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청각장애인의 의약품 안전사용 실태에 대한 심층면접조사
Qualitative Study for Medication Use among the Hearing Impaired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7 no.3, 2017년, pp.178 - 185  

김혜로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  구희조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  오정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  한은아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Because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e hearing-impaired face many disadvantages throughout their lives. One of those is limited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particularly medication service. Though they suffer from problems related to taking medication properly, there have been few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청각장애인들의 관점에서 의약품 사용을 이해하고, 이들의 의약품 안전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을 발견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의약품을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국내 청각장애인의 의약품 사용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의 의약품 안전사용을 저해하는 장애 요인을 발견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이 의약품을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약품이란? 의약품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수단으로써,1) 최선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약품의 사용이 전제되어야 한다.1,2) 환자가 복약지도에 불 순응하여 의약품을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유병률 및 사망률 증가와 보건의료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환자가 복약지도에 불 순응하여 의약품을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의약품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되는 수단으로써,1) 최선의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약품의 사용이 전제되어야 한다.1,2) 환자가 복약지도에 불 순응하여 의약품을 부적절하게 사용할 경우, 유병률 및 사망률 증가와 보건의료비용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3) 장애인은 이들이 가진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로 인해 의약품의 올바른 사용과 관리에 어려움이 있으나,4-6) 이에 대한 정확한 실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떠한 장애 유형에 대해 의약품 사용 안전성에 대해 일괄적 접근이 아닌 그 유형에 맞는 접근이 필요한가? 장애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신체장애 중 시각장애와 청각장애는 다른 유형에 비해 장애로 인한 소통 및 정보차단이라는 특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애 유형에 대해 의약품 사용 안전성에 대해 일괄적 접근이 아닌 그 유형에 맞는 접근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Raynor DK. Addressing medication literacy: a pharmacy practice priority. Int JPharm Pract 2009;17-257. 

  2. Park E. Medication compliance: factors and interventions. Health?welfare Policy Forum 2011;179:83-4. 

  3. Krueger KP, Berger BA, Felkey B. Medication adherence and persistence: a comprehensive review. Adv Ther 2005;22(4):314. 

  4. Koo H, Jang S, Oh JM et al. Qualitative study for medication use among visually impaired in Korea. Korean J Clin Pharm 2016;26(1):24-32. 

  5. Lim SC, Lee MK, Lee CK et al. Developing method of auxiliary label by korean braillewritier letter for drug consultation. J Pharm Soc Korea 2008;52(3):201-11. 

  6. Kim KY, Lee YS, Park KS et al. On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J Prev Med Public Health 1998;31(2):323-34. 

  7. Hwang JH, Kim JH, Lee SH. Current status of legally obligated-sign language interpreter service and its active plan for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focusing on judical and medical area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2013;20:64-5. 

  8. Kim SH. A study on vocational understanding of hearing impaired. Case studies on employment of the hearing impaired. 2004;7-10. 

  9.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umber of the registered disabledby year, types of disability and gender, the whole country.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61_N001&conn_pathI2. Accessed January 9, 2017.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Deaf and hearing loss.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00/en/. Accessed April 19, 2017. 

  11. Byon Y, Kim S, Yeun S, et al. Survey on the Status of the Disabled in 200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06. 

  12. Korean Deaf Association. Deaf people and Society. Korea Deaf Association; 1999. 

  13. Shin W, Lee J, Woo N, et al. A study of developoing information on safe medicinal product use tailored to the vulnerable classes with poor information access. Drug research division i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ty;2016. 

  14. Kim JS, Lee BS. Hearing status in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1;25(2):197-8. 

  15. Kim JW, Bae MJ. A study on hearing loss according to sound pressure level of the earphones. In: IEEK Summer Conference, Republic of Korea, July 2009. 

  16. Choi J, Chung WH. Age-related hearing loss and the effects of hearing aids. J Korean Med Assoc 2011;54(9):918-9. 

  17. Harmer L. Health care delivery and deaf people: practice, problems, and recommendations for change. J Deaf Stud Deaf Educ 1999;4(2):73-110. 

  18. Chew LD, Bradley KA, Boyko EJ. Brief questions to identify patients with inadequate health literacy. Fam Med 2004;36(8):588-94. 

  19. Barnett S. Cross-cultural communication with patients who use American Sign Language. Fam Med 2002;34(5):376-82. 

  20. Barnett S, Franks P. Health care utilization and adults who are deaf: relationship with age at onset of deafness. Health Serv Res 2002;37(1):105-20. 

  21. Ralston E, Zazove P, Gorenflo DW. Physicians' attitudes and beliefs about deaf patients. J Am Board Fam Pract 1996;9(3):167-73. 

  22. Steinberg AG, Sullivan VJ, Loew RC. Cultural and linguistic barriers to mental health service access: the deaf consumer's perspective. Am J Psychiatry 1998;155(7):982-984. 

  23. Lezzoni LL, O'Day BL, Killeen M et al. Communicating about health care: observations from persons who are deaf of hard of hearing. Ann Intern Med 2004;140(5):356-62. 

  24. Hines J. Communication problems of hearing-impaired patients. Nursing Standard. 2000;14(19):33-7. 

  25. Jang C, Lee D, Kim H et al. A study on measures to vacational rehabilitation and employment promo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1st ed.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004;1-144. 

  26. Kwon SW. The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restructuring school curriculum of deaf school. Korean J Spec Edu 2005;40(3):23-44. 

  27. Kim SA, Choi SK.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reality,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 on inclusion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J Spec Ped Edu 2009;10(4):471-90. 

  28. Joo BY, Jeong SW. Cochlear implantation using the endomeatal approach in a child with a extremely hypoplastic mastoid.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6;59(5):402-5. 

  29. Lezzoni L, O'day B, Killeen M, Harker H. Communicating about health care: Observations from person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Ann Intern Med 2004;140(5):356-362. 

  30. Jo YH. Qual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education. JAE 2004;7(2):55-75. 

  31. Chung J, Cho JJ. Use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health. J Korean Acad Fam Med 2008;29(8):553-5. 

  32. National Legal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rticle 2 ${\S}1$ .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January 10, 2017. 

  33. Lee JW, Seo JH, Kim YS et al. A study on measures to improve communication accessibility of the hearing and speech impaired(deaf). 1st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15-6. 

  34. Hwang JH, Kim JH, Lee SH.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and measures to build network. 1st ed. Korea Disabled People's Development Institute. 2012;11-4,26. 

  35. Youn SM, Seo KJ.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literacy of the deaf. Korean Lang Liter 2014;91:36-52. 

  36. Youn SM, Lee YJ, Seo KJ et al. A basic study on the literacy education of the deaf. 1st ed.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 

  37. Yuon SM, Go A. An interpretive study for establishing a literacy education system for deaf adults. J Korean Lang Liter 2015;60: 42-3. 

  38. Pollard RQ, Barnett S. Health-related vocabulary knowledge among deaf adults. Rehabil Psychol 2009;52(2):182-5. 

  39. Katz MG, Kripalani S, Weiss BD. Use of pictorial aids in medication instruc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m J Health-Syst Pharm 2006;63:239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