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기상 조기경보체계: 기후변화-기상이변 대응서비스의 출발점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A Service Infrastructure for Climate-Smart Agricultur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4, 2014년, pp.403 - 417  

윤진일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상이변의 증가추세는 인류가 직면한 기후변화의 또 다른 속성이며 농업부문에서는 이미 심각한 재해로 이어지고 있다. 기상이변은 다양한 공간규모에 걸쳐 일어나지만 그 영향을 완화시킬 처방은 국지적인 규모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기경보체계는 반드시 '위치와 장소'를 기반으로 그곳의 영농정보를 바탕으로 할 때만 효율적이다. 기존 조기경보체계는 다양한 영농현장에 대한 구체적 위험을 알려주지 못하며, 농가의 개별적 상황이 대응조치에 반영되지 못하고, 악기상의 장기 누적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지발재해'나 둘 이상의 기상요소가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재해'에 대한 고려가 없다. 본 강좌에서는 선행연구들에 의해 확보된 '농가맞춤형 기상위험 관리기술'을 토대로, 필지단위 국지기상조건을 재배중인 작물의 종류와 발육단계에 맞춘 '재해위험지수'로 정량화하고, 이를 평년기준과 비교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며, 적절한 대응방안과 함께 재배농가에게 일대일로 전달하는 '맞춤형 농업기상서비스' 구축에 관하여 논의한다. 이 서비스를 현업화하기 위한 1단계 4년의 조기경보체계 실증연구가 2014년에 시작되었고, 2017년까지는 남한 21개 대권역 가운데 하나인 유역면적 $4,914km^2$에 60,202호의 농가로 이루어진 섬진강권역을 대상으로 현업서비스를 구축하게 된다. 연구수행과정에서 얻어지는 경험은 2단계 전국 대상 사업으로 확대되어 기후변화와 기상이변 증가에 따른 농업부문 재해위험을 개별농가 차원에서 실질적으로 경감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다. 금세기 농업분야 최대의 도전인 기후변화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 '기후스마트농업'이 학계의 대안으로 자리 잡았지만, 국내 성공의 전제조건으로서 농업기상 조기경보체계의 지속적인 개발과 이를 토대로 한 맞춤형 농업기상서비스의 전국 확대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creased frequency of climate extremes is another face of climate change confronted by humans, resulting in catastrophic losses in agriculture. While climate extremes take place on many scales, impacts are experienced locally and mitigation tools are a function of local conditions. To address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IEWS는 117개국의 정부, 60개 NGO, 기업체, 연구기관 등을 망라한 네트웍을 통해 식량수급에 관련된 방대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식량부족이 예상되는 국가나 지역에 조기경보를 제공한다. 궁극적인 목표는 전지구, 대륙, 국가, 지역 등 다양한 공간규모에서 식량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여 필요한 시기에 해당 정책결정자에게 전달함으로써 기아로 인한 고통을 피하자는 것이다. 1995년 북한의 기근을 사전에 경고한 것이 이 시스템의 대표적 성과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http://www.
  • 농장-과원 단위로 재해위험경보를 발령하고 회피-경감 방안 및 사후 복구정보를 일대일로 제공하는 현업서비스 구축을 목표로 하며, 1차년도에는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상청의 예보 및 실황 정보(5km 격자 혹은 시군 행정구역 단위)를 바탕으로 집수역 소기후 모형을 적용한 30m~270m 격자단위 자료 추정, 이를 이용한 작목별 재해위험지수 계산, 평년기후조건과의 비교를 통한 경보 발령, 경보수준별 대응지침 검색 및 편집, 종합정보의 자원농가 휴대폰 문자 전달 등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시범서비스를 설계하였다.
  • 본 강좌에서는 선행연구들에 의해 확보된 ‘농가맞춤형 기상위험 관리기술’을 토대로, 필지단위 국지기상조건을 재배중인 작물의 종류와 발육단계에 맞춘 ‘재해위험지수’로 정량화하고, 이를 평년기준과 비교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며, 적절한 대응방안과 함께 재배농가에게 일대일로 전달하는 ‘맞춤형 농업기상서비스’ 구축에 관하여 논의한다.
  • 이 과제는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많은 연구원이 참여하게 되므로 성공여부는 세부과제 간 유기적인 연결과 다양한 기술들의 융합에 달려 있으며, 이를 위해 참여연구원 상호간 긴밀한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과제의 개요와 세부내용, 추진전략 등을 소개함으로써 참여연구원은 물론 이 과제와 관련된 전문가들 사이의 소통을 돕고자 한다.
  • 우리는 이러한 집수역 특유의 기후조건을 최소한 30년간 관측된 평년기후자료에 의해 평가한다. 평년의 기후는 평균과 분산(표준편차)으로 대표할 수 있으며 관측자료가 충분하다면 발생빈도가 평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의 정규분포곡선이 된다.
  • 위험기상과 여기에 노출된 작물 사이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피해 가능성(likelihood)을 ‘재해위험지수’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 이 과제에서는 전국의 810개 집수역에 대해 각각의 평년기후특성을 기후요소별 정규분포곡선으로 표현하고, 각 집수역에서 실제로 관측 혹은 예측되는 기상조건이 해당 집수역 주작물의 생육에 지장을 줄만큼 위험한지 여부를 확률지수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때 작물의 발육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정규분포곡선을 준비하여 단계별 위험지수를 계산하는 데 사용한다.

가설 설정

  • 위험기상과 여기에 노출된 작물 사이 상호작용으로부터 발생하는 피해 가능성(likelihood)을 ‘재해위험지수’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한 집수역에서 오랜 기간 재배되어 온 작물은 이 집수역 특유의 환경조건(토양과 기후)에 맞춰 개체생장과 종족보존 측면에서 최적화를 이루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작물을 다른 집수역에 오랜 기간 재배한다면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외부 형태와 내부 기능(예, 초장, 잎의 크기-두께형태, 줄기의 굵기, 과일의 당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경보체계란 무엇인가? , 2000). UNISDR는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추진할 실행기본계획(Framework for Action)을 채택하였는데, 예전과 달리 그 초점이 예방과 준비(prevention and preparedness)에 있으며, 이를 달성하는 데는 위험가능성을 포착하고 정량화(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otential risks) 하는 기술, 즉 조기경보체계(early warning system)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재해관리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재해관리는 위기관리와 위험관리로 나눌 수 있는데, 태풍이나 호우 같은 위험기상은 어차피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과거에는 재해의 사후분석과 복구로 구성된 위기관리 중심이었다. 이에 반해 위험관리는 예측과 준비를 통해 예방(보호)하는 데 중점을 둔다(Wilhite et al.
기존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기경보체계의 한계는 무엇인가? 따라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기경보체계는 반드시 '위치와 장소'를 기반으로 그곳의 영농정보를 바탕으로 할 때만 효율적이다. 기존 조기경보체계는 다양한 영농현장에 대한 구체적 위험을 알려주지 못하며, 농가의 개별적 상황이 대응조치에 반영되지 못하고, 악기상의 장기 누적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지발재해'나 둘 이상의 기상요소가 동시에 작용하는 '복합재해'에 대한 고려가 없다. 본 강좌에서는 선행연구들에 의해 확보된 '농가맞춤형 기상위험 관리기술'을 토대로, 필지단위 국지기상조건을 재배중인 작물의 종류와 발육단계에 맞춘 '재해위험지수'로 정량화하고, 이를 평년기준과 비교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을 판단하며, 적절한 대응방안과 함께 재배농가에게 일대일로 전달하는 '맞춤형 농업기상서비스' 구축에 관하여 논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H. M., K. W. Chung, and C. H. Cho,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solar radiation at ground level and related meteorological parameters.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3, 26-34. 

  2. Gunasekera, D., 2004: Natural disaster mitigation: Role and value of warnings, Outlook 2004. Speaker Papers, Disaster Management Workshop Session, Canberra, Australia. 

  3.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6: Disaster Statistics [1991-2005] (Available at http://www.unisdr.org/disaster-statistics/pdf/isdrdisaster-statistics-impact.pdf) 

  4.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eduction, 2005: Hyogo Framework for Action 2005-2015: Building the Resilience of Nations and Communities to Disasters. (Available at http://www.unisdr.org/eng/hfa/hfa.htm). 

  5. Kim, D. J., and J. I. Yun, 2013: Improving us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s digital forecasts in agriculture: 2. Refining the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amou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3), 171-177. DOI: 10.5532/KJAFM.2013.15.3.171 

  6. Roberts, M. J., D. Schimmelpfennig, M. J. Livingston, and E. Ashley, 2009: Estimating the value of an early-warning system.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31(summer), 303-329, DOI: 10.1111/j.1467-9353.2009.01439.x 

  7. Sievers, U., and W. G. Zdunkowski, 1986: A micro-scale urban climate model. Beitrage zur Physik der Atmosphare 69(1), 13-40. 

  8. Tang, X., and Y. Zou, 2009: Overview of Shanghai MHEWS and the role of NMHS. Second Experts' Symposium on MHEWSs with Focus on the Role of NMHSs, 5-7 May 2009, Toulouse, France. (Available at http://www.wmo.int/pages/prog/drr/events/MHEWS-IIPresentations/Session%201/Shanghai/ShanghaiMHEWS.pdf34) 

  9. Wilhite, D.A., M. J. Hayes, C. Knutson, and K. H. Smith, 2000: Planning for Drought: Moving from crisis to risk management. Journal of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 697-710. 

  10. WMO, 2010: Guidelines on Early Warning Systems and Application of Nowcasting and Warning Operations. PWS-21, WMO / TD No. 1559, 22pp. (Available at: http://www.wmo.int/pages/prog/amp/pwsp/documents/PWS-21.pdf) 

  11. Yun, J. I., 2009: A simple method using a topography correction coefficient for estimating daily distribution of solar irradiance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1), 13-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Yun, J. I., S. O. Kim, J. H. Kim, and D. J. Kim, 2013: User-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to local farming community: a case stud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320-331. DOI: 10.5532/KJAFM.2013.15.4.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Zhang, X., and F. Yang, 2004: RClimdex 1.0 User Manual. Climate Research Branch, Environment Canada. 23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