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IV/AIDS 감염인의 영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9, 2017년, pp.216 - 225  

김리원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건태 (서강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영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IV/AIDS 감염인 26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그 다음 단순화된 종교 영성 다차원척도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 Spirituality 척도를 이용하여 영성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영성적 요인은 일상생활 안에서의 영적 경험, 가치/믿음, 용서, 개인적인 종교생활, 종교적/영적 대처기술, 종교적 후원의 6개의 하위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성적 요인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이용가능 표본추출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삶의 질에 대한 변인들의 영향력 검증을 위해 OLS 회귀분석을 한 결과, 소득수준, 질병의 심각도, 용서, 그리고 종교적/영적 대처기술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영성적 요인도 크게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HIV/AIDS 감염인의 영성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했으며, 감염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제언,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pirituality on the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60 people living with HIV/AID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piritual experience in ordinary life, value and belief, forgiv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IV/AIDS 감염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IV/AIDS 감염자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성과 삶의 질에 관한 국내외 자료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연구에 참여한 HIV/AIDS 감염인 260명의 설문자료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 분석 및 OLS 회귀분석을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계결과를 토대로 삶의 질에 보다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영성 하위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현장에서 영성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될 부분을 구체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가설 설정

  • 가설 1. HIV/AIDS 감염인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삶의 질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 가설 2. HIV/AIDS 감염인의 영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IV 감염인이 받은 오해는 무엇인가? 과거 HIV 감염인은 남성끼리의 성생활을 한다거나, 혹은 매매춘 산업에 종사하거나, 주사로 마약을 투여하다가 감염되었을 것이라는 도덕적 낙인으로 많은 오해를 받았다. 현재에도 감염인은 자신의 감염사실을 숨기며 생활해야 되는 심리적 부담을 겪으며 대인관계에서의 위축과 사회적 지지의 단절을 경험한다.
HIV/AIDS 감염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이와 같이 감염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득, 감염기간, 사회적지지, 사회적 낙인 등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HIV/AIDS 감염인이 질병으로 인해 삶이 목적과 인생의 의미에 위협을 받게 되고, 희망·죽음·애도·의미·상실의 문제에 직면할 때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교나 영성에 관심을 기울이게 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HIV란?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는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로 인체 내에 들어와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를 공격하여 면역체계를 파괴시키는 바이러스를 말하며,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이 HIV 감염인이다. HIV 감염으로 인한 세포면역기능의 결함이 있고, 기회감염이 있게 되는 것을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라고 부르며, 이런 상태에 이른 사람을 AIDS 감염인이라고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ternet]http://www.cdc.go.kr/CDC/health/CdcKrHealth0101.jsp?menuIdsHOME001-MNU1147-MNU0746-MNU2422&fid7955&cid68907, (accessed 2016. 12. 30.) 

  2. S. M. Kwon, S. Y. Kim, J. S. Lee, U. Y. Ko, "Mental Health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HIV infected Korean M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0, no. 1, pp. 219-228, 2001. 

  3. S. B. Shin, "A Study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31, no. 4, pp. 424-453, 2011.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1.31.4.424 

  4. S. A. Lim, "Influence of Depression among HIVinfected People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8, no. 2, pp. 363-381, 2013. DOI: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7 

  5. J. S. Park, Y. M. Park, T. Y. Chung, "The Influence of religiosity on general trust, self-efficacy and lifesatisfaction", The Religious Study, vol. 55, pp. 159-190, 2009. 

  6. R. Gotterer, "The spiritual dimension in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A client perspective. Families in Society", The Journal of Contemporary Human Service, vol. 81, no. 2, pp. 187-193. 2001. 

  7. J. Y. Oh, "Social work practice and spirituality", Korean Journal of welfare counciling, vol. 4, no. 1, pp. 55-66. 2009. 

  8. A. Lazar, "Lay Conceptualization of Spirituality and Religiousness Among Jewish Israeli Men and Women", Review of Religious Research, vol. 56, no. 1, p. 108. 

  9. J. R. Webb, "Spiritual Factors and Adjustment in Medical Rehabilitation: Understanding Forgiveness as a Means of Coping", Journal of Applied Rehabilitation Counseling, vol. 34, no. 3, p. 17, 2003. 

  10. H. G. Koenig, "Religion, Spirituality, and Health: The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Psychiatry, p.3. 2012. 

  11. J. A. Neff, "A New Multidimensional Measure of Spirituality-Religiosity for Use in Diverse Substance Abuse Treatment Populations",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ociety of Religion, vol. 47, no. 3, pp. 394-395, 2008 

  12. S. Hafizi, D. Tabatabaei, H. G. Koenig,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Religion: A perspective from Muslim country", Iranian Journal of Psychiatry, vol. 9, no. 1, p.137, 2014. 

  13. S. O. Choi, S. N. Kim, "Suicidal Ideation and Spirituality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7, no. 2, p. 191, 2011.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90 

  14. M. L. White, "Spirituality Self-Care Practices as a Mediator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Religion, vol. 54, no. 7, p. 1, 2016. DOI: https://doi.org/10.3390/rel7050054 

  15. A. W. McDonald, R. L. Gorsuch., "Surrender to God: An additional coping style",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vol. 28, no. 2, pp. 149-161, 2000. 

  16. H. G. Koenig, "Religion, Spirituality, and Medicine: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Southern Medical Association, vol. 97, no. 12, p. 1196, 2004. DOI: https://doi.org/10.1097/01.SMJ.0000146489.21837.CE 

  17. C. M. Puchalski, "Religion, Medicine and Spirituality : What We Know, What We Don't Know and What We Do",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 11, p. 47, 2010. 

  18. H. L. Moon, " Th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married immigrant women and on their quality of life", Master's Essay at Chung-Ang University, p. 58, 2006. 

  19. Y. G. Choi, "A Study on Influence Factor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Recipients : Focus on Life Satisfaction Survey", Master's Essay at Myongji University, pp. 20-25, 2016 

  20. S. M. Smedema, D. Catalano, D. J. Ebener, "The relationship of Coping, Self-Worth, and Subjective Well-Be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vol. 3, no. 53, p. 132, 2010. 

  21. I. J. Lee, Y. S. Rhe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4, no. 3, p. 351, 2013. 

  22. S. K. Kang, "Effects of Social Stigma, Spirituality, and Self-Esteem on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 Studies on Life and Culture, vol. 38, no. 3, p. 106, 2015. 

  23. N. Wig, R. Lekshmi, H. Pal, V. Ahuja, C. M. Mittal, S. K. Agarwal, "The impact of HIV/AIDS on the quality of life: a cross sectional study in north India", Indian Journal Medical Sciences, vol. 60, no. 1, pp. 3-12, 2006. DOI: https://doi.org/10.4103/0019-5359.19670 

  24. Y. S. Byeon, K. H. Lee, "The Life Change Events of Patients with AIDS in Korea", Qualitative Research, vol. 7, no. 2, pp. 1-11, 2006. 

  25. D. Ragsdale, J. Morrow, "Quality of life as a function of HIV classification", Nursing Research, vol. 39, pp. 355-359, 1990. DOI: https://doi.org/10.1097/00006199-199011000-00007 

  26. K. Siegel, E. W. Schrimshaw, "The Perceived Benefits of Religious and Spiritual Cop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with HIV/AIDS",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41, no. 1, p. 95, 2002. DOI: https://doi.org/10.1111/1468-5906.00103 

  27. H. Y. Yoon, G. H. Kim,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Brie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Religiousness/Spirituality Scal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57-274. 2015. DOI: https://doi.org/10.15207/JKCS.2015.6.5.257 

  28. B. J. Oh, K. A. Kang, "Spirituality : Concept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0 no. 5, pp. 1145-1155, 2000. DOI: https://doi.org/10.4040/jkan.2000.30.5.1145 

  29. K. I. Pargament, B. W. Smith, H. G. Koenig, L. Perez, "Patterns of positive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with major life stressors",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vol. 37, pp. 711-725, 1998. DOI: https://doi.org/10.2307/1388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