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0 no.3, 2017년, pp.235 - 239  

고은혜 (Toxicology Laboratory, Major in Biomaterial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박은미 (Toxicology Laboratory, Major in Biomaterial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  김민영 (Toxicology Laboratory, Major in Biomaterials, SARI, Jeju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0, 1, 2, 및 4% (w/v)의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막걸리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그리고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첨가 결과 DPPH, hydrogen peroxide, nitric oxide 및 superoxide onion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nt content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0, 1, 2, and 4% (w/v) Jeju camellia mistletoe during fermentation.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ended to incre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겨우살이는 여러 종류의 나무를 숙주로 하여 수분과 영양분 등을 취하며 자체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능력을 지닌 반기생성 식물로(Kang 등, 2016), Lectin, Amyrin, Viscine, Inositol 및 Flavonoids 등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항균, 항암 및 면역증강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지만(Park 등, 2003; Lee 등, 2010; Kang과 Chung 2012), 타 지역과 달리 독특한 기후와 토양을 지닌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이나 생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전통주인 막걸리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제주 전통 누룩과 쉰다리 제조 방법을 응용하여 동백나무 겨우살이가 첨가된 막걸리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생리활성 성분과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0, 1, 2, 및 4% (w/v)의 제주 동백나무 겨우 살이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막걸리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그리 고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의 영양적인 특징은? 우리나라의 전통주인 막걸리는 오미가 고루 조화되고 생효묘가 함유되어 있어 다른 주류와 비교할 수 없는 독특한 맛을 가지고 있다(Park 등, 2016). 또한 쌀을 원료로 누룩을 이용하여 빚는 발효 곡주로서 당질, 비타민 B군 및 다양한 아미노산(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glycine)들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영양가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Baek 등, 2013). 막걸리는 멥쌀, 찹쌀, 소맥분 등을 주로 사용하지만 옥수수, 고구마, 보리, 좁쌀, 블루베리, 울금 등 다양한 지역 특산물이 함유된 첨가 막걸리에 대한 개발 및 그발효특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Kim과 Eun 2012; Baek 등, 2013; Choi 등, 2013).
막걸리의 재료로 쓰이는 것은? 또한 쌀을 원료로 누룩을 이용하여 빚는 발효 곡주로서 당질, 비타민 B군 및 다양한 아미노산(valine, leucine, serine, proline, glycine)들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영양가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Baek 등, 2013). 막걸리는 멥쌀, 찹쌀, 소맥분 등을 주로 사용하지만 옥수수, 고구마, 보리, 좁쌀, 블루베리, 울금 등 다양한 지역 특산물이 함유된 첨가 막걸리에 대한 개발 및 그발효특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Kim과 Eun 2012; Baek 등, 2013; Choi 등, 2013).
겨우살이의 효능은? 겨우살이는 여러 종류의 나무를 숙주로 하여 수분과 영양분 등을 취하며 자체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능력을 지닌 반기생성 식물로(Kang 등, 2016), Lectin, Amyrin, Viscine, Inositol 및 Flavonoids 등을 함유하여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항균, 항암 및 면역증강 등의 효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지만(Park 등, 2003; Lee 등, 2010; Kang과 Chung 2012), 타 지역과 달리 독특한 기후와 토양을 지닌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이용한 가공식품이나 생리학적 활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산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전통주인 막걸리에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제주 전통 누룩과 쉰다리 제조 방법을 응용하여 동백나무 겨우살이가 첨가된 막걸리를 제조하고 이에 대한 생리활성 성분과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을 조사하 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k CH, Choi JH,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Yeo S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Microbiol Biotechnol Lett 41: 168-175 

  2. Cho JY, Shim HJ, Jo YL, Ma SJ, Kim SJ, Moon JH, Park KH (2014) Fermentation characteriz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Makgeolli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Tea. The Korean The Tea 20: 79-85 

  3. Choi KW, Lee JK, Jo HJ, Lee KJ, Yoon JA, An JH, Chung KH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75-982 

  4. Hong YH, Bae SH, Jung EY, Son HS, Shin KS, Kwon KH, Suh HJ (2009)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Takju. J Food Sci Nutr 14: 109-115 

  5. Kang DH, Kim MY (2015) Comparativ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Honey and Honeycomb extracts. J Life Sci 25: 1169-1175 

  6. Kang DH, Park EM, Kim JH, Yang JW, Kim JH, Kim MY (2016)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J Life Sci 26: 1074-1081 

  7. Kang SJ, Chung SK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Korean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v 19: 919-924 

  8.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9. Kim JH, Kim MY (2012) Enhancement of bioactive components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after continuous anaerobic incubation. J Agr Sci Tech 14: 837-844 

  10. Kim JH, Kim MY (2016) The potential use of citrus juice waste as sources of natural phenolic antioxidants. J Appl Pharm Sci 6: 202-205 

  11. Kim OS, Park SS, Sung JM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black ric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93-1700 

  12. Kim SY, Park EJ (201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hindari added with Carrot. Korean J Food Cook Sci 31: 9-17 

  13. Kwang JY (2010) Development and quality feature of colored tradition wine fermented using black rice. MS Thesis. Dong-A University 

  14. Kwon TH, Kim JK, Kim TW, Lee JW, Kim JT, Seo HJ, Kim MJ, Kim CG, Jeon DS, Park NH (2011) Antioxidant and anti-lipase activity in Halocynthia roretz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64-468 

  15. Lee AR, Oh EY, Jeong YJ, Noh J-G, Yoon H-S, Lee KY, Kim YG, Eom HJ (2015a) Quality characterit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ve methods. Korean J Food Nutr 28: 602-611 

  16. Lee HJ, Do JR, Kwon JH, Kim HK (2010) Antioxidant effects of Viscum album L. extracts by extraction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19 

  17. Lee JE, Kim JH, Kim MY (2015b) Changes in phenolic composition,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properties of Jeju Citrus sudachi as influenced by Maturity. J Life Sci 25: 1311-1318 

  18. Lee JK, Jo HJ, Kim KI, Yoon JA, Chung KH, Song BC, An JH (2013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the fruit of Akebia quinata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619-627 

  19. Lee JM, Lee HN, Chang YH (2013b)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using angelica gigas nakai water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20. Park CH, Park CG, Bang KH, Park HW, Seong NS (2003) Plant growth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istel (Viscum album var. coloratum (kom.) Ohwi).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122-126 

  21. Park MJ, Kim HK, Choi KK, Koo BY, Lee SK (201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27-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