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돌봄지원 개념화: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Conceptualizing Caregiving Supports for Familie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Concept Mapping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498 - 509  

김유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 ,  최복천 (전주대학교 재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애아동 부모 및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돌봄지원이 제공되고 있지만 몇몇 한계점이 지적되면서 최근 들어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 및 서비스제공자의 관점에서 장애아동 가족의 돌봄부담 경감을 위해 필요한 돌봄지원의 내용 및 범위를 파악하고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욕구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개념도 연구법이 사용되었다. 개념도 연구법에 따라 먼저 장애아동 부모 두 집단과 사회복지사 한 집단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행하여 총 31개의 돌봄지원 내용요소(진술문)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은 이 진술문들을 개념적 유사성에 따라 분류하고 상대적 필요도에 따라 평정하였다. 다음으로 분류자료들은 다차원 척도법군집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평정자료들에 대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 돌봄지원 내용요소 31개는 4개의 범주로 개념화되었으며, 모든 범주의 필요도 점수는 높게 나타났다: 일상적 돌봄, 활동중심 돌봄, 부모 돌봄역량 강화, 가족관계 강화. 본 연구결과는 돌봄지원제도 개선 및 지원정책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egiving supports have been provided to decrease caregiving burdens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there are needs for improving caregiving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content items and domains of caregiving supports from the perspectives of parents an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적절한 군집의 수를 결정하는 것으로[25] 본 연구에서는 군집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통해 도출된 19개 군집부터3개의 군집까지 차례대로 검토하면서 다음의 2가지 측면을 고려하였다. 먼저, Trochim[24], Kane과 Trochim[25]이 제안한 것처럼 연구의 목적에 잘 부합하는 범주의 수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진은 군집 분석을 통해 생성된 19개 군집부터 3개의 군집까지 차례대로 검토하면서 돌봄지원 욕구가 명확히 드러나도록 진술문이 범주화되었는지 판단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아동 돌봄지원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부족한 국내 상황에서 장애아동 부모 및 현장 전문가의 목소리를 통해 돌봄지원 구성요소 및 범위를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단순돌봄이나 이동지원으로만 한정되어 있는 돌봄지원이 장애아동 발달특성 및 요구에 조응하는 유연한 서비스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즉 한 군집의 브리징 값이 낮다는 것은(0에 가까울수록) 각 군집에 포함된 진술문들이 개념적으로 더 유사하다는 것을의미한다[24][25].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들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한 4개 군집부터 6개 군집까지 각 경우의 평균 브리징 값을 검토하였다[표 2]. 그 결과 4개의 군집으로 범주화할 경우 평균 브리징 값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돌봄지원의 내용 및 범위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의 부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또한 돌봄지원 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장애아동 부모의 욕구에 대한 이해가 풍부한 사회복지사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 하지만「장애아동복지지원법」에서조차 돌봄지원에 대한 명확한 개념 정립이 부족하여 돌봄지원 내용 및 범위에 대한 정책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 및 서비스제공자의 관점에서 돌봄지원 제도를 통해 제공되어야 할 구체적 지원내용 및 범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4][19] 연구자가 개발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부모 및 전문가의 돌봄지원의 욕구를 검토하고 있어 돌봄지원 요소 및 범위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 및 서비스제공자의 관점에서 장애아동 가족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필요한 돌봄지원의 구성요소 및 그 범위를 파악하고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돌봄지원 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 지원정책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장애아동 돌봄지원 정책을 마련하기 시작하였는데,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장애아가족양육지원’과 ‘장애인활동지원’이 있다. 장애아가족양육지원은 장애아동 가정에 돌보미를 파견하여 장애아동 보호 및 휴식지원을 제공하고, 그 가족에게 문화 및 교육 프로그램, 상담 등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서비스 대상이 전국가구 월평균 소득 100%이하의 장애아동 가족으로만 한정되어 있어 대부분의 가정은 이용대상에서 제외되며, 주로 일상적 돌봄만을 제공하여 서비스의 범위가 제한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외에서 휴식서비스를 마련하고 있는 이유는? 장애아동 부모 및 가족이 겪는 돌봄부담의 심각성이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이에 대한 정책적 요구가 표출되면서 국외에서는 장애아동 돌봄지원 정책의 하나로 휴식서비스(respite care)를 마련하고 있다[9]. 휴식서비스는 부모에게는 장애아동의 돌봄부담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벗어나 휴식시간을 갖게 하고, 장애아동에게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9] 가족이 처한 상황 및 욕구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장애아동 가족이 겪는 어려움은? 장애아동 가족은 장애아동으로 인해 긍정적인 정서와 변화를 경험하기도 하지만[1][2] 신체적 부담, 심리적 불안정, 사회활동의 제약 등 어려움을 겪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여러 선행연구들을 통해 보고되고 있는데, 부모는 장애아동 돌봄 과정에서 육체적 소진, 사회적 고립, 심리적 우울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3-7].
영국에서 제공되는 휴식서비스 사례는? 휴식서비스는 부모에게는 장애아동의 돌봄부담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벗어나 휴식시간을 갖게 하고, 장애아동에게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9] 가족이 처한 상황 및 욕구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영국에서는 돌보미가 장애아동 가정에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일상적인 돌봄(예, 식사, 신변처리)을 제공하기도 하고, 지역센터 및 교육기관을 통해 운영되는 주말프로그램(weekend respite scheme) 혹은 방학프로그램(summerschool program)에 장애아동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한다. 이와 유사하게 호주에서도 가정방문 돌봄 서비스, 방과후프로그램, 방학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아동의 일상적인 돌봄뿐 아니라 여가 및 문화 활동의 활발한 참여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 Scorgie and D. Sobsey, "Transformational outcomes associated with parenting children who have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Vol.38, No.3, pp.195-206, 2000. 

  2. A. Turnbull and R. Turnbull,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Collaborating for empowerment, Merrill, 2011. 

  3. 오혜경, 백은령, 한민우, 지적장애인 가족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보고서,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 2007. 

  4. 유영준, 이명희, 백은령, 최복천, "장애아동.청소년 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 제10권, 제1호, pp.209-234, 2011. 

  5. 유영준, 백은령, "가족중심실천이 장애아 가족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2집, pp.207-225, 2013. 

  6. 이지수, "장애아동 가족의 자녀 양육부담 및 서비스 욕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8집, pp.71-100, 2008. 

  7. L. Woolfson and E. Grant, "Authoritative parenting and parental stress in parents of preschool and old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hild Care Health Development, Vol.29, No.2, pp.144-177, 2006. 

  8. T. Heller, J. Caldwell, and A. Factor, "Aging family caregivers: Policies and practic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Vol.13, No.2, pp.136-142, 2007. 

  9. J. Robertson, C. Hatton, E. Wells, M. Collins, S. Langer, V. Welch, and E. Emerson, "The impacts of short break provision on families with a disabled child: an international literature review,"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Vol.9, No.4, pp.337-371, 2011. 

  10. H. MacDonald and P. Callery, "Different meanings of respite: A study of parents, nurses and social workers caring for children with complex need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Vol.30, No.3, pp.279-288, 2004. 

  11. B. Davies, R. Steele, B. J. Collins, K. Cook, and S. Smith, "The impact of families of respite care in a children's hospice program," Journal of Palliative Care, Vol.20, No.4, pp.277-286, 2004. 

  12. N. Eaton, "I don't know how we coped before: A study of respite care for children in home and hospic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17, No.23, pp.3196-3204, 2008. 

  13. B. Wilkie and O. Barr, "The experien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 respite care services," Learning Disability Practice, Vol.11, No.5, pp.30-36, 2008. 

  14. R. McConkey, F. Kelly, H. Mannan, and S. Craig, "Inequalities in respite service provision: Insights from a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Applied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Vol.13, No.1, pp.85-94, 2010. 

  15. 김성희, 황주희, 이연희, 오미애, 이송희, 변경희, 이웅, 중증장애인 보호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정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16. 최복천, 김유리, "장애아동 부모가 인식하는 활동지원서비스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9권, 제3호, pp.207-226, 2016. 

  17. 이승기, 김기룡, 백은령, 전혜연, 이계윤, 조윤경, 최복천, 최윤영,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복지지원체계연구, 보건복지부, 2011. 

  18. 최복천, 김유리, 김진우, 김치훈, 심석순, 양희택, 오다은, 장애아동에 대한 양육지원 및 활동지원사업의 통합적 운영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5. 

  19. 김기룡, 강경숙, 이명희, "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 이용 현황 및 만족도 조사," 특수교육, 제15권, 제4호, pp.205-229, 2016. 

  20. 이영미, "장애인가족지원 서비스 욕구조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집, pp.35-65, 2014. 

  21. 최지선, 이익섭, 김재형, "활동보조서비스를 이용하는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2집, pp.31-60, 2010. 

  22. J. B. Chan and J. Sigafoos, "A review of child and family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use of respite care in developmental disability services," Child & Youth Care Forum, Vol.29, No.1, pp.27-37, 2000. 

  23. 오혜경, "영유아기 장애아동에 대한 조기개임에 있어 가족중심적 지원에 관한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제7권, 제1호, pp.39-60, 2002. 

  24. W. M. Trochim,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2, No.1, pp.1-16, 1989. 

  25. M. Kane and W. M. Trochim,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Sage, 2007. 

  26. K. Jackson and W. M. Trochim, "Concept mapping as an alternative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open-eneded survey response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5, No.4, pp.307-336, 2002. 

  27. Concept Systems Inc., The Concept system facilitator training seminar manual, Concept Systems Incorporated, 2015. 

  28. R. Bedi, "Concept mapping the client's perspective on counselling alliance form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3, No.1, pp.26-35, 2006. 

  29. R. Bedi and D. Alexander, "Using multivariate concept-mapping for examining client understanding of counseling," Canadian Journal of Counseling, Vol.43, No.2, pp.76-91, 2009. 

  30. S. Rosas and M. Kane, "Quality and rigor of the concept mapping methodology: A pooled study analysi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35, No.2, pp.236-245, 2012. 

  31. B. Paulson, and R. Everall, "Suicidal adolescents: Helpful aspects of psychotherapy," Archives of Suicide Research, Vol.7, No.4, pp.309-321, 2003. 

  32. 김기룡, 이명희, "모듈식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73-95, 2013. 

  33. S. Miller, "Respite care for children who have complex healthcare needs," Paediatric Nursing, Vol.14, No.5, pp.33-37, 2002. 

  34. S. Neufeld, B. Query, and J. E. Drummond, "Respite care users who have children with chronic conditions: Are they getting a break?,"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16, No.4, pp.234-244, 2001. 

  35. 이채식, "장애인 활동보조인의 활동보조서비스 제공 실태 분석," GRI 연구논총, 제13권, 제1호, pp.123-144, 2011. 

  36. 최복천, 임수경, 유영준, "장애아동의 긍정적 기여가 부모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8권, 제3호, pp.73-93, 2014. 

  37. J. Blacher and B. Baker, "Positive impact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families,"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Vol.112, No.5, pp.330-338, 2007. 

  38. A. Kayftizal, M. Gragg, and R. Orr, "Positive experiences of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ho have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Vol.23, No.4, pp.337-343, 2010. 

  39. Y. Chung, S. Lee, and B. Chung, "Attitudes and determinants of the risk pattern typ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Bulletin, Vol.30, No.2, pp.199-220, 2003. 

  40. 배은경,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41. 오혜경, 전혜연, "장애아동 부양가족의 양육부담 및 가족지원 욕구," 한국가족복지학, 제9권, 제1호, pp.79-100, 200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