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인조 토끼털의 주관적 평가 및 물리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Natural/Artificial Rabbit Hairs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1 no.4, 2017년, pp.144 - 158  

이선아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김종준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r garment has long been the conventional symbol for luxury, or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as fashion items began to diversify as part of overall fashion trend, fur items are now more about individual taste and style than just lavishness. Synthetic fur is especially emerging as a new promi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촉감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모피 소재의 주관적 감각 평가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촉감 관련 연구들이 대부분 손에 느껴지는 감촉을 평가하는 촉감각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면 본 연구는 천연의 토끼털을 중심으로 토끼털의 특성을 모방한 인조모피의 감각적 차이와 물리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 털의 길이와 밀도, 촉감이 다른 9종 시료의 광택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재의 광택특성은 소재의 구조적 특성, 의복의 형태, 그리고 관찰조건에 의존적이다(Shin, Kim & Jeon,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조 모피를 천연모피의 털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갖게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인조 모피는 직물이나 편성물을 기포로 하고 여기에 모피의 털과 유사한 합성섬유로 천연모피와 유사한 구조가 되도록 한다. 아크릴 섬유와 모다크릴 섬유는 외관과 촉감이 동물의 털과 가장 흡사하며 가공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크릴 섬유는 가열 연신하면 냉각 후에 연신된 길이를 유지하나 장력이 없는 상태에서 가열하면 다시 수축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열연신 섬유와 미연신 섬유를 섞은 슬라이버로 파일 편성물을 만들고 열처리한다. 열처리 과정에서 미연신 섬유는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나 열연신 섬유는 열에 의해 연신 이전의 상태와 유사하게 수축하여 천연모피의 털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갖게 된다(Park & Park, 2002).
모피란 무엇인가? 모피(Fur)는 털이 붙어 있는 채로 벗긴 동물의 가죽을 말하는 것으로, 동물의 가죽에 털이 붙어있는 상태의 생 모피와 일시적으로 방부 처리를 하여 가공한 원료 모피를 통칭하여 ‘모피’라고 부른다(An, 2005).
가죽은 어떻게 이루어져있는가? 일반적으로 모피란 포유동물의 털이 달린 가죽을 말하며(Kim & Kwon, 2008), 모피를 지칭할 때에는 가죽 보다는 털에 더 의미를 두는데 이때 가죽은 털이 붙어 있는 표면 정도로 인식할 수 있다. 가죽은 표면부분의 표피와 표피 아래 부분의 진피, 그리고 가죽을 벗길 때 함께 붙어 나오는 피하결체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Lim, 2008). 표피는 동물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매우 얇은 가죽으로 가죽의 표면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B. Y. (2005). A study on Korean costumes made of fur or leath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 Kang, D. H. (2007). A study on the image characteristic of modern fur fashion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 Kawabata, S. (1980). The standardization and analysis of hand evaluation (2nd ed.). Osaka, Japan: Textile Machinery Society of Japan 

  4. Kim, H. K. (1998). Fashion changes in fur clothing & export industry supporting pl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8, 245-260. 

  5. Kim, J. H. & Kwon, S. A. (2008). Analysis for sewing technique of fur fabrics expressed in fashion collection. Journal of Human Ecology, 12(2), 205-214. 

  6. Kim, J. Y. (2006).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of fur clothing consumers according to benefits sou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Kim, M. J. (2004). Effect of fiber and construction of knitwear for men on the evaluation of sensi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8. Lee, J. S. & Shin, H. W. (2003). The sensibilities of cotton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7), 800-808. 

  9. Lee, S. Y. & Yang, S. M. (1996). Sensibility ergonomics Seoul, Korea: Cheongmoongak Publisher. 

  10. Lim, J. H. (2008). Study of planning model for design of fur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1. Nakamura, K. & Nishikawa, S. (1977). Root of fur. Tokyo, Japan: Munhwa Pub. 

  12. Na, Y. J. & Kwon, O. K. (2000). Characteristics of domestic textile deigns and trend sensibility for women's appar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2(3), 198-204. 

  13. Oh, S. S. (1995). A study of buying and wearing fur clothes.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3(1), 109-124. 

  14. Park, J. Y. & Park, H. W. (2002).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urs in contemporary fashion -focused on 2002 A/W collection-. The Journal of Design Center, -(7), 85-103 

  15. Park, W. S., Kim, S. Y., Lee, J. H., Lee, O. T., Choi, M. J. & Park, S. W. (2011). Medulla analysis of animal hair by polarized light microscope.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5(2),133-138. 

  16. Rho, E. K. & Oh, K. W. (2000). Surface properties of artificial sued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5(2), 309-315. 

  17. Shin, H. S., Kim, J. J., & Jeon, D. W. (2008). Effect of corrosion conditions on the luster change of metallic yarns and fabric : Analysis of changes in reflection and transmission. Journal of the Fashion Business, 12(3), 54-61. 

  18. Sohn, J. H., Park, H. Y., Yi, I. G., Choi, S. S. & Kang, D. I. (1998). Relationships between preference of innerware fabrics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2), 35-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