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약밭 잡초 발생 특성
Weed Occurrence in Peony (Paeonia lactiflora) Fields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6 no.3, 2017년, pp.165 - 178  

임일빈 ((주)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임보혁 ((주)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박재현 ((주)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임민혁 ((주)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장정한 ((주)바이오식물환경연구소)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작약 밭에서 잡초의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6-7월에 경북 의성, 청송, 전남 화순, 장흥, 강진 등의 지역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작약 밭에서는 국화과 30종, 벼과 9종, 마디풀과 8종, 콩과, 메꽃과 각각 5종, 십자화과, 현삼과 각각 4종을 포함하여 35과 105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9종, 월년생 23종, 다년생 33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피, 깨풀 등의 순이었다. 경북지역에서는 국화과 20, 벼과 7, 마디풀과 6, 십자화과 4종, 콩과 4종, 메꽃과 4종, 대극과 3종을 포함하여 30과 75종이 발생하였다. 상위 2개 과에 포함하는 잡초가 31종으로 44.7%를 차지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35종, 월년생 21종, 다년생 19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쇠비름, 깨풀, 명아주, 속속이풀, 피 등의 순이었다. 전남지역에서는 국화과 23종, 벼과 7종, 마디풀과 8종, 콩과 6종을 포함하여 34과 88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3종, 월년생 20종, 다년생 25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쑥, 쇠비름, 망초, 명아주, 개여뀌, 피 등의 순이었다. 이와 같이 작약 재배지에서 일년생, 월년생 및 다년생 잡초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잡초방제 체계가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weeds occurring in paeony field in June and July, 2015 in Uiseong, Cheongsong of Kyungbuk province, and Hwasun, Jangheung, Gangjin of Jeonnam province. In total paeony field, there were 35 families and 105 species, including 30 spe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13), 소면적 재배작물에 대한 연구 조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소면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약 주산지를 대상으로 잡초발생 특성을 조사하여 방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인은 자기의 경제적 활동을 위해 잡초에 대한 어떠한 지식이 필요한가? 잡초의 발생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 경제적 활동에서 해가 되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농업인은 자기의 경제적 활동 무대에서 방해가 되는 잡초가 어떤 것인지를 잘 파악하고 대책을 세워야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농업 생산 활동을 지속 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대 국내 밭작물의 재배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농가에서 잡초는 어떤 식물인가? 잡초의 발생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 경제적 활동에서 해가 되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농업인은 자기의 경제적 활동 무대에서 방해가 되는 잡초가 어떤 것인지를 잘 파악하고 대책을 세워야 최소의 노력과 비용으로 농업 생산 활동을 지속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밭작물의 재배형태는? 2010년대 국내 밭작물의 재배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크게는 노지재배와 시설재배로 나눌 수 있으며, 노지재배도 피복재배와 무피복재배, 피복재배도 비닐피복 및 볏짚 등 식물 잔사 피복, 화학합성 피복자재 즉 비닐피복도 폴리에틸렌(PE) 투명 필름 및 다양한 유색 필름, PE 필름도 유공 및 무공필름, 부직포 등으로 재배방법이나, 형태가 다양화되어 있다. 잡초는 이런 재배형태에 따라 발생이나 생육이 다를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un-Blanguet, J. 1964. Pflanzensoniologie. Springer-Verlag, 3rd ed. Vienna, New York.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10(4):294-304. (In Korean) 

  3. Cho, K.D., Lee, Y.M., Choi, H.J., Chung, S.H., Nam, K.H., et al.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Gyeonggi. Korea. (In Korean) 

  4. Choi, B.S., Song, D.Y., Roh, J.H., Ku, Y.C., Lee, C.W., et al. 2009. Distributional occurrence of weed species on different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Weed Turf. Sci. 29(2):139-149. (In Korean) 

  5.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6. Guh, Y.C., Oh, Y.J. and Lee, C.H. 1983. Response of weed population to long-term fertilizer application. Kor. J. Weed Sci. 3(1):50-56. (In Korean) 

  7. Hwang, K.S., Won, O.J., Park, S.H., Eom, M.Y., Suh, S.J., et al. 2013.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2(4):341-347. (In Korean) 

  8. Im, I.B., Guh, J.O. and Oh, Y.J. 1993b.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 (Oryza sativa L.). 3. Difference in weed occurrence and rice growth under the competitive periods. Kor. J. Weed Sci. 13(2):114-121. (In Korean) 

  9. Im, I.B., Guh, J.O. and Park, K.Y. 1993a.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 (Oryza sativa L.). 1. Distribution and dominance of weed and rice. Kor. J. Weed Sci. 13(1):26-35. (In Korean) 

  10. Kim, D .H., P ark, J .M., K ang, S .M., L ee, S .M., L ee, I .Y., e t al. 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 eeds and vegetation types in Dioscorea oppostifolia Thunb. Field. Weed Turf. Sci. 3(4):269-275. (In Korean) 

  11. Kim, J.K., Kim, S.C., Lee, S.K. and Park, R.K. 1981. Effect of herbicides on weed species diversity in transplanted lowland rice. RDA. J. Crop sci. 23(crop):111-119. (In Korean) 

  12. Kim, S.J., Ryu, J.K., You, O.J., Park, S.D. and Choi, B.S. 1998. Dominant weed specie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as) field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Kor. J. Medicinal Sci. 6(1):44-50. (In Korean) 

  13. Kuk, Y.I, and Kwon, O.D. 2002. Weed occurrence growth and yield of rice transplanted with 10-day-old seedlings in tillage and no-tillage paddy fields. Kor. J. Weed Sci. 22(2):154-162. (In Korean) 

  14. Lee, I.Y., Kim, C.S., Lee, J., Han, J.A., Kim, K.H., et al. 2014a.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oix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Weed Turf. Sci. 3(2):102-109. (In Korean) 

  15. Lee, I .Y., Kim, C.S., Lee, J., Kim, J., Kim, K.H., et al. 2014b.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scheri Fields. Weed Turf. Sci. 3(2):95-101. (In Korean) 

  16. Lee, I.Y., Kim, C.S., Lee, J., Song, H.K., Seo, H.A., et al. 2015. The weed flora of Korean mulberry fields. Weed Turf. Sci. 4(2):85-94. (In Korean) 

  17. Lee, S.G. and Pyon, J.Y. 2001. Effect of temperatures 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perennial paddy weeds. Kor. J. Weed Sci. 21(1):42-48. (In Korean) 

  18. Oh, Y.J., Lee, W.J., Hong, S.H., Lee, Y.H., Na, C.S., et al. 2014. Distribution of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northern Gyeonggi-do. Weed Turf. Sci. 3(4):276-283. (In Korean) 

  19. Okafor, L.I. and Dedatta, S.K. 1976. Competition between upland rice purple nuts edge for nitrogen, moisture, and light. Weed Science 24:43-46. 

  20. Park, J.U., Lee, I.Y., Park, T.S., Lim, S.T., Kim, C.S., Cho, J.R.,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21.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22. Suzuki, M. and Suto, T. 1975. Emergence of weeds in paddy rice fields. 1. Relation between temperature and emergence. Weed Research (Japan). 20:105-109. (In Japanese) 

  23. Yoo, C.H., Yang, C.H., Kim, J.G. Rhee, G.S. and Han, S.S. 1995. Effect of the alternation of lowland-upland field and the cropping pattern on weed population. Kor. J. Weed Sci. 5(4):298-30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