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력 단절 기혼 여성의 재취업 욕구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the Desire of Married, "Career-interrupted" Women to be Re-employed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1 = no.103, 2010년, pp.87 - 98  

권희경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esire of married women to be re-employed and the factors related to this desire. The study gathered information from 240 women who gave up their jobs and careers after marriage. Information included their career history, current psycho-social co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러한관점에서 본 연구는경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를파악하고, 이를 형성하는데 관련되는 개인 특성 과 가족 특성의관계 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우리 나라경력 단절 여성을 이해하고, 경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위한경 력 개발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연구 모형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가정 경제적 특성, 사회심리적특성'자녀 양육 특성'가족 내·외부지원의 독립 변인들이 상호작용하면서 경 력 단절 여성의 재취업 욕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될 것으로 가정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구명숙?홍상욱(2005a). 기혼여성의 재취업 구조에 관한 사례 연구: 전업주부 재취업훈련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 관리학회지, 23(3), 153 - 167. 

  2. 구명숙?홍상욱(2005b).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대에 따른 육아 지원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31 - 546. 

  3. 김순원(2001). 여성 직업능력개발훈련 활성화 방안, 한국산업 인력공단. 

  4. 김영경(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 재취업교육의 문제와 개선 방안, 서강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주영(2009). 성별 임금격차와 여성의 경력단절. 월간 노동리뷰, 2009(7), 38-51. 

  6. 김지경(2004a). 첫 자녀 출산 후 노동시장 신규진입의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1), 69 - 79. 

  7. 김지경(2004b).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2(3), 91 - 104. 

  8. 김지연?심인선(2007). 경남 여성 취업 및 경력 개발 원스톱 서비스 구축, 경남 발전 연구원 중간보고서. 

  9. 김희연(2006). 고학력 경력단절여성의 인적자원 활용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위탁 과제 보고서. 

  10. 박경숙(2003). 한국 여성의 생애 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 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11. 서지원(1997). 사무직 기혼여성의 출산후 쥐업지속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오은진?김승연?심인선?박미연(2008). 경력단절여성의 취업 제고를 위한 직업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여성부 연구 용역보고서. 

  13. 은기수(2002). 여성취업이행 경로의 생애과정 씨퀀스(sequence) 분석. 한국인구학, 25(2), 107-138. 

  14. 이번송?장수명?김재경(2003). 여성취업률의 지역별 차이에 관한 연구 - 결혼의 효과를 중심으로 -. 경제학 연구, 51(1), 35 - 59. 

  15. 최정원(2005).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장벽 지각에 관한 연구, 현대기술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황수경(2006) 고학력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위한 맞춤형 직업훈련 지원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7. Boushey, H. (2005). Are Women opting out? Debunking the myth. Washington, DC. Center for Economic and Policy Research. 

  18. Charles, N. & Harris, C.(2007). Continuity and change in work?life balance choices.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Volume 58 Issue 2, Pages 277-295. 

  19. Desai, S. & Waite, L. (1991). The effect of child care costs on married women's lavor force participa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4, 83 - 90. 

  20. Glass, J. L. and L. Riley. 1998. "Family Responsive Policies and Employee Retention Following Childbirth," Social Forces. 76(4):401-35. 

  21. Gupta, N. D., & Smith, N. (2002). Children and Career Interruptions: The Family Gap in Denmark. Economica, New Series, 69, 609-629. 

  22. He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 326-339. 

  23. Jones, R. (2005). The Labour Market in Korea: Enhancing Flexibility and Raising Participation. No 469, OECD Economics Department Working Papers from OECD, Economics Department. Online from http://www. olis.oecd.org/olis/2005doc.nsf/linkto/ECO-WKP( 2005)56. 

  24. Klerman, J. A. and A. Leibowitz. 1999. "Job Continuity among New Mothers," Demography. 36(2):145-55. 

  25. Lovejoy, M. C., & Stone, P. (2006). "Sidetracked: Professional women's career interruption and redire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Montreal Convention Center, Montreal, Quebec. 

  26. Lovell, R. E. and Slomczynski, K. M. (2005). "Effects of Occupational Career Interruptions on Income for Women and Men: Sweden and Poland"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Marriott Hotel, Loews Philadelphia Hotel, Philadelphia, PA. Online from http:// www.allacademic.com/meta/p21905_index.html 

  27. Min, H. (2006). "What Do Female Jobs Do for Women's Job Continuity?: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and Women's Job Exits in the U.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1):185-207 

  28. Nakamura, J., & Ueda, A. (1999). On the determinants of career interruption by childbirth among married women in Japan. Journal of the Japanese and International Economies, 13(1), 73-89. 

  29. OCED. (2008). OECD Employment Outlook. 

  30. Spence, J. T., & Helmreich, R. L. (1983). Achievement-related motives and behaviors. In J. T. Spence (Ed.), Achievement and achievement motives: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approaches (pp. 7-74). San Francisco: W.H. Freeman and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