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예비과학교사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through Open Inquiry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1 no.5, 2017년, pp.263 - 276  

조제희 (이화여자대학교) ,  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방형 탐구 경험이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 내 과학교육과에서 개설된 '탐구화학실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10개의 주제로 개방형 탐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개방형 탐구 실험은 제시된 현상을 관찰한 후 조별로 탐구문제를 설정하여 가설을 세우고, 직접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세 차례에 걸친 검사지와 개인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p<.05). 하위 영역 중에서는 창의성, 초도덕성, 사회성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 외에도 개인 면담을 통해서 과학 지식의 주관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친 것이 관찰되었다. 둘째,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학생들이 개방형 탐구를 경험한 초반에는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가 다소 부정적이었으나 계속해서 경험할수록 긍정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cientific inquir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d open inquiry. The study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of open inquiry-based chemistry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40 pr...

주제어

표/그림 (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탐구 실험 과목이 새롭게 도입된 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단순히 과학 탐구 요소를 제시하던 과거의 과학과 교육과정2,3과 달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 정에서는 학생들이 탐구 과정에서 경험해야 할 통합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과학 탐구가 단순히 기능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절차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경험함으로써 이해하는 것이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 지식의 학습과 자연 현상에 대한 흥미, 호기심과 태도 등의 정의적 요소의 함양이며, 더 나아가 과학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서의 과학을 이해하고 탐구 능력과 과학적 소양을 신장하도록 하는 것이다1. 이에 ‘과학 탐구 실험’이라는 과목이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탐구 과정 에서 학생들이 경험함으로써 이해해야 할 8가지 탐구 기능이 제시되었다1.
과학 탐구 실험 과목에 제시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밝히고 있는 과학교육의 목표는 과학 지식의 학습과 자연 현상에 대한 흥미, 호기심과 태도 등의 정의적 요소의 함양이며, 더 나아가 과학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서의 과학을 이해하고 탐구 능력과 과학적 소양을 신장하도록 하는 것이다1. 이에 ‘과학 탐구 실험’이라는 과목이 새롭게 도입되었으며, 탐구 과정 에서 학생들이 경험함으로써 이해해야 할 8가지 탐구 기능이 제시되었다1. 단순히 과학 탐구 요소를 제시하던 과거의 과학과 교육과정2,3과 달리,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 정에서는 학생들이 탐구 과정에서 경험해야 할 통합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Notice No. 2015-74, 2015. 

  2. Kim, B. K.; Kown. J. 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94, 14, 251. 

  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Science-a process approach?. Washington, DC: 1990. 

  4. Anderson, R. D.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002, 13, 1. 

  5. Driver, R.; Newton, P.; Osborne, J. Science education, 2000, 84, 287. 

  6. Kim, H. K.; Song, J. W.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3, 23, 254. 

  7. Han, S. J.; Choi, S. U.; Noh, T.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2, 32, 82. 

  8. Park, G. N.; Kim, Y. 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7, 31, 1. 

  9. Yang, I. H.; Jeong, J. W.; Hur, M.; Kim, S. 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6, 26, 342. 

  10. Wellington, J. J.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2002. 

  11. Bell, R.; Blair, L. M.; Crawford, N. A.; Lederman, N.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3, 40, 487. 

  12. Hofstein, A.; Lunetta, V. Science Education, 2004, 88, 28. 

  13. Lee, H. C.; Lee, J. H.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0, 34, 405. 

  14. Richmond, G.; Striley, J.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6, 33, 839. 

  15. Martin-Hansen, L. The Science Teacher, 2002, 69, 34. 

  16. Willison, J.; O'Regan, K.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007, 26, 393. 

  17. Zion, M.; Shapira, D.; Slezak, M.; Link, E.; Bashan, N.; Brumer, M.; Mendelovici, R.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2004, 38, 59. 

  18. Hofstein, A.; Lunetta, V.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1982, 52, 201. 

  19. Sandoval, W. Science Education, 2005, 89, 634. 

  20. Schwartz, R. S.; Lederman, N. G.; Crawford, B. A. Science Education, 2004, 88, 610. 

  21. Kim, M. K.; Kim, H. B.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8, 28, 565. 

  22. Kim, J. Y.; Kang,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7, 27, 169. 

  23. Martin-Dunlop, C.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3, 43, 873. 

  24. Song, Y.; Schwenz, R.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013, 42, 50. 

  25. Jeong, D. H.; Bang, J. A.; Choi, C. I.; Choe, W. 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06, 50, 385. 

  26. Moebius-Clune, B.; Elsevier, I. H.; Crawford, B. A.; Trautmann, N. M., Schindelbeck, R. R.; van Es, H. M. Journal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s Education, 2011, 40, 102. 

  27. Lee, G. H.; Kim, S. J.; Park, J. W.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009, 19, 1. 

  28. Lim, J. K.; Yang, I. H.; Hong, E. J.; Lim, S. M.; Kim, S. 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0, 30, 291. 

  29. Berg, A. C.; Bergendahl, C. V.; Lundberg, B. K.; Tibell, L. 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3, 25, 351. 

  30. Chatterjee, S.; Williamson, V. M.; McCann, K.; Peck, L. M.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09, 86, 1427. 

  31. Windschitl, 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1, 23, 17. 

  32. Abd-El-Khalick, F.; Lederman, N. 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 665. 

  33. Akerson, V. L.; Abd-El-Khalick, F.; Lederman, N.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0, 37, 295. 

  34. Koch, J. Science stories: science method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4th ed.), Cengage Learning: 2010. 

  35. Paeng, A. J.;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5, 25, 146. 

  36. Jin, S. H.; Jang, S. H.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007, 26, 181. 

  37. Cho, S. M.; Baek, J.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5, 35, 573. 

  38. Kim, M. S. The meta-analysis of studies by views on nature of science,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nagju, Korea, February, 2008. 

  39. Rubba, P. A.; Anderson, H. O. Science Education, 1978, 62, 458. 

  40.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Schwartz, R.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2, 39, 497. 

  41. Knorr C. K. Epistemic Cultures: How the Sciences Make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2. Schwartz, R.; Lederman, N. 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8, 30, 727. 

  43. Aikenhead, G. S.; Ryan, A. G. Science Education, 1992, 76, 477. 

  44. Lim, J. H.; Kang, S. M.; Kong, Y. T.; Choi, B. S.; Nam, J.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4, 24, 1143. 

  45. Fraser, B. J.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Ailanby Press: 1981. 

  46. Lee, S. H.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Scientific Experiments for Advancement of Hypothetical Thinking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February, 2005. 

  47. Miles, M. B.; Huberman, A. M. Qualitative Data Analyse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Sage publication: 1984. 

  48. Liu, S.; Lederman, N. 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7, 29, 1281. 

  49. Kang, S. H.; Woo, A. J. Inquiry General Chemistry Experiments; Bookshill: 2008. 

  50. Lee, H.; Songer, N. B.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3, 25, 923. 

  5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rriculum, Notice No 2009-41, 2010. 

  52.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A high School Framework for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Scope, Sequence, and Coordination of Secondary School Science;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2002. 

  53. Lederman, N. 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2, 29, 331. 

  54. Han, Y. H.; Jeun, E. S.; Paik, S. 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4, 34, 349. 

  55. Lederman, N. G. Nature of sci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Abell, S. K., Lederman, N. G. Eds.; 2007. 

  56. Choi, J.; Seo, H.-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2, 32, 879. 

  57. Woolnough, B. E. Physics Education, 2000, 35, 293. 

  58. Yoon, H. G.; Park, S. J.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0, 20, 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