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모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서 시범 단원 개발
The Development of a chapter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 according to th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1 no.3, 2017년, pp.331 - 347  

황혜정 (조선대학교) ,  조완영 (충북대학교) ,  고호경 (아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육부의 교과서 기획과(2014. 4. 17.)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별도의 참고서를 필요하지 않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이 가능한 시범 교과서의 개발을 추진하였다. 또한 가급적 핵심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융합형 소재를 수반하는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구성하되, 중등학교의 경우 중학교의 자율학기제에 맞춰 중학교 1~2학년 중에서 한 개 단원을 선정하여 시범적으로 개발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팀은 교육부의 교과서 기획과의 지원 및 요청에 따라 중학교 1학년 2학기에 다뤄지는 '평면도형', 즉 다각형과 부채꼴 내용을 선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 및 절차에 따라 교과서 시범 단원을 개발하였다. 우선적으로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교과서의 의미와 일반 모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 교과에 부합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교과서 모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모형에 근거하여 시범 교과서의 단원 체제 및 요소를 선정하여 시범 단원을 개발하였으며, 외부 전문가들의 두 차례에 걸친 서면검토를 실시하여 시범 단원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끝으로, 본 고에서는 수업 시간에 사범 단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교사와 학생으로 구분하여 해당 역할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ample chapter of mathematics textbook at the first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model of support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is a learning strategy to develop learner's ability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by himsel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단원이 아닌 중단원별로 내용을 전개함으로써 주제 중심의 통합형으로 학습을 이끌도록 하였으며, 또한 전형적인 문항에 대한 예제와 유제풀이를 제시하지 않았는데 이는 학습한 내용에 대한 적용력을 키우기 위해 주어진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확인 또는 보완하고 적절한 전략이나 사고 과정을 활용하여 문제를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문제해결에서 얻은 결과와 사용된 전략을 일반화하여 새로운 문제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함으로써 암기식으로 접근하는 기존의 문제해결 학습 방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시범교과서에서는 중단원별로 [나의 학습 계획 세우기]를 제시하여 학습자 스스로 초등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얼마만큼 알고 있는지를 체크리스트 형식을 통해 점검해 보도록 하였다. 또한 단원을 공부하기 전에 미리 찾아 본 내용이나 자료 등이 있으면 이를 간략히 적어보도록 하고, 자신의 기대나 각오 등을 다지기 위한 목적으로 간단히 자유롭게 써 보도록 하였다. 이는 강화인지 관리(reinforcer management)와 같은 고전적인 행동관리 기법에서 벗어나 자기관리 기법(self-management technique)의 예를 보여준 것이다.
  • 이러한 시범 단원의 개발을 위하여 본 연구 내용 및 절차는 우선적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3)에서 제안한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교과서의 의미와 일반 모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일반 모향을 토대로 중학교 수학 교과에 적합한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교과서 모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모형에 근거하여 시범 단원의 체제 및 요소를 선정하여 시범 단원을 개발하였으며, 교과서 집필 및 검토 경험이 풍부한 수학 및 수학교육 전공의 외부 전문가들에게 두 차례에 걸쳐 서면 검토를 의뢰하고 집중작업을 통해 시범 단원을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부가 수학 교과의 시범 단원 개발에 무엇을 반영하도록 권고하였나? 이때 교육부에서는 다음 사항을 반영하여 시범 단원을 개발할 것을 권고하였다. 첫째, 교사의 안내 하에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둘째, 2009 개정에 따른 수학 내용 (성취기준)은 물론 수학적 과정(mathematical process)을 고려한다. 셋째, 융합형 STEAM 소재가 반영된 본문이나 문제를 개발한다. 넷째, 국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연구(TIMSS)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개선이 필요하므로, 정의적 영역 부문을 반영하여 시범 단원을 개발하도록 한다.
자기 주도적 학습의 조작적 정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의 조작적 정의는 학습에 대한 강한 동기 부여 및 유지를 통하여 학습자가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관련 자원을 탐색하며, 학습전략을 선택 및 수행하고, 학습 결과물을 모니터링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자기 주도성을 발휘하는 학습 유형이다(박소영 외, 2013, p. 33).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방향은?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는 2018년부터 점차적으로 현장에 적용될 예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개정 방향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 창조력을 갖춘 균형 잡힌 인재의 양성이다. 이에 따라 2015 개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은 ‘수학 교과 역량의 구현’, ‘학습 부담 경감 추구’,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 강조’, ‘실생활 중심의 통계 내용 재구성’, ‘공학적 도구의 활용 강조’ 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박경미 외,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강현석.유제순 (2010). Backward Design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 교과의 진정한 이해를 위한 한 구상. 교육철학, 40, 1-37. (Hyun Suek Kang & Je Sun Ryu (2010). Curriculum design through Backwarad Design: an idea of authentic understanding of a subject. Educational Philosophy, 40, 1-37.) 

  2. 박경미 외 42명(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Kyung Mee Park, et. al. (2015). A study on mathematical curriculu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Korea Founc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3. 신항균.황혜정.이광연.김화영.조준모.최화정.윤기원 (2014). 중학교 수학 1. 서울: (주)지학사. (Hang Kyun Shin, Hye Jeang Hwang, Kwang Yeon Lee, Hwa Young Kim, Jun Mo Jo, Hwa Jeong Choe, Ki Won Youn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Jihaksa Publishers.) 

  4. 박소형.김혜숙.남창우.윤지훈.이동엽 (2013).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 교과서 일반 모형 개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연구보고 CRT 2013-5. (So young Park, Hey Sook Kim, Chang Woo Nam, Ki Hyn Yoon, Dong Yub Lee (2013).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model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 변희현.최승현.조윤동.권점례.이광상.강은주.김보현.김용성.노창균.박승용.임다원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 중학교 수학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3-4. (Hee Hyun Byun, et al (2013). A study on development of core achievement standard on mathematic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6. 나숙자 (2005). 친절한 수학 교과서 - 식과 함수. 서울: 부 키. (Suk Ja, Na (2005). A kindly mathematics textbook- expressions and functions. Seoul: Boo Ki) 

  7. 류희찬.류성림.이경화.신보미.강순모.윤옥교.김명수.조성오.천태선.김철호 (2013). 중학교 수학1. 서울: (주)천재교과서. (Hee Chan, Lew, et. al. (2013).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Chun Jae Textbook Publishers.) 

  8. 안재찬 (2013). 스토리텔링 수학 - 여러 가지 평면도형의 이해와 활용. 서울: 아이오비엠에스. (Ja Chan, An (2013). Storytelling Mathematics -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a various plane shapes. Seoul: IOMS.) 

  9. 유준희.진만식.이준규.윤진.최변각.임채성.권혜련.강진철.한재영.임성민.차정호.임희연 (2011). 중학교 과학2. 서울: (주)천재교육 (Hee Jun Lew, et. al(2011). Middle School Science 2. Seoul: Chunjaekouyuok Publishers.) 

  10. 이수종 (2007). 중학생을 위한 과학 용어사전-Basic. 서울: (주)신원문화사. (Su Jong, Lee (2007). science vocabula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 Basic. Seoul: Shinwon Moonhwasa Publishers.) 

  11. 황선욱.강병개.한길준.한철형.권혁천.김의석.유기종.정종식.김민정(2013). 중학교 수학1. 서울: (주)좋은책 신사고. (Sun Wook, Hwang, et. al.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Goodbook Shinsago Publishers.) 

  12. Albrecht Beutelspacher (2001). Mathematik fuer die westentasche. 유영미 역(2002). 포켓속의 수학. 서울: 이끌리오. 

  13. Schneider, Michael S. (1995). A Beginner's Guide to Constructing the Universe: Mathematical Archetypes of Nature, Art, and Science. 이충호 역(2002).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서울: 경문사. 

  14. 野崎昭弘,何森仁, 伊藤潤一, 小澤健一.(2001). ?形?空間の 意味が わかる. 고은진 역(2008). 창의적 문제해결력 수학 '2. 도형과 공간'. 파주: 살림MATH. http://blog.naver.com/alwaysneoi/1001704830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