-747, 2013. 

  6. Cantekin K, Avci S :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of two resin-based composites and glass ionomer cement to pure tricalcium silicate-based cement ( $Biodentine^{(R)}$ ). J Appl Oral Sci, 22:302-306, 2014. 

  7. Deepa VL, Dhamaraju B, Bollu IP, Balaji TS : Shear bond strength evaluation of resin composite bonded to three different liners: TheraCal LC, Biodentine, and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using universal adhesive: An in vitro study. J Conserv Dent, 19:166-170, 2016. 

  8. Kaup M, Dammann CH, Schafer E, Dammaschke T : Shear bond strength of Biodentine, ProRoot MTA, glass ionomer cement and composite resin on human dentine ex vivo. Head Face Med, 19;11-14, 2015. 

  9. DeHoff PH, Anusavice KJ, Wang Z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shear bond test. Dent Mater, 11:126-131, 1995. 

  10. Yoon EY, Lee NY, Lee SH : Shear bond strength of giomer and self-etching primer of the dentin. J Korean Acad Pediatr Dent, 37: 422-428, 2010. 

  11. Li J, Liu Y, Sundstrom F, et al. : Flexure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s and their bond strength to dental composites. Acta Odontol Scand, 54:55-58, 1996. 

  12. Kerby RE, Knobloch L : The relative shear bond strength of visible light-curing and chemically curing glass-ionomer cement to composite resin. Quintessence Int, 23:641-644, 1992. 

  13. Bayrak S, Tunc ES, Saroglu I, Egilmez T : Shear bond strengths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white mineral trioxide aggregate. Dent Mater J, 28:62-67, 2009. 

  14. Shin JH, Jang JH, Park SH, Kim E : Effect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surface treatments on morphology and bond strength to composite resin. J Endod, 40:1210-1216, 2014. 

  15. Kayahan MB, Nekoofar MH, Dummer PM et al. : Effect of acid-etching procedure on selected physical properties of mineral trioxide aggregate. Int Endod J, 42:1004-1014, 2009. 

  16. Cengiz E, Ulusoy N : Microshear bond strength of Tri-calcium silicate-based sements to different restorative materials. J Adhes Dent, 18:231-237, 2016. 

  17. Karadas M, Cantekin K, Duymus ZY et al. : Evaluation of the bond strength of different adhesive agents to a resinmodified calcium silicate material (TheraCal LC). Scanning, 10, 2015. 

  18. Hashem DF, Foxton R, Banerjee A, et al. :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esin composite-calcium silicate interface as part of a layered/laminate adhesive restoration. Dent Mater, 30:343-349, 2014. 

  19. Yesilyurt C, Yildirim T, Tasdemir T, Kusgoz A : Shear bond strength of conventional glass ionomer cements bound to mineral trioxide aggregate. J Endod, 35:1381-1383, 2009. 

  20. Raju VG, Venumbaka NR, Elangovan A, et al. : Comparative evaluation of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leakage of tricalcium silicate-based restorative material and radioopaque posterior glass ionomer restorative cement in primary and permanent teeth: an in vitro study. J Indian Soc Pedod Prev Dent, 32:304-310, 2014. 

  21. Ballal S, Venkateshbabu N, Nandini S, Kandaswamy D : An in vitro study to assess the setting and surface crazing of conventional glass ionomer cement when layered over partially set mineral trioxide aggregate. J Endod, 34:478-480, 2008. 

  22. Eid AA, Komabayashi T, Watanabe I, et al. : Characterization of the mineral trioxide aggregate-resin 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interface in different setting conditions. J Endod, 38:1126-1129, 2012. 

  23. Camilleri J : Investigation of Biodentine as dentine replacement material. J Dent, 41:600-610, 2013. 

  24. Lee SR, Moon YM, Hwang SJ, Seo MS : The effect of acidetch procedure on the bond between composite resin and mineral trioxide aggregate. Korean J Dent Mater, 41:53-5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