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바이오플락 및 일반 해수에서 질산염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 미치는 급성 독성 및 혈액학적 성상의 변화
Lethal Toxicity and Hematological Changes Exposed to Nitrate in Flatfish, Paralichthys olivaceus in Biofloc and Seawater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3, 2017년, pp.373 - 379  

배선혜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기욱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수경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종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김준환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넙치 치어 (평균 체장 $19.8{\pm}2.6cm$, 평균 체중 $19.8{\pm}2.6cm$)를 바이오플락에 각 농도별 0, 62.5, 125, 250, 500, 1,000, $1,500mg\;L^{-1}$질산염과 일반 해수에 각 농도별 0, 62.5, 125, 250, 500, $1000mg\;L^{-1}$의 질산염을 96시간 노출시킨 후 생존율 및 혈액학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넙치 치어의 반수치사농도 ($96h\;LC_{50}$, 96시간 노출 후 총 개체수의 50%가 폐사하는 농도)는 바이오플락 내의 질산염 노출 실험구에서는 $1,226mg\;NO_3L^{-1}$, 해수에서는 $597mg\;NO_3L^{-1}$ (P<0.05)였으며, 이는 넙치 유생이 높은 질산염에 노출되었을 경우, 같은 농도에서도 바이오플락 사육수 보다 일반 해수에서 생물에 독성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혈액학적 분석 결과에서는 일반 해수에서 넙치의 hematocrit는 $250mg\;L^{-1}$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낸 반면, 바이오플락에서 넙치의 hematocrit는 $1,000mg\;L^{-1}$의 질산염 노출에서만 대조구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P<0.05). 그러나, hemoglobin은 일반 해수와 바이오플락 모두 질산염 농도 의존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산염 노출에 따른 혈장 효소 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혈장 AST와 ALT의 경우, 바이오플락과 일반 해수 모두 각 농도별 질산염 노출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ALP의 경우 두 실험구에서 모두 질산염 농도 증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사육된 넙치가 일반해수에 사육된 넙치에 비해 단기간 질산염 노출에 대한 한계농도 및 혈액학적 성상에서 더 높은 질산염 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해수보다 바이오플락 내의 질산염 노출이 상대적으로 생물에게 낮은 독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효과는 양식에 있어 바이오플락을 이용함으로써 잠재적인 질산염 독성 영향을 경감시켜줄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venile Paralichthys olivaceus (mean length $19.8{\pm}2.6cm$, mean weight $97.8{\pm}15.8g$) were exposed for 96 hours to different nitrate concentrations of 0, 62.5, 125, 250, 500, 1,000, and $1,500mg\;L^{-1}$ in biofloc and 0, 62.5, 125, 250, 500, and $1,000m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어류에서의 바이오플락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많이 부족한 상황이며, 사육 기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험의 목적은 급성 질산염 노출에 따른 바이오플락과 일반 해수 사육 넙치의 반수치사농도 확인 및 혈액학적 성상의 변화를 통해서, 사육수 조성에 따른 넙치의 질산염 내성의 차이를 확인 및 독성기준을 마련하고, 향후 만성노출실험에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유동물에서 소화된 질산염이 소화관에 미치는 영향은? 수중의 높은 수준의 질산염은 어류의 산소운반색소 (oxy-gen-carrying pigment)인 hemoglobin과 hemocyanin을 산소를 운반할 수 없는 methemoglobin의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주요 독성작용을 나타낸다 (Scott and Crunkilton 2000; Cheng and Chen 2002). 또한, 포유동물에서 소화된 질산염은잠재적인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 (nitrosamine) 형성을 하며, 소화관의 암 발생을 유발할 수도 있다 (Camargo et al. 2005).
수중의 높은 수준의 질산염이 어류에게 미치는 영향은? 수중의 높은 수준의 질산염은 어류의 산소운반색소 (oxy-gen-carrying pigment)인 hemoglobin과 hemocyanin을 산소를 운반할 수 없는 methemoglobin의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주요 독성작용을 나타낸다 (Scott and Crunkilton 2000; Cheng and Chen 2002). 또한, 포유동물에서 소화된 질산염은잠재적인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 (nitrosamine) 형성을 하며, 소화관의 암 발생을 유발할 수도 있다 (Camargo et al.
바이오플락 기법을 이용한 양식방법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넙치 양식장은 다른 어종에 비해서 많은 수량을 필요로 하는 어종이다. 양식용수의 유입수와 배출수는 가까운 연안에서 공급 및 배출이 되며, 과다한 양식 배출수로 인한 연안의 오염으로 정화되지 않은 오염된 유입수는 양식 생물의 건강성을 위협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물 교환을 최소한으로 하는 바이오플락 기법을 이용한 양식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핵심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onso A and JA Camargo. 2003. Short-term toxicity of ammonia, nitrite, and nitrate to the aquatic snail Potamopyrgus antipodarum (Hydrobiidae, Mollusca). Bull. Environ. Contam. Toxicol. 70:1006-1012. 

  2. Camargo JA, A Alonso and A Salamanca. 2005. Nitrate toxicity to aquatic animals: a review with new data for freshwater invertebrates. Chemosphere 58:1255-1267. 

  3. Cheng SY and JC Chen. 2002. Study on the oxyhemocyanin, deoxyhemocyanin, oxygen affinity and acid-base balance of Marsupenaeus japonicus following exposure to combined elevated nitrite and nitrate. Aquat. Toxicol. 61:181-193. 

  4. Harikrishnan R, MC Kim, JS Kim, C Balasundaram and MS Heo. 2011. Protective effect of herbal and probiotics enriched diet on haematological and immunity status of Oplegnathus fasciatus (Temminck & Schlegel) against Edwardsiella tarda. Fish Shellfish Immunol. 30:886-893. 

  5. Iqbal F, IZ Qureshi and M Ali. 2004.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kidney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following nitrate exposure. J. Res. Sci. 15:411-418. 

  6. Irshad AH, AK Verma, AMB Rani, G Rathore, N Saharan and AH Gora. 2016. Growth, non-specific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of Labeo rohita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in biofloc systems using different carbon sources. Aquaculture 457:61-67. 

  7. Jensen FB. 1996. Uptake, elimination and effects of nitrite and nitrate in freshwater crayfish (Astacus astacus). Aquat. Toxicol. 34:95-104. 

  8. Kim JH and JC Kang. 2014. The selenium accumulation and its effect on growth, and haematological parameters in red sea bream, Pagrus major, exposed to waterborne selenium. Ecotoxicol. Environ. Saf. 104:96-102. 

  9. Kim JH and JC Kang. 2015. The lead accumulation and hematological findings in juvenile rock fish Sebastes schlegelii exposed to the dietary lead (II) concentrations. Ecotoxicol. Environ. Saf. 115:33-39. 

  10. Kim JH and JC Kang. 2016. The chromium accumulation and its physiological effects in juvenile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exposed to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hromium (Cr6+) concentrations. Environ. Toxicol. Pharmacol. 41:152-158. 

  11. Kim JH and JC Kang. 2017. Effects of dietary chromium exposure to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are ameliorated by ascorbic acid. Ecotoxicol. Environ. Saf. 139:109-115. 

  12. Kim MS, EY Min, JH Kim, JK Koo and JC Kang. 2015a. Growth performance and immunological and antioxidant status of Chinese shrimp, Fennerpenaeus chinensis reared in bio-floc culture system using probiotics. Fish Shellfish Immunol. 47:141-146. 

  13. Kim SH, IK Hwang, JC Kang and JH Kim. 2015b. Changes of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plasma constituents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TBT. J. Fish Patol. 28:87-92. 

  14. Long L, J Yang, Y Li, C Guan and F Wu. 2015. Effect of biofloc technology on growth, digestive enzyme activity, hematology, and immune response of genetically improved farmed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quaculture 448:135-141. 

  15. Scott G and RL Crunkilton. 2000. Acute and chronic toxicity of nitrate to fathead minnows (Pimephales promelas), Ceriodaphnia dubia, and Daphnia magna. Environ. Toxicol. Chem. 19:2918-2922. 

  16. van Bussel, CGJ, JP Schroeder, S Wuertz and C Schulz. 2012. The chronic effect of nitrate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health status of juvenile turbot (Psetta maxima). Aquaculture 326-329:163-167. 

  17. Vedel NE, B Korsgaard and FB Jensen. 1998. Isolated and combined exposure to ammonia and nitrite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effects on electrolyte status, blood respiratory properties and brain glutamine/glutamate concentrations. Aquat. Toxicol. 41:325-342. 

  18. Xu WJ and LQ Pan. 2013.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status of Litopenaeus vannamei juvenile in biofloc-based culture tanks manipulating high C/N ratio of feed input. Aquaculture 412-413:117-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