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래불 해안사구에서 염생식물의 공간분포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the Goraebul Coastal Sand Dune,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5 no.3, 2017년, pp.380 - 388  

정민형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석철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홍보람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규송 (강릉원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래불 해안사구에서 2012년 6월에 염생식물공간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해안에 인접하여 일차사구가 그리고 초본식생과 송림이 만나는 경계선에 2차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고래불 사구에서 염생식물은 크게 전사구와 사구저지에 분포하는 갯그령,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및 갯방풍의 한 그룹, 사구저지에 주로 분포하는 갯완두와 왕잔디의 두 번째 그룹, 그리고 배후사구인 송림 내에 분포하는 곰솔, 순비기나무 및 해란초의 세 번째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안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염생식물의 분포는 갯씀바귀 - 갯그령 - 통보리사초 - 갯메꽃 - 갯방풍 - 왕잔디 - 갯완두 - 해란초 - 순비기나무의 순이었다. 모래의 이동이 많아서 사구 내에서 비교적 불안정하고 변화가 많은 서식지에는 갯그령,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씀바귀 및 갯방풍이 주로 분포하였다. 순비기나무는 안정된 서식지에 분포하였다. 고래불 사구에서 염생식물의 분포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해안으로부터 거리, 지형 그리고 송림의 분포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고래불 사구는 상대적으로 인간의 간섭이 적고 식생이 잘 보전된 지역이다. 따라서 다른 사구 지역에 비해 인간의 간섭보다는 자연적인 과정들에 의한 물리화학적 요인들의 상이한 분포가 염생식물의 공간분포에 더욱 중요하다. 고래불 사구에서 중요한 자연적인 과정들은 파랑에 의한 해안선의 전진과 후퇴, 바람과 파랑으로 인한 모래의 침식과 퇴적 그리고 해수의 산포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ctors affecting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were analyzed in June 2012 at the Goraebul coastal dunes. In the Goraebul sand dune, distribution of halophytes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belonging to Elymus mollis, Carex kobomugi, Calystegia soldanella, Ixeris repens and G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식생의 보전상태가 양호한 고래불 해안 사구에서 염생식물의 공간분포에 미치는 주요 입지요인들의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란 무엇인가? 해안사구는 해빈과 간석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해빈 후면으로 이동하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서 연안지대에서 자연 환경, 문화, 관광 등을 매개하는 핵심생태계이다 (Bird 2008; Han et al. 2013).
화이트 사구란 무엇인가? Kangwon green environment center (2012)는 사구지대의 복원에서 지형이 가장 중요하다고 지적하였고, 사구지대의 복원 방향 설정에 화이트 사구와 그린 사구의 두 가지를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화이트 사구란 사구에서 일어나는 동적 평형 즉, 바람과 파랑에 의하여 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사구를 말하고, 그린 사구란 사구에 식생이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고정된 사구를 말한다. 정부는 1945년부터 현재까지 해안사구에 방풍림을 조성하기 위해 곰솔을 식재하였다.
해안사구의 염분 구배 특징은 무엇인가? 2013). 사구지대에서는 해안가로부터 거리에 따라 염분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점진적으로 염분 구배가 생긴다 (Kim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YH. 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sand dune in shindoori seashore. J. Korean Env. Res. Reveg. Tech. 6:29-40. 

  2. Allen EB. 1989. The restoration of disturbed arid landscapes with special reference to mycorrhizal fungi. J. Arid Environ. 17:279-286. 

  3. Angiolina C, M Landi, G Pieroni, F Frignani, MG Finoia and C Gaggi. 2013. Soil chemical features as key predictors of plant community occurrence in a Mediterranean coastal ecosystem. Estuar. Coast. Shelf Sci. 119:91-100. 

  4. Avis AM and RA Lubke. 1996. Dynamics and succession of coastal dune vegetation in the eastern cape, South Africa. Landscape Urban Plan. 34:237-254. 

  5. Bang HJ. 2011.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Goraebul coast depositional landforms.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6. Bird E. 2008. Coastal geomorphology an introduction. Wiley. 411p. 

  7. Choi GH, Y Kim and PM Jung. 2013. Adverse effects of planting pine on coastal dunes, Korea. J. Coast. Res. 65:909-914. 

  8. Choi HK. 2010. An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in east coastal sand dunes, Korea.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136p. 

  9. Cordazzo CV and U Seeliger. 1993. Zoned habitats of southern brazilian coastal foredunes. J. Coast. Res. 9:317-323. 

  10. Costa CSB, CV Cordazzo and U Seeliger. 1996. Shore disturbance and dune plant distribution. J. Coast. Res. 12:133-140. 

  11. Elena DL, N Claudia, B Fabio, M Patrizia, I Massimo and N Giuseppe. 2011. Coastal dune systems and disturbance factors: monitoring and analysis in central Italy. Environ. Monit. Assess. 183:437-450. 

  12. Han YH, YH Lee, JB Kim and KJ Cho. 2013.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oastal sand dune in the east coast. J. Korea Env. Res. Tech. 16:55-69. 

  13. Houser C, C Hobbs and B Saari. 2008. Posthurricane airflow and sediment transport over a recovering dune. J. Coast. Res. 24:944-953. 

  14. Isermann M, H Koehler and M Muhl. 2010. Interactive effects of rabbit graz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plant species-richness on dunes of Norderney. J. Coast Conserv. 14:103-114. 

  15. Jeong MH. 2014. What are the determinants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the Goraebul sand dune, Korea?.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Korea. 89p. 

  16. Jo WR. 1991. The geomorphic development of coastal lowland around Wolsong-ri. Kyungpook Education Forum 33:47-58. 

  17. Jung YK and JW Kim. 1998.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in Kyungpook province. Korean J. Ecol. 21:257-262. 

  18. Kangwon green environment center. 2012. A study for the vegetation and restoration of Gangneung coastal region. 264p. 

  19. Kil BS and JU Kim. 1984. The Vegetation of Seogno Island. Korean J. Ecol. 7:208-231. 

  20. Kim CS and BS Ihm. 1988.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the salt marsh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col. 11:175-192. 

  21. Kim DH. 2004. Spatial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with relation to soil-terrain-distance factors in coastal dune fields, Sindu-ri, Korea.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19p. 

  22. Kim HJ. 2002. A study on the geomorphic processes in the vicinity of the groins at the Songdo beach of the Pohang area. M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19p. 

  23. Kim JH. 1990. Study on the Vegetation of Jindo County. Korean J. Ecol. 13:33-50. 

  24. Kim KD. 2005. Invasive plants on disturbed Korean sand dunes. Estuar. Coast. Shelf Sci. 62:353-364. 

  25. Kim Y, GH Choi and PM Jung. 2014. Changes in foredune vegetation caused by coastal forests. Ocean Coast. Manage. 102:103-113. 

  26. Lee HJ. 1981. A study on the vegetation of the Saeng-il island. Korean J. Ecol. 4:80-92. 

  27. Lee WT and SK Chon.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floristic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 of the sand dune on the southern coast. Korean J. Ecol. 6:177-186. 

  28. Lee WT and SK Chon. 1984. Ecological studies on the coastal plants in Korea - On the sand dune vegetation of the western coast. Korean J. Ecol. 7:74-78. 

  29. Masetti R, S Fagherazzi and A Montanari. 2008. Application of barrier island translation model to the millennial-scale evolution of Sand Key, Florida. Cont. Shelf Res. 28:1116-1126. 

  30. Miller TE, ES Gornish and HL Buckley. 2010. Climate and coastal dune vegetation: disturbance, recovery, and succession. Plant Ecol. 206:97-104. 

  31. Min BM. 2004. Growth Properties of Carex kobomugi Ohwi. Korean J. Ecol. 27:49-55. 

  32. Oh KH. 1996. The Geomorphic Development and its Paleoenvionment of the Middle Part of the Coastal Plain Gangweondo,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0:53-68. 

  33. Palmsten ML and RA Holman. 2012. Laboratory investigation of dune erosion using stereo video. Coast. Eng. 60:123-135. 

  34. Patricia MC. 1986. Sand movement as a factor in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ies in a coastal dune system. Vegetatio 65:67-76. 

  35. Rieley JO and SE Page. 1990. Ecology of plant communities. A phytosociological account of the British vegetation.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United Kingdom. 1990p. 

  36. Rubio A and A Escudero. 2000. Small-scale spatial soil-plant relationship in semi-arid gypsum environments. Plant Soil 220:139-150. 

  37. Son MW, JC Seo and YG Jeon. 2002.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geomorphological system of Chilpo. The Geographic Journal of Korea 36:227-237. 

  38. Watkinson AR and AJ Davy. 1985. Population biology of salt marsh and sand dune annuals. Plant Ecol. 62:487-497. 

  39. Yim YJ and WT Lee. 1976. On the vegetations of Judo and Gamagseum. Korean Jour. Botany 19:49-61. 

  40. Zuo X, H Zhao, X Zhao, T Zhang, Y Guo, S Wang and S Drake. 2008. Spatial pattern and heterogeneity of soil properties in sand dunes under grazing and restoration in Horqin Sandy Land, Northern China. Soil Till. Res. 99:202-121. 

  41. Zuo X, X Zhao, H Zhao, T Zhang, Y Li, S Wang, W Li and R Powers. 2012. Scale dependent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vegetation pattern and composition in Horqin Sandy Land, Northern China. Geoderma 173-17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