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재취업욕구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employment Need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Career Interrupted Woma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310 - 323  

신연하 (건국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  이동명 (건국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구직의사와 구직활동의 재취업욕구 차이를 분석하여 이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과 직업교육, 개인특성과 재취업욕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실증분석 하였다. 경력단절여성 중 직업교육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15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일원변량분석과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2.0v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욕구에 차이가 있으며, 구직의사와 구직활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과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and information in order to support economic activity of career interrupted woman by analysis the differences between seeking work ne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 and re-employment need of job-seeking activities. This study includes the result...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에 따른 재취업 욕구 차이를 분석하고자 인구집중지역인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경력단절여성 중 직업교육 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6년 10월 20∼11월 20일까지 총200부를 배포하여, 175부를 회수하였고 회수율은 75% 이었으며, 무응답 및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25부를 제외하고 총 150부를 분석하였다.
  •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요인, 직업교육과 만족도, 재취업 결정요인 등에 관한 연구들로써 개인특성과 재취업욕구 차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개인특성이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고려한 것으로[8][9], 경력단절여성 중 직업교육경험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경력단절여성들의 개인특성에 따라 재취업욕구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경력단절여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도 및 정책 도입과 직업 교육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경력단절여성들의 개인특성은 개인 내적인 문제에 의해서만 야기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어떤 특성이나 가족구성원 및 환경 등의 특성을 포함하고 있다[17]. 본 연구에서는 개인특성이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인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경제활동경험, 경제활동참여여건, 직업교육경험 등을 채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재취업욕구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경력단절여성의 인력 활용과 경제활동인구 증가를 위한 직업교육 및 향후 고용정책의 중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경력단절여성은 경제활동경험에 따라 구직의사, 구직활동에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력단절여성이란 무엇인가? 2008년 제정된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촉진법’에 의하면 경력단절여성이란 임신·출산·육아와 가족구성원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하였거나 경제활동경험이 없는 여성 중에서 취업의사가 있는 여성을 말한다[1]. 경력단절여성 중 근로의지도 있고, 취업에 대한 필요도 느끼고 있지만 자녀 양육 등의 이유로 당장 취업하지 못할 상황에 처해 있는 여성이 대부분이지만[8], 경력단절의 문제는 기혼여성만이 아니라 미혼 여성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6].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이유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경제활동참여여건은 재취업이유, 재취업시 장애요인, 재취업시 직업선택 기준 등으로 향후 경제활동 참여에 관한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21][24]. 재취업이유는 생계와 경제적 이유, 자아실현과 자기개발, 인간관계와 소속감 등이 있었으며, 이 중에서 생계와 경제적 이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24]. 재취업시 장애요인으로는 육아와 가사, 정보와 자격부족, 자신감 부족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에서 육아와 가사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가장 많았다[7][21].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은 경력기간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가? 경제활동경험은 경력단절여성들이 경력단절 이전에 경험했던 직장생활을 의미하며, 경력기간, 근무직종, 경력단절이유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직장경험을 분석하는데 객관적 사실을 측정하는 것이다[11][22]. Stier와 Yaish[22]는 경력기간이 짧을수록 재취업욕구와 재취업률이 낮아지고, 경력기간이 길수록 재취업욕구가 강하다고 하였다. 박재규[11]의 연구에 의하면 경력단절 여성의 이전 근무직종이 사무직, 전문직일 경우 다른 직종에 비하여 재취업욕구가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기업에서는 서비스 또는 단순직 인력을 보다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권희경, "경력단절기혼여성의 재취업욕구 관련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98, 2010. 

  2. 고은주, "여성직업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4권, 제4호, pp.279-298, 2010. 

  3.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페미즘연구, 제16권, 제1호, pp.321-359, 2016. 

  4.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016. 

  5. 김정희, 변상해, "직업교육과 경력단절여성의 창업의지, 재취업욕구의 관계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4호, pp.237-246, 2016. 

  6. 김선화, "부산지역 경력단절 여성의 취업욕구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문집, 제21집, pp.95-131, 2010. 

  7. 류호상, 장인봉, 염영배,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정책함의- 경기도 사회적기업의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3권, 제1호, pp.51-75, 2013. 

  8. 이정숙, 강기정, "경력단절여성의 희망근로형태(시간제/전일제)에 영향을 미치는 재취업결정요인,"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8권, 제4호, pp.23-51, 2015. 

  9. 김난주,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과 재취업 이후 고용유지 분석," 산업관계연구, 제26권, 제2호, pp.1-27, 2016. 

  10. 황윤주, 이희수,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활용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지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서울시 S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제33권, 제6호, pp.55-79, 2014. 

  11. 전혜숙, "경력단절여성의 지속가능한 경력개발로 '고용률 70%'달성," 여성우리, 제50권, pp.7-14, 2013. 

  12. 김지영, 김안나, "고교유형과 학교교육경험의 차이가 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사회학회, 제24권, 제2호, pp.93-116, 2014. 

  13. 송강영, 이태용, "전문대학체육전공자의 개인특성에 따른 직업가치관 차이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1호, pp.399-406, 2009. 

  14. 하정윤, 김정민, 강지연, 차지철, "대학생 핵심역량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의 차이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80-89, 2017. 

  15. 임언, 박보경, 현진실, "청소년의 직업가치관 변화: 2001년-2011년," 진로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9-37, 2012. 

  16. 박재규, "경기도 경력단절여성의 취업욕구 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GRI 연구논총, 제12권, 제2호, pp.225-252, 2010. 

  17. 조윤아, 박민규, 문윤걸, "창업교육 전후 창업인식에 관한 연구-M대학교 시니어 창업교육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433-446, 2015. 

  18. 손영미, 박정열,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65-184, 2016. 

  19. P. Haan and K. Wrohlich, "Can child care policy encourage employment and fertility? Evidence from a structural model," Labour Economics, Vol.18, pp.498-512, 2011. 

  20. L. Ma, "Female Employment and Fertility Change in South Korea," Stockholm University Demography Unit. Dissertation Series 11, Vol.5, No.5, 2014. 

  21. 하애란, "여성고용지원을 위한 노동법적 과제-여성의 경력단절요인과 재취업욕구를 중심으로-," 여성정책논집, 제10권, pp.471-508, 2010. 

  22. H. Stier and M. Yaish, "The Determinants of women's employment dynamics: The Case of Israel women," European Socialogical Review, Vol.19, pp.1-15, 2008. 

  23. 오은진, 신선미, 박수범, 정희영, "경력단절여성 유형에 따른 사례관리 방안," 여성가족부 연구보고, 2016-92, 2016. 

  24. 윤혜경,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진로 탐색 경험," 한국평생교육학회, 제14권, 제1호, pp.83-112, 2008. 

  25. E. Bendien, "Ambiguities of work satisfaction for middle-aged and older career women in the Netherlands: Stretching a tradition," European Journal of Women's Studies, Vol.4, No.11, 2014. 

  26. 여성가족부,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훈련 성과분석 및 개편방안 연구, 연구보고, 2015-42, 2015. 

  27. 김희연,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 방안 연구, 한국폴리텍 I대학 산학협력단 위탁연구, 2006-03, 경제사회연구부, pp.172-173, 2006. 

  28. M. T. Ford, B. A. Heinen, and K. L. Langkarmer,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No.1, pp.57-80, 2007. 

  29. 여성가족부, 여성새로일하기 센터 재취업 경력단절 여성 고용유지 현황조사, 연구보고, 2014-23, 2014. 

  30. 전국경제인연합회, 500대 기업 일.가정 양립과 제도, 조사 보고서, 2016. 

  31. 서울특별시 50플러스재단, 앙코르커리어 핸드북, 마르씨 알보허, 2017. 

  32. 류지영, 경력단절여성들의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제언,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2014. 

  33. 백재현, 경력단절여성의 현황과 외국의 지원사례, 정기국회 정책자료집,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