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기상재해 위험 관리를 위한 농장별 조기경보서비스의 비용편익 분석
Cost-benefit Analysis of a Farmstead-specific Early Warning Service for Agrometeorological Disaster Risk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9 no.3, 2017년, pp.195 - 202  

심교문 (국립농업과학원) ,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임영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신용순 ((주)에피넷) ,  김용석 (국립농업과학원) ,  최인태 (국립농업과학원) ,  정명표 (국립농업과학원) ,  김호정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전국 확대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조기경보서비스를 활용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시범사업 추진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가한 농가는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였고 농사에 잘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한 월간 지불의사금액은 평균 8,833원으로 조사되었다. 조기경보서비스가 전국으로 확대되어 시 군 농가의 50%가 6개월간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편익대비 비용의 비가 2.2로 분석되어 전국 확대를 위한 사업추진의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armstead-specific early warning system (FEWS) for weather risk management nationwide. A survey b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xamine farmer's response, and a cost-benefit analysis was made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EWS o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 A survey on the improvement of the farmstead-specific early warning service for weather risk management.(unit: farmhouse)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맞춤형 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를 이용한 농업인의 반응과 비용편익 분석에 의한 경제성 평가를 통해 조기경보서비스의 전국 확대를 위한 사업화 추진에 요구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의 전국 확대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조기경보서비스를 활용하는 농가를 대상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시범사업 추진에 따른 비용편익을 분석하였다. 설문에 참가한 농가는 조기경보서비스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하였고 농사에 잘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NISDR에서 재해경감을 위한 정부 간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 채택한 2단계는 무엇인가? 국제연합(United Nation; UN)에서는 UNISDR(UN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를 설립하여 재해경감을 위한 정부 간의 협력을 유도하고 있다. UNISDR(2017)는 1단계로 예방과 준비에 의해서 위험가능성을 포착하고 이를 정량화하는 기술, 즉 조기경보체계(early warning system)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한 Hyogo 실행계획(Hyogo Framework for Action 2005-2015)을 채택하였고, 2단계로 복합위험(Multi-Hazard)에 대한 조기경보체계 개발이 포함된 Sendai 기본계획(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을 채택하여 재해위험 저감을 위한 국제적 공조를 강화하고 있다.
재해발생 여부와 규모를 결정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재해발생 여부나 그 규모는 위험기상의 발생확률과 강도뿐 아니라 위험에 노출된 대상(공동체, 식물군락 등)의 취약성에 의해 결정된다(Yun et al., 2015).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 관리기술의 핵심은 무엇인가? , 2013). 이 기술의 핵심은 동일 시군구 내 위치와 장소(필지)에 따른 고도, 지형, 지표피복 등 국지공간특성에 맞게 기상청의 각종 정보(기상실황, 동네예보, 중기예보)를 상세화 한 것이다. 나아가 필지별로 재배중인 작물의 속성(작목-품종, 생육단계)을 미리 파악하여, 상세화 된 기상정보에 의해 알려진 위험기상이 실제 재배중인 작물에 어떤 피해를 입힐 것인지 농업기상학적 위험지수로 표현한 것이다. 이들 정보는 등록된 휴대폰과 인터넷을 통해 해당농가에게 전달되는데, 이때 위험회피 및 경감을 위해 해당농가에서 쓸 수 있는 관리대책도 함께 전달된다(Sh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IPCC, 2011: Special report on managing the risks of extreme events and disasters to advance climate change adapt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2pp. 

  2. Jeong, H. K., Y. A. Lim, H. J. Lee, and C. G. Kim, 2016: Current status of climate-smart agriculture and policy directions (ISBN: 978-89-6013-968-8 9352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84pp. (In Korean) 

  3. Shim, K. M., Y. S. Kim, M. P. Jung, I. T. Choi, H. Kim, and K. K. Kang, 2017: Implementation of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for weather risk manage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8(2), 171-175. 

  4. UNISDR, 2017: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 35pp. (Available through the UNISDR Website at the following weblink: http://www.unisdr.org/files/43291_sendaiframeworkfordrren.pdf) 

  5. WMO, 2010: Guidelines on Early Warning Systems and Application of Nowcasting and Warning Operations. PWS-21, WMO / TD No. 1559, 22pp. (Available through the WMO Website at the following weblink: http://www.wmo.int/pages/prog/amp/pwsp/documents/PWS-21.pdf) 

  6. Yun J. I., S. O. Kim, J. H. Kim, and D. J. Kim, 2013: User-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to local farming community: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320-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Yun J. I., S. O. Kim, K. M. Shim, and Y. S. Shin, 2015: A field-specific service for agrometeorological hazards early warning (ISBN 979-11-954603-0-493520),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5p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