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 편의성 분석을 위한 3차원 실내지도 기반의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Simulation Technology Based on 3D Indoor Map for Analyzing Pedestrian Convenience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3, 2017년, pp.67 - 79  

김병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강병주 ((주)매스코 공간정보연구소) ,  유소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체계분석팀)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시성이 보장된 도시철도에 대한 수송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송 능력 뿐만 아니라 이용객의 편의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사의 개선 및 신규 역사 건설 시 이동속도, 환승거리와 같은 보행 환경을 사전에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터는 3차원 실내지도 저작 모듈과 보행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3차원 실내지도 저작 모듈에서는 3차원 공간 모델링, 네트워크 생성 및 평가 결과 표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보행 알고리즘에서는 경로탐색, 통행량 배정, 종합서비스 수준 평가 등의 기능이 있다. 이러한 기능의 핵심적인 부분은 공간정보 DB와 동적 통행정보 DB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전후 상황 등 다양한 시나리오의 적용과 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향후 시뮬레이터의 활용 방안 제시를 위해 실제 운영 중인 역사를 대상으로 Test-Bed를 구축하고, 역사통행로의 개선 전 후의 보행 속도를 분석하여 개선 효과에 대한 정량적 지표를 산출하였으며, 향후 추가적인 분석을 위한 DB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ing transportation dependence on the metro system has lead to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becoming as important as the transportation capacity. In this study, a pedestrian simulator has been developed that can quantitatively assess the pedestrian environment in terms of attributes such a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차원 실내지도 구축을 목적으로 한 플랫폼에 보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양한 보행 지표를 산출하고 이를 평가하는 시스템으로써 다양한 분야가 융ㆍ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 분석을 위해 본 연구의 핵심 요소인 시뮬레 이션을 위한 3차원 실내지도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및 보행 시뮬레이션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Test-Bed를 구축하여 통행량 및 공간 구조에 따라 보행 속도의 변화량을 시뮬레이션 해 봄으로써 활용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3차원 실내지도 구축을 목적으로 한 플랫폼에 보행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양한 보행 지표를 산출하고 이를 평가하는 시스템으로써 다양한 분야가 융ㆍ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관련 연구 분석을 위해 본 연구의 핵심 요소인 시뮬레 이션을 위한 3차원 실내지도와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및 보행 시뮬레이션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뮬레이터의 기능 구현을 위한 세밀한 보행경로 구축을 위하여 앞서 제시한 첫 번째 방법을 기반으로 3차원 실내 공간 정보 구축 기술을 개발하였다. 기술 구현은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을 구축하고 통로 관련 컴포넌트(복도,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계단 등)에 형상뿐만 아니라 속성정보를 부여하여 이를 기반으로 자동으로 네트워크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통행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인위적인 경로 차단으로 경로 수를 줄이고, 보행거리를 길게 하는 상황에서 보행 환경이 어느 정도 개선되는지를 시뮬레이터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앞서 기술한 시뮬레이터의 평가지표 중정량화가 용이한 보행 속도를 개선 효과 검증을 위한 지표로써 선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를 이용하기 위 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역사 내의 보행 편의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사의 개선 및 신규 역사 건설 시 이용객의 편의성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시뮬 레이터의 주요 목적은 도시철도 역사 이용객의 이동속도 향상, 환승거리, 시간 단축 및 교통약 자의 이동편의 증진과 같은 이용객 중심의 이동·환승 편의성 향상 등에 있다.
  • Test-Bed로 선정한 사당역의 경우 출퇴근 시간에 혼잡도가 높은 통로에 대해 이를 완화시 키기 위해 그림 5와 같이 특정시간대( 07:30~ 09:30, 18:00~19:30)에 임의로 통행로를 차단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터를 통해 통행로의 차단 전과 후의 교통 흐름을 비교하여 통행로 차단이 교통 흐름(보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의 기존 인식은? 대중교통은 적은 비용으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수단으로써 지금까지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도로의 물리적 확대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대중교통은 단순히 저렴한 비용 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이 아닌 도시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원만한 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XML의 장점은 무엇인가? XML은 플랫폼에 비 의존적이며, 사용자 스스로 확장이 가능하고 복합구조와 검증 등 SGML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의 기본 특징을 그대로 지원하며 구현하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태그 세트와 속성을 지정할 수 있고, 새로 운 태그 세트를 만들 수도 있는 언어적인 성격 이 강하다.
3DMax와 같은 단순 모델링이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07). 하지만 이와 같은 단순 모델링은 시뮬레 이션에 필요한 공간 분석에 한계가 있다(Park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uja, R.K., T.L. Magnanti, and J.B. Orlin. 1993. Network flows: theory, algorithms and applications. Prentice-HallL, USA. pp.1-2. 

  2. Brooks, S. and J. Whalley. 2005. A 2D/3D hybri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Graphics and Interactive Techniques, Australasia and South East Asia. pp.323-330. 

  3. Han, M.J., D.H. Choi, G.C. Jung, and Y.I. Lee. 2010. Overview of the development of micro pedestrian simulator(P-Sim).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7(2):15-29(한명주, 최동훈, 정기찬, 이영인. 2010. 미시적 보행자 시뮬레이터의 기본구조 및 개발개요. 교통 기술과 정책 7(2):15-19). 

  4. Helbing D., I.J. Farkas, P. Molnar, and T. Vicsek. 2002. Simulation of pedestrian crowds in normal and evacuation situations.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2002:21-58. 

  5. Helbing D., I.J. Farkas, and T. Vicsek. 2000. Simulating dynamical features of escape panic. Nature 407:487-490. 

  6. Hwang, Y.J., W.Y. Koo, Y.K. Hwang, and H.J. Youn. 2011. A development of fire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based 3D model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5(6):156-167 (황연정, 구원용, 황은경, 윤호주. 2011.3차원 공간기반의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25(6):156-167). 

  7. Jang, I.S. and Y.I. Lee. 2012. Analysis program of the development of micro pedestrian simulator. Proceedings of the 66th KOR-KST Conference. pp.175-181. (장인성, 이영인. 2012. 미시적 보행자 시뮬레이터의 개요와 외국사례 비교분석. 대한교통학회 2012년도 제66회 학술발표회 논문집.175-181쪽). 

  8. Jung, R.H. and J.H. Chung. 2015. Analysis of route choice behavior in subway stations. Seoul Studies 16(2):203-214 (정래혁, 정진혁. 2015. 지하철 역사 내 혼잡관리를 위한 통행행태 분석. 서울도시연구 16(2):203-214). 

  9. Kim, G.H., H.Y. Kim, and C.M. Jun. 2008. Developing a 3D indoor evacuation simulator using a spatial DBM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6(4):41-48 (김근호, 김혜영, 전철민. 2008. 공간 DBMS를 사용한 3차원 실내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6(4):41-48). 

  10. Kim, Y.H. 2008. Delivery company linked system based on XML. Master's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pp.9-10 (김영호. 2008. XML 기반 택배사 연동 시스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10쪽). 

  11. Kwak, S.Y., H.W. Nam, and C.M. Jun,. 2010. An indoor pedestrian simul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visibility.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8(5):133-142 (곽수영, 남현우, 전철민.2010. 가시성을 고려한 3차원 실내 보행자시뮬레이션 모델.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8(5):33-142). 

  12. Park, I.H., C.M. Jun, and Y.S. Choi. 2007. 3D-GIS network modeling for optimal path finding in indoor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5(1):22-32 (박인혜,전철민, 최윤수. 2007. 건물 내부공간의 최적경로 탐색을 위한 3차원 GIS 네트워크 모델링.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25(1):22-32). 

  13. Wang, X. 2005. Integrating GIS, simulation models, and visualization in traffic impact analysi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9(4):471-496. 

  14. Yen, J.Y. 1971. Finding the K shortest loopless paths in a network. Management Science 17(11):712-716. 

  15. You, S.Y., R.H. Jung, and J.H. Chung. 2016. An analysis on evacuation scenario at metro-stations using pedestrian movement-based simulation mode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Intelligent Transportation 15(2): 36-49 (유소영, 정래혁, 정진혁. 2016. 보행류기반 도시철도역사 평가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대피 시나리오 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지 15(2):36-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