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촉매오존화에 의한 메틸렌 블루 제거특성
Removal Properties of Methylene Blue in Catalytic Ozonation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3, 2017년, pp.5 - 12  

정재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촉매오존화에 의한 메틸렌 블루(MB) 제거특성과 그에 미치는 운전변수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촉매오존화에서 오존 분해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는 활성탄의 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MB 및 TOC 제거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기로 공급되는 가스상 오존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물질전달이 크게 일어나므로 MB 제거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매오존화에서 오존의 분해에 의해 생성된 $OH{\cdot}$에 의해 MB의 분해가 일어나므로 오존화에 비해 MB의 제거속도가 빠를 뿐 아니라 훨씬 높은 TOC 제거율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매오존화에서 오염물질 처리는 pH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 적용시에 있을 수 있는 유입수의 변동에 대한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촉매오존화가 섬유산업에서 발생하는 난분해성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activated carbon dose, gaseous $O_3$ concentration and pH on the properties of methylene blue(MB) degradation in a catalytic ozon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Activated carbon catalyzed the self-decomposition of oz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촉매오존화가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개발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제거특성과 그에 미치는 운전변수의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촉매오존화에 의한 염료 제거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의학용 또는 화학실험실에서 지시약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는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MB)를 대상으로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촉매오존화에서 MB를 제거할 때, MB 및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제거특성에 미치는 다양한 운전인자의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착기술은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흡착, 응집, 전기방전, 오존화(ozonation)와 같은 몇 가지 기술들이 적용되어 왔다8~11). 흡착기술은 폐수처리에 있어서 효과적인 기술로 알려져 있으나 오염물질의 포화로 인해 빈번한 재생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8). 응집기술은 단독으로 사용되기 어려우며 전기방전 기술은 현장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산화기술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할 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공정들이 선호되는가? 산화기술을 적용할 경우에 많은 오염물질이 완전히 산화되지 않고 부산물을 생성시킬 수 있으며 어떠한 경우에 부산물의 난분해성이 더 높은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O3/H2O2, UV/O3, UV/H2O2, 펜톤, UV/펜톤과 같은 고급산화공정들이 선호되어 왔다4,5). 고급산화공정에서 유기 오염물질들은 반응에서 생성된 수산화라디칼(OH·)에 의해 분해되므로 제거효율이 높을 수 있다,6).
촉매오존화란? 많은 유기물질이나 이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중간생성물은 오존과의 반응성이 좋지 않으므로 오존화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기 어렵다. 촉매오존화는 오존 분해반응의 촉매로 활성탄 등을 활용함으로써 강한 산화력을 가진 OH·을 생성키는 기술이다. 활성탄은 오존 분해의 개시자(initiator) 또는 촉진자(promoter)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Zhang, J., Lee, K.-H., Cui, L. and Jeong, T., "Degradation of methylene blue in aqueous solution by ozone-based processes, "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15(2), 185-189. (2009). 

  2. Kim, H., Lee, M.E., Kang, S. and Chung, J.W., "Thermodynamic Analysis of Phenol Adsorption by Powdered Activated Carb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5(3), 220-225. (2013). 

  3. Kasprzyk-Hordern, B., Ziolek, M. and Nawrocki, J., "Catalytic ozonation and methods of enhancing molecular ozone reactions in water treatment, "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46(4), 639-669. (2003). 

  4. Kajitvichyanukul, P., Lu, M.-C., Liao, C.-H., Wirojanagud, W. and Koottatep, T., "Degradation and detoxification of formaline wastewater by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5(1-3), 337-343. (2006). 

  5. Kusic, H., Koprivanac, N. and Bozic, A. L., "Minimization of organic pollutant content in aqueous solution by means of AOPs: UV- and ozone-based technologies,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23(3), 127-137. (2006). 

  6. Lei, L., Gu, L., Zhang, X., Su, Y., "Catalytic oxidation of highly concentrated real industrial wastewater by integrated ozone and activated carbon, " Applied Catalysis A: General, 327(2), 287-294. (2007). 

  7. Thiruvenkatachari, R., Kwon, T. O., Jun, J. C., Balaji, S., Matheswaran, M. and Moon, I. S., "Application of sever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the destruction of terephthalic acid(TPA),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42(1-2), 308-314. (2007). 

  8. Zhang, X., Chen, P., Wu, F., Deng, N., Liu, J. and Fang, T., "Degradation of $17{\alpha}$ -ethinylestradiol in aqueous solution by ozonation, "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3(1-3), 291-298. (2006). 

  9. Liu, Q.-S., Zheng, T., Wang, P., Jiang, J.-P. and Li, N., "Adsorption isotherm, kinetic and mechanism studies of some substituted phenols on activated carbon fibers,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57(2-3), 348-356. (2010). 

  10. Kang, S.F. and Chang, H.M., "Coagulation of Textile Secondary Effluents with Fenton's Reagent, " Water Sci. Technol., 36(12), 215-222. (1997). 

  11. Lee, H.-D., Kim, J.-O. and Chung, J.-W., "Degradation of Methyl Orange by Pulsed Corona Discharge Process in Water, " Desalination and Water Treatment, 53(10), 2767-2773. (2015). 

  12. Song, S.J,, Oh, B.S., Kim, K.S., Na, S.J., Lee, E.T. and Kang, J.W., "A Study on the Advanced Oxidation Process by Catalytic Ozonation with Granular Activated Carb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6(1), 52-57. (2004). 

  13. Polo, M.S., Utrilla, J.R., Joya, G.P., Garcia, M.A.F. and Toledo, I.B., "Removal of pharmaceutical compounds, nitroimidazoles, from waters by using the ozone/carbon system, " Water Research, 42(15) 4163-4171. (2008). 

  14. Oliveira, T.F., Chedeville, O., Fauduet, H. and Cagnon, B., "Use of ozone/activated carbon coupling to remove diethyl phthalate from water: Influence of activated carbon textural and chemical properties, " Desalination, 276(1-3), 359-365. (2011). 

  15. Valdes, H. and Zaror, C.A., "Heterogeneous and homogeneous catalytic ozonation of benzothiazole promoted by activated carbon: Kinetic approach, " Chemosphere, 65(7), 1134-1136. (2006). 

  16. Moon, J.H., "The catalytic effect of the ozone/CNT process using para-chlorobenzoic acid, "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3) 

  17. Alvarez, P.M., Garcia-Araya, J.F., Beltrana, F.J., Giraldez, I., Jaramillo, J. and Gomez-Serrano, V.,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aqueous ozone decomposition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the development of mechanistic approach, " Carbon, 44(14), 3102-3112. (2006). 

  18. Sanchez-Polo, M. and Rivera-Utrill, J., "Effect of the ozone-carbon reaction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activated carbon during the degradation of 1, 3, 6-naphthalenetrisulphonic acid with ozone, " Carbon, 41(2), 303-307. (2003). 

  19. Lee, M.-E., Kim, J.-E. and Chung, J.W.,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on methyl orange in catalytic ozonati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9(7), 412-417. (2017). 

  20. Rivas, F.J., Beltran, F., Gimeno, O., Acedo, B. and Carvalho, F., "Stabilized leachates: Ozoneactivated carbon treatment and kinetics, " Water Research, 37(20), 4823-4834. (2003). 

  21. Sanchez-Polo, M. and Rivera-Utrill, J., "Effect of the ozone-carbon reaction on the catalytic activity of activated carbon during the degradation of 1, 3, 6-naphthalenetrisulphonic acid with ozone, " Carbon, 41(2), 303-307. (2003). 

  22. Jans, U. and Horigne, J., "Activated Carbon and Carbon Black Catalyzed transformation of aqueous ozone into OH radical, " Ozone Science & Engineering, 20(1), 67-87.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