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파풍망 종류에 따른 키위의 발아, 개화 및 과실 특성
Budbreak, Floral Bud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s Affected by Various Windbreak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6 no.3, 2017년, pp.169 - 174  

곽용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  김홍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  이목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  이한철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남해출장소) ,  곽연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용복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태풍에 의한 조기낙엽과 같은 바람피해 예방을 위해 키위재배에서 이용되고 있는 파풍망의 종류에 따른 과수원 내 미세기상의 차이 및 과실품질과 이듬해 발아,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국내 키위재배에서 바람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5종류의 파풍 소재를 4.3 m 높이의 철재 하우스 골조의 지붕에 피복하였다. 파풍망 종류에 따른 과원 내 광합성유효광선(PAR) 투과량, 연평균기온 등의 미세기상과 저온요구도 충족여부 및 과실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4~10월 생육기에 연평균 $400{\mu}mol\;m^{-2}s^{-1}$이상의 PAR투과율을 나타내 키위의 최대순동화율에 필요한 광량이 부족하지 않았다. 연평균 기온은 PE필름에서 파풍망에 비해 $1{\sim}2^{\circ}C$높았다. 3가지 모델에 의해 산출된 저온요구도(CU)는 파풍망 종류에 관계없이 1400 CU 이상으로 키위의 발아, 개화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충족하였다. 결과모지 눈의 발아율은 차이가 없었으며, 과중은 PE필름과 백색망 4 mm 피복처리에서 다른 파풍망보다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PAR 투과, 연평균 기온, 과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PE필름과 백색 4 mm 파풍망이 키위 생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Kiwifruit growers build their vineyards using many windbreaks to protect their kiwifruit vines from defoliation injury by strong winds such as typhoon.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fruit quality, budbreak rate and floral bud as affected by windbreaks. And also we surveyed several mic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방풍시설 중에서 폴리 에틸렌(PE) 필름과 파풍망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이들 방풍시설이 과수원 내부 미세기상의 변화와 그에 따른 과실품질, 발아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이용되고 있는 PE 필름과 파풍망의 종류에 따른 과수원 내 미세기상 차이 및 과실품질과 이듬해 발아,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풍시설의 목적은? 따라서 키위 생산농가에서는 이러한 과실품질 저하와 이듬해 개화량 감소를 유발하는 조기낙엽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방풍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방풍시설 중에서 폴리 에틸렌(PE) 필름과 파풍망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이들 방풍시설이 과수원 내부 미세기상의 변화와 그에 따른 과실품질, 발아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다.
키위 재배에서 태풍에 의한 낙엽피해는? 키위 재배에서 태풍에 의한 낙엽피해는 조기낙엽에 따른 당해 연도 수확 과실의 바람들이 비상품과 발생과 2차 피해로서 이듬해 개화량 감소가 보고되었다(Tanhora, 1988; Kwack et al., 2012, 2013, 2015).
키위를 키울때 방풍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덩굴성 낙엽과수인 키위는 발아기와 수확기의 저온 영향으로 제주도를 포함한 전남과 경남의 해안지대에 국한되어 약 1,300 ha가 재배되고 있다(국내외 사례 벤치마킹을 통한 참다래 산업 경쟁력 강화 심포지엄, 2016). 포도와 같이 잎이 넓은 과수인 키위의 생육은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우리나라는 1년에 3개 정도의 태풍 영향권(기상청 태풍백서, 2011)에 들기 때문에 태풍에 의한 낙엽피해를 많이 받는 키위의 안정된 생산을 위해서 바람에 대한 보호시설의 필요가 강조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iassoulis, D., Mistriotis, A., & Eleftherakis, D. (2007). Mechanical behaviour and properties of agricultural nets-Part I: Testing methods for agricultural nets. Polymer Testing, 26(6), 822-832. 

  2. Brundell, D. J. (1976). The effect of chilling on the termination of rest and flower bud development of the chinese gooseberry. Scientia Horticulturae, 4(2), 175-182. 

  3. Buwalda, J. G., Meekings, J. S., & Smith G. S. (1991). Seasonal changes in photosynthetic capacity of leaves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vines. Physiologia Plantarum, 83(1), 93-98. 

  4. Caldwell, J. (1989). Kiwifruit performance in South Carolina and effect of winter chilling. Clemson University, Clemson South Carolina, 10, 127-129. 

  5. Choi, S. T., Kang, S. M., Park, D. S., Song, W, D., & Seo, G. K. (2002). Thinning effect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 of persimmon trees defoliated in early autumn.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3(6), 660-665. 

  6. Gravina, A., Cataldo, J., Gambetta, G., Pardo, E., & Fornero, C. (2011). Relation of peel damage in citrus fruit to wind climate in orchard and its control. Scientia Horticulturae, 129(1), 45-51. 

  7. Jarvis, P. P. G. (1985). Coupling of transpiration to the atmosphere in horticultural crops: the omega factor. In I International Symposium on Water Relations in Fruit Crops, 171, 187-206. 

  8. Judd, M. J., & McAneney, K. J. (1984). Water use by tamarillos (Cyphomandra betacea) within a sheltered orchard environment.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2(1), 31-40. 

  9. Kwack, Y. B., Kim, H. L., Choi, Y. H., Lee, J. H., Kim, J. G., & Lee, Y. B. (2012). Fruit quality and fruit locule air hole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cv. Hayward)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3), 229-234. 

  10. Kwack, Y. B., Kim, H. L., Chae, W. B., Lee, J. H., Lee, E. H., Kim, J. G., & Lee, Y. B. (2013). Regrowth of buds and flower bud formation in kiwifruit as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2(3), 201-206. 

  11. Kwack, Y. B., Kim, H. L., Chae, W. B., Kim, S. H., Lee, Y. B., & Kim, J. G. (2014). Carbohydrate reserves of non-fruiting young kiwifruit vines as affected by early artificial defoliation,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55(6), 462-470. 

  12. Kwack, Y. B., Kang, S. M., Kim, H. L., Kim, M. J., Kim, S. C., & Lee, Y. B. (2015). Regrowth of axillary buds the current season and early growth and development the following year in fruiting young kiwifruit as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4(4), 288-293. 

  13. Lionakis, S., & Schwabe, W. W. (1984). Bud dormancy in the kiwifruit, Actinidia chinensis Planch. Annals of Botany, 54(4), 467-484. 

  14. Norton, R. L. (1988).Windbreaks: benefits to orchard and vineyard crops.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22-23, 205-213. 

  15. Oukabli, A., Bartolini, S., & VITI, R. (2003). Anatomical and morphological study of apple (Malus domestica Borkh.) flower buds growing under inadequate winter chilling.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Biotechnology, 78(4), 580-585. 

  16. Piller, G. J., & Meekings, J. S. (1997). The acquisition and utilization of carbon in early spring by kiwifruit shoots. Annals of Botany, 79(5), 573-581. 

  17. Sunley, R. J., Atkinson, C. J., & Jones, H. G. (2006). Chill unit models and recent changes in the occurrence of winter chill and spring frost in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Biotechnology, 81(6), 949-958. 

  18. Tanhora, K. (1988). Encyclopedia of kiwifruit, pp. 150-152, Yaki Inc., Japan. 

  19. Weinberger, J. H. (1950). Chilling requirement of peach varieti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56, 122-128. 

  20. Weinberger, J. H. (1954). Effects of high temperatures during the breaking of the rest of 'Sullivan Elberta' peach bud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63, 157-162. 

  21. Williams, R. R. (1970). Factors affecting pollination in fruit trees. Physiology of Tree Crops. Luckwill, L. C., Cutting, C. V. (eds.). pp. 193-207, Academic Press,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