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경사 복원 농경지 토양 유실 저감을 위한 개량제 효율 및 현장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mending Materials to Reduce Soil Loss from Sloping Remediated Agricultural Land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4 no.3, 2017년, pp.180 - 185  

황원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박민석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현승훈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지원현 (한국광해관리공단) ,  이상환 (한국광해관리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광산 활동에 의해 오염된 농경지의 복원은 개량제 처리와 복토를 기반의 미량원소 안정화 기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복원된 부지 중 경사 농경지에서 토양 유실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종의 개량제 (벤토나이트, 석회, 유기물, 제강슬래그)를 다양한 비율로 단일 또는 복합처리 한 후 입단 형성의 효율을 평가했다. 복토재는 점토함량이 다른 3가지 토양 (A 토양=9.4%, B토양=14.7%, C 토양=21.2%)을 대상으로 했다. 단일처리 결과, A 토양은 유기물 5%, B와 C 토양은 석회 5%가 각 토양의 대조구에 비해 입단 형성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9가지 복합처리구 중에서 A 토양은 유기물 3% + 석회 1%, B와 C 토양은 유기물 1% + 석회 3% 처리구의 입단 형성이 가장 높았다 (A 토양=30.4%, B 토양=25.0%, C 토양=36.5%). 현장처리를 위해 각 복토재 (A 토양=0.045, B 토양=0.051, C 토양=0.054)와 국내 농경지의 평균 (0.032) 토양침식인자 차이만큼을 개량제에 의한 목표 입단 형성량으로 설정하였다(29.1% 입단형성). 비용편익을 고려한 최적 개량제 선정한 결과 A와 B 토양은 석회 3%, C 토양은 석회 5%가 가장 적합 했으며, 이를 통한 경사진 복원된 경사 농경지에서 토양 유실을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저감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 석회 처리에 의한 토양 알칼리도 상승은 고려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toration of min-impacted arable land is often performed through stabilization of trace elements by amendment treatment combined with (clean) soil covering on the surface. Recently, soil loss problem from sloping remediated agricultural lands has risen as an emerging concern. In this study, effi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점토함량이 다른 복토재 (cover soil)로 이용되는 3가지 토양을 대상으로 유기물 (Organic Matter, OM), 석회 (Lime), 제강슬래그 (Steel Slag), 벤토나이트 (Bentonite) 개량제를 처리하고 입단 안정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단일처리인 경우 1%, 3%, 5% 수준으로 개량제를 처리하였다.

가설 설정

  • (1971)의 식을 이용한 토양침식인자를 제공하고 있다 (MOE 2017). 전국에 분포한 383개 토양 통의 평균값은 0.032이었으며, 이 값을 농경지 평균으로 가정했다. 입단 형성 목표값은 3가지 복토재 토양의 평균 토양침식인자와 전국 농경지 평균 토양침식인자의 차이를 Angima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유실 저감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토양 유실 저감을 위해서는 토양의 입단 안정성(aggregation stability)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데, 높은 입단 안정성을 가지는 토양은 보수성 및 투수성이 높아 토양 유실량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Cantón et al. 2009).
광산 활동에 의해 오염된 농경지의 복원은 무엇으로 진행되고 있는가? 광산 활동에 의해 오염된 농경지의 복원은 개량제 처리와 복토를 기반의 미량원소 안정화 기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최근 복원된 부지 중 경사 농경지에서 토양 유실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광산 하류에 위치한 농경지에서 광업 활동에서 유래된 금속성 원소(비소, 카드뮴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행한 방법은? 결과적으로, 광산 하류에 위치한 농경지에서 광업 활동에서 유래된 금속성 원소(비소, 카드뮴 등)에 의한 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한국광해관리공단에서는 2007년부터 광해방지사업을 시행하여 총 1,219개의 폐금속광산 및 647개소의 오염 농경지를 대상으로 토양개량 사업을 수행하였다 (MIRECO 2013). 현재 오염 농경지 토양개량 사업은 안정화제 처리를 병행한 복토 공법 기반으로 진행되는데, 최근 영월 이화광산, 제천 동아광산 등 경사도 15° 이상의 급경사 농경지에서 복원 후 강우에 의한 토양 유실이 발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zketa, E. 1999. Soil aggregate stability: a review. Journal of sustainable agriculture 14: 83-151. 

  2. Angima, S.D., Stott, D.E., O'Neill, M.K., Ong, C.K., and Weesies, G.A. 2003. Soil erosion prediction using RUSLE for central Kenyan highland condition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97: 295-308. 

  3. Baek, S.H., Kim, J.Y., Lee, S.U., and Kim, S.J. 2010. Influence of Continuous Application of Gypsum, Popped Rice Hull, and Zeolite on Soil Aggregation of Reclaimed Sandy Loam Soil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3: 642-647. (in Korean) 

  4. Bronick, C.J. and Lal, R. 2005. Soil structure and management: A review. Geoderma 124: 3-22. 

  5. Canton, Y., Sole-Benet, A., Asensio, C., Chamizo, S., and Puigdefabregas, J. 2009. Aggregate stability in range sandy loam soils relationships with runoff and erosion. Catena 77: 192-199. 

  6. Doan, T.T., Henry-des-Tureaux, T., Rumpel, C., Janeau, J.L., and Jouquet, P. 2015. Impact of compost, vermicompost and biochar on soil fertility, maize yield and soil erosion in Northern Vietnam: a three year mesocosm experime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514: 147-154. 

  7. Duchicela, J., Sullivan, T.S., Bontti,E., and Bever, J.D. 2013. Soil aggregate stability increase is strongly related to fungal community succession along an abandoned agricultural field chronosequence in the Bolivian Altiplano. Journal of Applied Ecology 505: 1266-1273. 

  8. Jung, B.G., Choi, J.W., Yun, E.S., Yoon, J.H., and Kim, Y.H. 2001. Monitoring on Chemical Properties of Bench Marked Upland Soils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4: 326-332. (in Korean) 

  9. MOE. 2017. Enforcement Decree of the Soi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No. 14476, Ministry of Environment. 

  10. Liu, X.H., Han, F.P., and Zhang, X.C. 2012. Effect of biochar on soil aggregates in the Loess Plateau: results from incubation experi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Biology 14: 975-979. 

  11. MIRECO. 2013. Yearbook of MIRECO Statistics. Mine Reclamation Corporation, Seoul, Korea. (in Korean) 

  12. NIAST. 2011. Methods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in Korean) 

  13. Roth, C.H., Pavan, M.A. 1991. Effects of lime and gypsum on clay dispersion and infiltration in samples of a Brazilian Oxisol. Geoderma 48: 351-361. 

  14. Tisdall, J.M., and Oades, J. 1982. Organic matter and water-stable aggregates in soils. European Journal of Soil Science 33: 141-163. 

  15. Yun, J.H. 2004. Review and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soil quality indicator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7:3 191-198. (in Korean) 

  16. Wischmeier, W.H., Johnson, C.B., and Cross, B.V. 1971. Soil erodibility nomograph for farmland and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26: 189-193. 

  17. Wuddivira, M.N., and Camps-Roach, G. 2007. Effects of organic matter and calcium on soil structural stability. European Journal of Soil Science 58: 722-7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