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대일로 참여국가에 대한 중국의 무역 의존성 분석과 시사점
Analysis of China's trade dependency on the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9, 2017년, pp.189 - 200  

송민근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국과 일대일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국가들의 상호간 무역 의존성을 분석하여 특징과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국제통화기금(IMF)과 중국 국가통계국(NBS)에서 각각 200여 국가에 대한 수출입 및 GDP자료를 수집하고 90년대부터 2015년까지 추이를 살폈으며, 무역의존도에서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의 상호 의존성을 분석했다. 개별 국가 GDP에서 중국 무역의존도가 15%이상으로 매우 높은 국가들이 34개국 이상이며, 중국대외 무역에서 미국 및 일본에 대한 수출입 비중이 낮아지고, 중동, 남아프리카, 남미, 동남아시아 등 지역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중국은 일대일로에 참여하는 국가그룹에 대해서 90년대부터 현재까지 약 60% 내외의 수출입비중과 2~30%수준의 무역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일대일로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일대일로 사업 환경 및 중국을 둘러싼 국가들의 무역 관계에 대한 이해, 대응방안 수립 등의 관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며, 일대일로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주요 국가와 중국의 상호 간 무역 의존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ina's trade relationships with and dependency on the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o present some implications. This study collected annual total imports, exports, and GDP data from the International 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대일로 사업이 점차 구체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업 참여 국가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및 상호간 무역 관계를 살피기 위해서 중국의 관점에 중점을 두고,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무역의존성을 분석했으며, 일대일로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70여 국가와 중국과의 상호간 수출입 및 개별 국가 GDP에서 차지하는 중국 무역의존도를 도출함으로써 중국을 둘러싼 일대일로 국가들과의 무역 관계 특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에 진행되어온 연구와 차별성 및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제통화기금과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자료를 종합하여 추이를 비교했으며, 중국과 주요 국가의 무역 의존성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시도했다.
  • 또한, 타이완, 마카오도 중국의 행정구역이지만 해외통계지표에서는 국가단위로 구분되어있으며, AIIB의 참여국은 77개 국가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타이완과 마카오가 중국의 행정구역인 것을 감안하여 타이완과 마카오를 포함한 총 79개 국가 및 지역을 현재 시점의 ‘일대일로 참여국가’로 간주하고자 한다.
  • 또한, 2017년 5월 기준으로 AIIB에는 54개 회원국가 뿐 아니라 23개 국가가 가입이 진행 중인 잠정회원국으로 일대일로에 참여하는 국가의 수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대일로 사업이 본격화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과 일대일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주요 국가들의 상호간 수출입 비중 및 무역 의존도를 분석하여 특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하지만 일대일로에 대한 사업 환경 및 중국 관점에서의 관계 해석을 위해서는 중국이 주요 국가 및 지역에 대해 보이는 의존성을 병행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일대일로 사업이 점차 구체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사업 참여 국가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및 상호간 무역 관계를 살피기 위해서 중국의 관점에 중점을 두고,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으로 무역의존성을 분석했으며, 일대일로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70여 국가와 중국과의 상호간 수출입 및 개별 국가 GDP에서 차지하는 중국 무역의존도를 도출함으로써 중국을 둘러싼 일대일로 국가들과의 무역 관계 특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존에 진행되어온 연구와 차별성 및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국제통화기금과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199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자료를 종합하여 추이를 비교했으며, 중국과 주요 국가의 무역 의존성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시도했다.
  • 본 연구는 중국과 주요 국가의 상호간 수출입 총액과 개별 국가의 GDP를 통해 상호간 무역 의존도를 분석했다. 국가 간 무역의존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중국 국가통계국(NBS: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에서 제공하고 있는 95년부터 2015년까지 약 221개 국가의 수출입자료를 수집했으며, 해당 국가의 전체 수출입자료를 확인하기 위해서 국제통화기금(IMF: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을 통해 동일 기간 약 198개 국가에 대한 연도별 수출입자료를 확보했다.
  • 4% 내외의 높은 수출입비중과 GDP대비 2~30% 수준의 무역의존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중국의 관점에 중점을 두고, 단방향이 아닌 양방향의 무역의존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성이 있으며, 중국과의 수출입 규모를 토대로 개별 국가의 수출입비중과 무역의존도를 확인하고, 일대일로 국가그룹을 분류해서 중국 수출입에서 일대일로 참여 국가의 특징을 확인했으며, 일대일로 개별 국가 및 그룹에 대한 연도별 추이를 파악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하고 특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Table 4]에서 중국 무역의존도(DDC)는 특정국가의 GDP에서 중국 무역이 차지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특정 국가 무역의존도(DDS)는 중국의 GDP에서 특정 국가가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주요 국가에 적용하여, 주요 국가들의 중국 무역의존도(DDC)와 중국의 특정 국가에 대한 무역의존도(DDS)를 종합하여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은 유라시아 대륙을 중심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어느 국가가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기준이 다소 모호하다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일대일로의 추진동력으로 간주되고 있는 AIIB의 회원국 정보를 토대로 일대일로 참여 국가의 범위를 규정하고자 한다. 최근 2017년 7월 기준으로 업데이트된 AIIB 공식 웹페이지에는 아래와 같이 54개 국가가 회원국으로, 23개 국가가 회원가입이 진행 중인 잠정회원국으로 명시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주요국가의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에서는 수출과 수입비중을 별도로 계산하지 않았지만, 본 연구는 일대일로 사업과 관련하여 중국의 대외의존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중국의 수출입 비중을 추가로 살펴보고, 중국 GDP에 근거한 무역의존도를 계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4년 각국이 일대일로 사업의 참여에 회의적이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중국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사업은 중국 주요지역과 유라시아 핵심 물류지역에 항만, 철도, 도로, 공항 등 사회간접자본으로 해상 및 육상 운송 인프라를 조성하고,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행(AIIB: Asia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등을 통하여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4]. 일대일로의 추진 동력으로 간주될 수 있는 AIIB에는 2014년 10월까지 21개 국가가 참여를 결정했지만, 미국의 적극적 반대로 유럽 등 주요한 역외 국가들이 사업 참여를 확정짓지 않았고 일대일로 및 AIIB에 대해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미국의 반대 입장에도 영국이 참여의사를 발표하면서 유럽 주요 국가와 한국, 러시아, 브라질 등이 연이어 가입의사를 중국에 전달했고 2015년 4월 AIIB의 57개 창립회원국이 결정되었다.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은 무엇을 만들려고 하는가? 중국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일대일로 사업은 중국 주요지역과 유라시아 핵심 물류지역에 항만, 철도, 도로, 공항 등 사회간접자본으로 해상 및 육상 운송 인프라를 조성하고, 아시아 인프라 개발은행(AIIB: Asia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등을 통하여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4]. 일대일로의 추진 동력으로 간주될 수 있는 AIIB에는 2014년 10월까지 21개 국가가 참여를 결정했지만, 미국의 적극적 반대로 유럽 등 주요한 역외 국가들이 사업 참여를 확정짓지 않았고 일대일로 및 AIIB에 대해 회의적 시각이 적지 않았다.
특정 국가 및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분석할 때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무역관계에서 국가 간 의존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많은 연구가 중국의 영향력, 즉 특정국가 및 지역이 중국에 대해 보이는 의존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국가 및 지역경제의 관점에서 중국과의 경제 관계를 분석할 때, 중국에 대한 의존성을 파악 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하지만 일대일로에 대한 사업 환경 및 중국 관점에서의 관계 해석을 위해서는 중국이 주요 국가 및 지역에 대해 보이는 의존성을 병행해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China's trade structure and implications (2000-2015)", p. 5, 2016. 

  2. Korea trade investment promotion agency, "China's imports and exports, Korea's imports and exports to China and its implications," p. 6, 2015. 

  3. S. K. Kwon, " Legal Issues and Policy Implications of Electronic Commerce Chapters of the Korea.China F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9-17, 2015. 

  4. Y. S. Choo, "The Prospect of the China's 'One Belt, One Road' Strategy in Southeast Asia", Journal of International Relations, Vol. 18, No. 2, pp. 169-190, 2015. 

  5. L. Bonatti, A. Fracasso, "Regime switches in the Sino-American co-dependency: Growth and structural change in China", Structural Change and Economic Dynamics, Vol. 25, pp. 1-32, 2013. 

  6. S. I. Choi and J. H. Cho, "An Analysis on Taiwanese Trade after ECFA", Journal of Ocean Development, Vol. 25, pp. 111-129, 2016. 

  7. S. O. Han, "An Analysis on the Realities and Features in North Korea's Degree of Dependence upon Chinese Trade since the 1990s: In Connection with the Implication and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Establish a Korean Peninsula Economic Community", The Journal of Peace Studies, Vol. 16, No. 4, pp. 111-141, 2015. 

  8. Y. Y. Kim, "Expanding economic influence of China, North Korea and South Korea's Challenges", Journal of Policy Sciences, Vol. 20, No. 2, pp. 24-55, 2010. 

  9. H. B. Lee and D. Y. Oh, "Changes in the Industrial Linkage and Trade Dependency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odern Japanology, Vol. 40, pp. 463-476, 2014. 

  10. C. P. Bown and R. McCUlloch, "U.S.-Japan and U.S.-China trade conflict: Export growth, reciprocity, and the international trading system", Journal of Asian Economics, Vol. 20, pp. 669-687, 2009. 

  11. T. W. Chung, "A Study on Trade Structure Analysis between Korea and GCC(Gulf Cooperation Council) Countr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135-142, 2016. 

  12. X. Jin, D. D. Li, S. Y. Wu, "How will China shape the world economy?", China Economic Review, Vol. 40, pp. 272-280, 2016. 

  13. W. J. Kim, "The Impact of China on Indonesian Economy", The Journal of Northeast Asian Economics Studies, Vol. 26, No. 3, pp. 1-36, 2014. 

  14. S. Peyrouse, "Discussing China: Sinophilia and sinophobia in Central Asia", 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 7, pp. 14-23, 2016. 

  15. J. Y. Shin, "The arrival of the new normal era in China and its economic strategic change against Central Asia", The Review of Eurasian Studies, Vol. 13, No. 4, pp. 15-32, 2016. 

  16. I. H. Song and G. Y. Lee(2012), "A Study of Chinese Peaceful Rise and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Vol. 14, No. 3, pp. 75-96, 2012. 

  17. B. Vahalik, "Regional Bilateral Trade Analysis of the European Union, China and ASEAN",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Vol. 12, pp. 709-717, 2014. 

  18. S. Mcdonald, S. Robinson, K. Therfelder, "Asian Growth and Trade Poles: India, China, and East and Southeast Asia", World Development, Vol. 36, No. 2, pp. 210-234, 2007. 

  19. Vianna, "The impact of exports to China on Latin American growth", Journal of Asian Economics, Vol. 47, pp. 58-66, 2016. 

  20. "Trade of Goods, Values of Exports/imports, FOB",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ww.imf.org, July 1. 2017. 

  21. "11-6. Value of Imports and Exports by Country of Origin/Destination", National Bureau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ww.stats.gov.cn, July 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