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축분뇨 병합처리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 마련 연구(III) 설계 및 운전 지침(안)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Efficient Bio-gasification Facility of Pig Manure and Food Waste(III): Design and Operation Guideline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3, 2017년, pp.99 - 111  

이동진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문희성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손지환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  배지수 (국립환경과학원 폐자원에너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을 병합 소화하는 시설을 대상으로 적정 설계 기준치를 충족하기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및 운전 사항, 모니터링 항목 및 주기, 시운전 기간 등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초기 혐기소화 처리용량 설계시 유입 원료별 배출 특성을 고려하여 처리용량의 10~30 %의 여유율을 적용하였다. 공정별 설계 지침의 경우, 반입 및 전처리 설비의 유기물 반입 농도를 TS 10 % 이하로 제한하고 혐기소화조 운전시 저해요인 제한 농도을 제시하였다. 또한 병합기준 유기물부하율 $1.5{\sim}4.0kgVS_{in}/(m^3{\cdot}day)$, 소화가스 이용설비는 탈황 및 제습 방법, 호기액비화조의 적정 설계 운영인자 등을 제안하였다.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운전인자는 pH (산발효조 4.5~6.5, 메탄발효조 6.0~8.0), 온도변화폭 $2^{\circ}C$ 이내, 휘발성지방산과 암모니아를 각각 3,000 mg/L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ign and operation technical guideline for meeting the appropriate design criteria to bio-gasification facilities treating organic wast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during the field surveys, the overall design and operation guidelines for bio-gasif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축분뇨 및 음식물류폐기물 바이오가스화 시설에 대한 현장조사, 정밀모니터링, 농가 발생원 특성 조사 등을 실시하여 현장 문제점 및 물리·화학적 특성 등을 조사하고,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설계지침(안), 운전지침(안), 모니터링 항목 및 주기, 시운전 및 성능보증 기간 등을 운영관리 지침서(안)에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와 음식물류폐기물 병합처리 바이오가스화 시설에 대한 운영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세부 검사방법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 기술지침(안)을 제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계시 시설용량 산정에서 10~30% 여유를 두는 이유는 무엇인가? 음식물류폐기물은 지역별, 계절별, 요일별 배출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그 배출량 변동 폭이 매우 크다 (Fig. 15 참고).20 또한 가축분뇨는 Fig. 16과 같이 농가 발생원 형태별 (재래식, 슬러리, 스크래퍼,톱밥 돈사 등), 가축 종류별 (자돈, 육성돈, 비육돈, 모돈, 임신돈 등)에 의하여 배출량 및 농도가 매우 상이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계시 시설용량 산정은 그 특성을 반영하여, 여유율로 시설용량의 약 10∼30 % 정도를 감안하여야 한다.
음식물류폐기물은 무엇을 고려하는가? 음식물류폐기물은 지역별, 계절별, 요일별 배출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그 배출량 변동 폭이 매우 크다 (Fig. 15 참고).
유기성폐자원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을 병합 소화하는 시설을 대상으로 적정 설계 기준치를 충족하기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 및 운전 사항, 모니터링 항목 및 주기, 시운전 기간 등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전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Environment, Economic analysis of waste-to-energy project, (2008). 

  2.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Korea, (2013). 

  3.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tatus of livestock manure in korea, (2014). 

  4. Statistics Korea, 2014 Agriculture, Foresty and Fisheries survey report, (2014). 

  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easures for recovery for long-term livestock manure, (2013). 

  6.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Energization plan of livestock manure, (2009). 

  7. Ministry of Environment, Comprehensive plan of energization and land disposal of food waste leachate[2008-2012], (2007). 

  8. Ministry of Environment, Comprehensive plan of energization and land disposal of food waste leachate, (2012).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Status of organic waste energy utilization facilities, (2014). 

  10.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ing method on wastes, (2012).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fficial food testing method. General testing method, (2015). 

  12.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ing method on water, (2014). 

  13.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2nd ed. Washington, USA, (1998). 

  14. D. J. Lee, Translation of guidelines for biogas production and use in German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15. Buswell, A. M. and H. F. Mueller, H. F., "Mechanism of methane fermentatio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44(3), pp. 550-552 (1952). 

  16. Tchobanoglous, G., Theisen, H., and Vigil, S.,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McGraw-Hill, (1993). 

  17. Ministry of Environment, Study for preparation of technical guidelines for livestock manure biogasification facilities, (2015). 

  18. Sanders, F. A. and Bloodgood D. E., "The effect of nitrogen-to-carbon ratio on anaerobic decomposition, Journal of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37(12), pp. 1741-1752 (1965). 

  19. D. J. Lee, Translation of anaerobic sludge digestion operation manual in U.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20. D. J. Lee, Guidelines for operation management of food waste biogasification facilit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4). 

  2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Fertilizer control ACT, (2015). 

  22.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 design of livestock manure facility, (2009). 

  23. K. M. Lee, Y. M. Jo, Characterization of odorous elements in a livestock waste treatment plant,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10(1), pp. 8-17 (2011). 

  24. J. H. Kim, J. G. Park, M. S. Moon, J. B. Oh, J. S. Shin, The characteristic and management of odor emitted from pig farms,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10, pp. 201-215 (2009). 

  25. Parkin, G. F. and Owen W. F. , "Fundamental of anaerobic digestion of wastewater sludges", J. Environmental Engineering, 112(5), pp. 887-920 (1991). 

  26. O'Flaherty, V., Lens P., Leahy B. and Colleran E., "Long-term competition between sulfatereducing and methane-produging bacteria during the full-scale treatment of citric acid production wastewater", J. Water Research, 32, pp. 185-196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