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한라산 백록담 일대의 화산활동사
Volcanological History of the Baengnokdam Summit Crater Area, Mt. Halla in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6 no.3, 2017년, pp.221 - 234  

안웅산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 한라산은 세계자연유산이자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대표명소이다. 한라산 정상부 백록담 일대의 서쪽은 점성이 큰 조면암이 돔형상의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동쪽은 점성이 작은 조면현무암 용암이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통해 한라산 정상부를 이루는 조면암 돔 및 백록담 분화구의 형성과정을 해석하고, 한라산조면암 및 백록담조면현무암 하부에 놓이는 퇴적층에 대한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을 통해 한라산 백록담 일대의 형성과정을 시공간적으로 구성하였다. 한라산조면암은 초기 돔 붕괴로 인한 조면암질 각력암, 조면암질 용암류, 그리고 조면암 돔으로 구분된다. 백록담조면현무암은 초기의 폭발적 분출에 의한 분석구와 후기의 비폭발적인 용암류로 구분된다. 연대측정 결과, 한라산조면암 분출 초기에 형성된 조면암질 각력암층 하부의 퇴적층에서 약 37 ka를, 그리고 백록담조면현무암 하부에 놓이는 서로 다른 지점의 퇴적층에서 약 21 ka를 얻었다. 한라산 정상부 백록담은 약 37 ka 전 이후 조면암질 용암돔이 형성된 후, 약 19~21 ka 전 조면현무암질 용암이 새롭게 분출하면서 형성된 분화구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aengnokdam, the summit crater of Mt. Hall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geosites of World Natural Heritage and Global Geopark in Jeju Island. The crater is marked by two distinctive volcanic lithofacies that comprise: 1) a trachytic lava dome to the west of the crater and 2) trachybasaltic l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문화재청 세계유산 보존관리 국고보조사업(한라산천연보호구역 지형, 식생, 기후 기초학술조사)의 지원과 제주특별자치도 세계유산본부 자체 연구과제 추진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기초하여 쓰여졌다. 논문 심사과정에서 건설적인 비평과 유익한 조언으로 논문의 오류와 부정확한 표현을 바로잡아 주신부산대학교 윤성효 교수님과 전남대학교 길영우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 , 2017).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바탕으로 한라산 정상부를 이루는 조면암 돔 및 백록담의 형성과정 및 화산층서를 해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일한 층준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위치의 퇴적층을 대상으로 연대 분석을 실시하여 한라산 정상부의 형성과정을 시공간적으로 구성해 보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한라산체의 최상부를 이루는 화산암층을 크게 전기의 한라산조면암 단계(Hallasan Trachyte stage)과 후기의 백록담조면현무암 단계 (Baengnokdam Trachybasalt stage)로 구분하여 서술하고자 한다(예, Park et al., 2000b; Koh et al., 2003)(Fig. 1). 특히 본 논문에서 한라산조면암으로 기재하는 암석은 한라산 백록담 분화구 서쪽 일대에 분포하는 조면암으로, 한라산 정상부 돔 형태를 이루는 조면암과 이와 직접적으로 관계된 일련의 조면암에 한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라산은 어떤 지형을 이루는가? 제주도 한라산은 세계자연유산이자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대표명소이다. 한라산 정상부 백록담 일대의 서쪽은 점성이 큰 조면암이 돔형상의 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동쪽은 점성이 작은 조면현무암 용암이 완만한 지형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통해 한라산 정상부를 이루는 조면암 돔 및 백록담 분화구의 형성과정을 해석하고, 한라산조면암 및 백록담조면현무암 하부에 놓이는 퇴적층에 대한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을 통해 한라산 백록담 일대의 형성과정을 시공간적으로 구성하였다.
한라산이 일반인들과 지지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인 이유는? 제주도의 대표 상징이자 남한의 최고봉인 한라산 정상부 백록담 일대는 세계자연유산지역이면서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대표명소로 일반인들과 지질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었다. 제주도 지질조사가 시작된 일제강점기에 Haraguchi(1931)는 한라산이 최초에 조면암으로 구성된 종상화산(鐘狀火山)이었으나, 이후 현무암질 용암이 분출·피복하고 침식과 삭박을 겪어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고 보았다.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를 밝히기 위해 어떤 것들을 이용하는가? 최근 제주도 화산활동 시기를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화산활동 휴지기에 퇴적된 퇴적층에 대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광여기루미네선스 연대측정 시도를 통해 다수 화산들의 분출시기가 밝혀지고 있다(Koh et al., 2013;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griculture Development Corporation (ADC), 1971, Report of the Groundwater Resources, Jeju Island. 381 p, 1 map (1:100,000), 4 plates (in Korean, title translated). 

  2. Ahn, U.S. and Choi, H.S., 2016. Very young Gotjawal lavas (aged

  3. Ahn, U.S., Choi, J-H. and Yeo, E-Y., 2017, Eruption timing of the Geomun Oreum through the comparison of radiocarbon and quartz OSL ag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3, 367-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oudon, G., Balcone-Boissard, H., Villemant, B. and Morgan, D.J., 2015. What factors control superficial lava dome explosivity? Scientific reports, 5. 

  5. Chang, K-H., Park, J-B. and Kwon, S-T., 1999, Petrography and mineral chemistry of trachytes in Cheju volcanic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5, 1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ang, K-H., Park, J-B. and Kwon, S-T., 200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chytes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235-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Diefenbach, A.K., Bull, K.F., Wessels, R.L. and McGimsey, R.G., 2013. Photogrammetric monitoring of lava dome growth during the 2009 eruption of Redoubt Volcano.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259: 308-316. 

  8.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6, Survey of geomorphology,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Hallasan Natural Reserve Area. 554 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9. Haraguchi, K., 1931, Saishu Volcano. Bulletin of the Geological Survey of Chosen (Korea), 10, 1-34, 10 pls. (in Japanese); 1-12, 1 pl. (in English). 

  10. Heliker, C., Swanson, D.A. and Takahashi, T.J., 2003. The Pu'u O'o-Kupaianaha eruption of Kilauea Volcano, Hawai'i: the first 20 years. Professional Paper 1676, USGS. 

  11. Hoblitt, R.P. and Harmon, R.S., 1993. Bimodal density distribution of cryptodome dacite from the 1980 eruption of Mount St. Helens, Washington. Bulletin of Volcanology, 55. 421-437. 

  12. Kim, J.C., Lee, J.Y., Hong, S.S., Lim, J. and Choi, H.W., 2016, The depositional age of the Quaternary unconsolidated deposits in Nedo-dong,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 52, 149-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oh, G.W., Park, J.B., Kang, B.-R., Kim, G.-P. and Moon, D.C., 2013, Volcanism in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 209-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oh, J.S., Yun, S.H. and Kang, S.S., 2003, Petrology of the Volcanic Rocks in the Paekrogdam Crater area, Mt. Halla, Jeju Island.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2, 1-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J.Y., Kim, J.C., Park, J.B., Lim, J.S., Hong, S.S. and Choi, H.W., 2014, Age of volcanic activity from Quaternary deposits in Sangchang-ri,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697-7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M.W., 1982, Petrology and geochemistry of Jeju volcanic Island, Korea. Science Report of Tohoku University, Sendai, Series 3, 15, 177-256. 

  17. Lim, J., Lee, J.Y., Kim, J.C., Hong, S.S. and Choi, H.W., 2015, Paleoenvironmental and volcanological implications of the Gosan Formation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 537-5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ajor, J., Dzurisin, D., Schilling, S. and Poland, M.P., 2009. Monitoring lava-dome growth during the 2004-2008 Mount St. Helens, Washington, eruption using oblique terrestrial photography.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86, 243-254. 

  19. Murray, A.S. and Wintle, A.G., 2000. Luminescence dating of quartz using an improved single-aliquot regenerativedose protocol. Radiation Measurements, 32, 57-73. 

  20. Olley, J.M., Murray, A.S. and Roberts, R.G., 1996. The effects of disequilibria in the uranium and thorium decay chains on burial dose rates in fluvial sediments. Quaternary Science Reviews, 15, 751-760. 

  21. Park, K.H., Cho, D.L. and Kim, J.C., 2000a, Geologic report of the Mosulpo-Hanrim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Taejon, 56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K.H., Cho, D.L., Kim, Y.B., Kim, J.-C., Cho, B.-W., Jang, Y.N., Lee, B.-J., Lee, S.-R., Son, B.K., Cheon, H.Y., Lee, H.Y. and Kim, Y.U., 2000b, Geologic report of the Seogwipo-Hahyori Sheet (1:50,000). Jeju Provincial Government, 163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ark, K.H., Kim., Y.J., Kwon, C.W., Ha, K.C., Park, W.B., Koh, G.W. and Park, J.B., 2013, Experience the geo-logical splendor of Jeju Island: The visitor's guid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and Jeju Development Institute, 204 p (in Korean). 

  24. Park, K.H., Lee, B.J., Cho, D.L., Kim, J.C., Lee, S.R., Choi, H.I., Hwang, J.H., Song, G.Y., Choi, B.Y., Cho, B.U. and Kim, Y.B., 1998, Geologic report of the Jeju-Aewol Sheet (1:50,000). Korea Institute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Taejon, 290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Tamanyu, S., 1990, The K-Ar ages and their strati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Cheju Volcanics, Korea. Bulletin of the Geological Survey of Japan, 41, 527-53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6. Terry, R.D. and Chilingar, G.V., 1955. Summary of "concerning Some Additional Aids in Studying Sedimentary Formations" by M. S. Shvetsov.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25, 229-234. 

  27. Watts, R., Herd, R., Sparks, R. and Young, S., 2002. Growth patterns and emplacement of the andesitic lava dome at Soufriere Hills Volcano, Montserrat. Geological Society, London, Memoirs, 21, 115-152. 

  28. Won, J.K., Lee, M.W., Lee, D.Y. and Sohn, Y.K., 1993, Geologic report of the Seongsan sheet (1:50,000). Ministry of Construction, Jeju Provincial Government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04 p (in Korean). 

  29. Won, J.K., Lee, M.W., Lee, D.Y. and Yun, S.H., 1995, Geologic report of the Pyoseon sheet (1:50,000).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59 p (in Korean). 

  30. Won, J.K., Matsuda, J.-I., Nagao, K., Kim, K.H. and Lee, M.W., 1986, Paleomagnetism and radiometric age of trachytes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9, 25-33. 

  31. Yoon, S., Hyun, W.H. and Jung, C.Y., 2005, Geology of Hallasan (Mt. Halla),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 481-4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Yoon, S., Jung, C.Y., Hyun, W.H. and Song, S.T., 2014, Tectonic history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 457-4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Yoon, S., Jung, C.Y., Song, S.T. and Hyun, W.H., 2003, Mt. Halla of Jeju Island: a dome-like uplifted edifice. 1st Symposium of Jeju Volcanological Institute (JEVI), 7-14 (in Korean).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