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우 인공수정에서 수정적기 진단키트 활용이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timal Heat Detection Kit on Fertility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I) in Hanwoo (Korean Native cattle) 원문보기

Journal of embryo transfer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v.32 no.3, 2017년, pp.153 - 157  

최선호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진현주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artificial insemination (AI) time with diagnostic kit at ovulation time. We already applied the patent about the protein in the cow heat mucose in external reproductive tract. And we would examine the accuracy for detection of cow heat by the kit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토대로 유전체의 발현율을 재검증하여 발현 특이 단크론 항체를 제작하는 등 키트화하는 기반을 구축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은 이러한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암소 발정 시 발현되는 특이 단백질을 탐색하는 소 수정적기 진단키트를 활용하여 한우 농가의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발정키트 사용 후 발정발현율과 인공수정 임신율을 각각 조사하였다
  • 이와 같이 발정 확인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사양관리의 차이에 의해 발정의 강약, 점액의 출현 및 점액 양의 차이, 발정기에 점액의 형태 및 양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에 의해 발정의 확인 및 이를 확인하여 인공수정 적기를 결정하는 것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냄으로 정확하고 과학적인 발정 발견 방법의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정기와 배란기의 사이에 나타나는 단백질을 탐색하여 적정한 수정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발정기 단백질에 대한 특허를 요청하였고 이러한 기전을 활용한 진단키트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확인한 결과 일정한 결과를 얻게 되어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특히 자연발정과 발정동기화와 무관하게 외형적인 발정의 확인에 의해 인공수정 시 다소 높은 수태율을 보여 적절한 번식우 사양관리 방법으로 수태율을 일정 수준 혹은 향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정 관찰을 위해 사용되는 기구나 장비가 가진 특징은? 최근 발정 관찰을 위해 제작된 기구나 장비는 발정 분비물의 점도나 센서의 전기적 저항반응과 외음부의 온도(Sakatani등, 2016)등의 외부생식기의 현상을 관찰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CCTV 관찰 및 적외선 카메라와 열화상카메라(Talukder 등, 2015)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으나, 화학적 분석 등에 입각한 발정 측정과 수정적기의 판단은 전무한실정이다. 한편 사람에 있어서 타액의 estradiol(Ozono 등,1992; Guida 등, 1993; Fehring과 Gaska, 1998)이나 소에서 건조시킨 타액의 결정 형태(Ravinder 등, 2016), 낙타(Haberova,2010), 개(Pardo-Carmona 등, 2010) 를 확인하여 수정적기를 판단하는 것이 과학적인 방법이라 보고되고 있다.
현재 보고되고 있는 수정적기 판단을 위한 과학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 발정 관찰을 위해 제작된 기구나 장비는 발정 분비물의 점도나 센서의 전기적 저항반응과 외음부의 온도(Sakatani등, 2016)등의 외부생식기의 현상을 관찰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CCTV 관찰 및 적외선 카메라와 열화상카메라(Talukder 등, 2015)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있으나, 화학적 분석 등에 입각한 발정 측정과 수정적기의 판단은 전무한실정이다. 한편 사람에 있어서 타액의 estradiol(Ozono 등,1992; Guida 등, 1993; Fehring과 Gaska, 1998)이나 소에서 건조시킨 타액의 결정 형태(Ravinder 등, 2016), 낙타(Haberova,2010), 개(Pardo-Carmona 등, 2010) 를 확인하여 수정적기를 판단하는 것이 과학적인 방법이라 보고되고 있다. 현재의 발정 관찰 방법은 발정 징후가 나타나는 암소의 반응을 식별하여 승가허용, 발정분비물, 보행의 횟수(Talukder 등, 2015) 등을 관찰하는 방법이나 미약 발정과 같이 발정징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의 발정 관찰은 어려운 실정으로, 수태율을 높이기 위해서 2~3회의 인공수정을 실시함으로서 발정의 미발견이나 재발정율 등으로 인한 수태율 저하를 줄이려 하고 있다.
기존의 발정관찰 방법 중 승가나 외음부의 변화 및 점액의 출현 형태 등으로 관찰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이 가진 문제점은? 최근 한우산업은 규모화되어 사육두수가 늘어나면서 발정관찰을 위해 관리해야 할 암소가 많아 정확하고 편리한 발정 발견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나, 대부분이 승가나 외음부의 변화 및 점액의 출현 형태 등으로 관찰하여 임신을 유도하고 있다. 이 방법은 빈번한 관찰에 의해 가능한 방법이나 사육두수가 많은 경우는 한계가 있으므로, 번식관리 일지에 발정주기를 잘 기록하여 하는 방법이 있으나(김 등, 2012), 역시 사육두수의 문제와 농가별 사양관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나타낸다. 그래서 개량된 방법은 암소의 미근부에 안료가 든 주머니를 부착하여 승가 압력에 의해 안료주머니가 터지면 발정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는데, 그것을 ICT에 접목한 것은 미근부에 승가 시 발생하는 압박 자극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하여 조명이 들어오거나(조 등, 2008), 자극 신호를 무선으로 컴퓨터에 전달하는 등의 방법이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lazquez NB, Batten EH, Long SE, Perry GC and Whelehan OJ. 1989. A quantit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he bovine vaginal epitherlium during the oestrous cycle. Journal of Comparative Pathology 100:187-193. 

  2. Dos Santos AC, Viana DC, Oliveira GB, Silva RD, Oliveira MF and Assis-Neto AC. 2017. Follicular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vaginal epithelium during the estrous cycle og Galea spixii. Microsc. Res. Tech. 80:167-176. 

  3. Fehring RJ and Gaska N. 1998. Evaluation of the lady free biotester in determining the fertile period. Contraception 57:325-328. 

  4. Guida M, Barbato M, BrunoP, Lauro G, and Lampariello C. 1993. Salivary ferining and the menstrual cycle in women. Clin. Exp. Obstet. Gynecol. 20:48-54. 

  5. Geppert TC, Meyer AM, Perry GA and Gunn PJ. 2016. Effects of excess metabolizable protein on ovarian function and circulating amino acids of beef cows: 2. Excessive supply in varying concentrations from corn gluten meals. Animal 9:1-9. 

  6. Haberova T. 2010. A preliminary study of saliva crystallization in Bactrian camels (Camelus bactrianus). In: Cusimani EF, Havrland B, editors. 4th Scientific conference of institute of tropic and subtropics on sustainable use of natural resources in tropic and subtropics. Plague:CULS Prague; p.28. 

  7. Hayashi K, Hayashi M, Boutin E, Cunha GR, Bernfield M and Trelstad RL. 1988. Hormoanl modification of epitherial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cell surface hepara sulfate proteoglycan in the mouse vaginal epithelium. An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Lab. Invest. 58:68-76. 

  8. Ingenhoff L, Hall E and House JK. 2016. Evaluation of a cow-side milk progesterone assay and assessment of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oestrus diagnosis by dairy farmers in New South Wales. Austral. Vet. Jourl. 94:445-451. 

  9. Mingoas JLK and Ngayam. 2009. Preliminary findings on vaginal epithelial cells and body temperature changes during oestrous cycle in Bororo Zebu cow. Int. J Biol. Chem. Sci. 3:1. 

  10. Ozono S, Onozuka M, Sato K, and Ito Y. 1992.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estradiol, progesterone, and progesterone receptor in human salivary glands and salivary adenoid cystic carcinomas. Cell Struct. Funct. 17:169-175. 

  11. Pardo-Carmona B, Moyano MR, Fernandez-Palacious R and Perez-Marin CC. 2010. Saliva crystallization as a means of determining optimal mating time in bitches. J. Small Anim. Pract. 51:437-442. 

  12. Ravinder R, Kaipa O, Baddela VS, Sinha ES, Singh P, Nayan V, Velagarla CSN, Baithalu RK, Onteru SK and Singh D. 2016. Saliva ferning, an unorthodox estrus detection method in water buffaloes (Bubalus bubalis). Theriogenology 86:1147-1155. 

  13. Redden KD, Kennedy AD, Ingalls JR and Gilson TL. 1993. Detection of estrus by radiotelemetric monitoring of vaginal and ear skin temperature and pedometer measurements of activity. J. Dairy Sci. 76:713-721. 

  14. Sakatani M, Balboula AZ, Yamanaka K and Takahashi M. 2012. Effect of summer heat enviroment on body temperature, estrous cycle and blood antioxidant levels Japanese Black cow. J. Anim. Sci. 83:394-402. 

  15. Sakatani M, Takahashi M and Takenouchi N. 2016. The efficiency of vaginal temperature measurement for detection of estrus in Japanese Black cows. J. Reprod. Dev. 62:201-207. 

  16. Talukder S, Thomsom PC, Kerrisk KL, Clark CE and Celi P. 2015. Evaluation of infrared thermography body temperature and collar-mounted accelerometer and acoustic technology gor predictiong time of ovulation of cows in a pasture-based system. Theriogenology 83:739-748. 

  17. Tongku NS, Juli M, Rohaya, Cut NT, Dian M, Sri W, Juliana R, Nurhafni, Budianto P and Herrialfian. 2016. Determining proportion of exfoliative vaginal cell during various stages of estrus cycle using vaginal cytology techniques in Ach cattle. Vet. Med. Intl. Vol. Article ID 3976125. 

  18. 박수봉, 서국현, 전기준, 최재관, 정영훈, 조원모, 백봉현, 나기준, 백광수, 전병순, 우제석, 안병석. 2002. 소 발정관찰방법 개선에 의한 번식률 향상, 농촌진흥청 영농기술정보. 

  19. 조원모, 장선식, 권응기, 조영무, 신기준, 강수원, 백봉현, 유용희, 최영경. 2008. 발정개시시간 표시기를 이용한 한우 암소 발정관찰 활용, 농촌진흥청 영농기술정보. 

  20. 김경호, 진현주, 천동원, 백광수, 이명식, 장성운. 2012. 소 번식관리시스템 활용, 농촌진흥청 영농기술정보.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