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표층퇴적물의 중광물 특성 비교 연구
Characteristics of Heavy Minerals in the South East Yellow Sea Mud (SEYSM) and South West Cheju Island Mud (SWCIM)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0 no.3, 2017년, pp.93 - 102  

구효진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조현구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이부영 (경상대학교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이희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저환경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립질 퇴적물의 근원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용 광물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표층퇴적물 내 중광물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지역에서 각각 28개씩 시료를 선정하여 중광물을 분리한 후 실체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에너지 분산형 분광분석과 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였다. 각섬석과 녹염석은 연구지역에서 주된 중광물로서 두 광물의 합계 함량이 70% 이상을 점유한다. 저어콘과 스핀은 황해남동니질대에서, 인회석금홍석은 제주남서니질대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을 나타내며, 모나자이트는 황해남동니질대 일부 지역에서만 산출된다. 스핀과 모나자이트 함량은 황해남동니질대 북부에서 남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황해남동니질대는 낮은 석류석-저어콘 지수와 금홍석-저어콘 지수를 가지는데 반하여, 제주남서니질대는 높은 석류석-저어콘 지수와 금홍석-저어콘 지수를 가진다. 각섬석의 경우 황해남동니질대는 대부분 보통각섬석에 해당되지만, 제주남서니질대는 파가사이트, 처마카이트, 보통각섬석, 투각섬석 등 다양한 조성을 가진다. 황해남동니질대 지역의 석류석은 높은 Mg와 낮은 Ca 함량을, 제주남서니질대 지역 석류석은 낮은 Mg와 다양한 Ca 함량을 가진다. 이와 같이 두 지역의 중광물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은 두 지역의 퇴적물 기원지가 다르다는 것을 지시한다. 황해남동니질대의 퇴적물 기원지는 인접한 한반도의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퇴적물인 것으로 여겨지나, 추후 황해로 유입되는 강퇴적물과 해양 퇴적물에 대한 추가적인 중광물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정확한 기원지와 퇴적과정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vy mineral provide an important information for sediment provenance as well as a potential submarine mineral resources. We compared the heavy mi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Southeastern Yellow Sea Mud (SEYSM) and Southwestern Cheju Island Mud (SWCIM) surface sediments. We separated heavy mine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번 연구에서는 황해남동니질대(SEYSM)와 제주도남서니질대(SWCIM)에 포함되어 있는 중광물의 종류 및 함량을 알아보고, 각 중광물의 분포특성을 바탕으로 두 니질대의 중광물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중광물중 유용광물 자원으로 여겨지는 저어콘과 모나자이트는 황해남동니질대에서, 금홍석은 제주남서니질대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한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두 지역 내 중광물 특성이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므로, 중광물 분포도, 중광물 지수 및 중광물의 광물화학분석을 통하여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 두 지역의 차이를 보다 자세하게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각에서 중광물의 조성과 주된 성분은? 8 이상인 광물을 말한다. 지각을 이루는 암석 내에서 중광물은 대체로 1% 미만으로 존재하며, 주로 규산염광물이나 산화염광물에 속한다. 이들 중광물 중 많은 광물들이 화학적 풍화나 기계적 마모에 강하기 때문에 퇴적물의 기원지, 특히 조립질 퇴적물의 특성을 재구성하거나 퇴적물의 이동경로 추적에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Lee et al.
중광물이란 무엇인가? 중광물이란 석영(S.G. = 2.65) 또는 장석(S.G. = 2.54~2.76)보다 비중이 큰 광물로써, 일반적으로 비중이 2.8 이상인 광물을 말한다. 지각을 이루는 암석 내에서 중광물은 대체로 1% 미만으로 존재하며, 주로 규산염광물이나 산화염광물에 속한다.
황해남동니질대와 제주남서니질대가 형성되는 이유는? 이들로부터 공급된 퇴적물은 중국과 한국의 연안, 황해 중앙부, 그리고 제주도 남서쪽의 북동중국해 대륙붕에 독립적으로 퇴적되어 몇 개의 특징적인 니질대를 형성하는데, 황해중앙니질대(Central Yellow Sea Mud, CYSM), 황해남동니질대(Southeastern Yellow Sea Mud, SEYSM)와 제주남서니질대 (Southwestern Cheju Island Mud, SWCIM)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니질대는 황해-동중국해의 독특한 해류 시스템에 의해 발달하는 와류와 용승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Hu, 1984, Shi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e, S.C., Shin, H.Y., Jung, J.S., Jang, Y.N., and Bae, I.K. (2007) Mineralogy of beach sand in Jaeun Island, Shinangun, Chonranamdo.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0, 289-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e, S.C., Shin, H.Y., Bae, I.K., Kwon, S.W., Lee, S.J., Kim, W.T., Lee, C.O., and Jang, Y.N. (2009) Separation and mineralogy of marine sand near Haeju bay, North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 217-2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ae, S.C., Shin, H.Y., Bae, I.K., Kwon, S.W., Lee, C.O., Kim, J.Y., and Jang, Y.N. (2011) Mineralogy of sea sand near Ongjingun through the separation processe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4, 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Decou, A., H. von Eynatten, A., M. Mamani, M., T. Sempere, T., and G. Worner, G. (2011) Cenozoic forearc basin sediments in Southern Peru (15- $18^{\circ}S$ ): Stratigraphic and heavy mineral constraints for Eocene to Miocene evolution of the Central Andes. Sedimentary Geology, 237, 55-72. 

  5. Hallsworth, C.R. and Chisholm, J.I. (2008) Provenance of late Carboniferous sandstones in the Pennine Basin (UK) from combined heavy mineral, garnet geochemistry and palaeocurrent studies. Sedimentary Geology, 203, 196-212. 

  6. Hallsworth, C.R., Morton, A.C., Claoue-Long, J., and Fanning, C.M. (2000) Carboniferous sand provenance in the Pennine Basin, UK: constraints from heavy mineral and detrital zircon age data. Sedimentary Geology, 137, 147-185. 

  7. Hawthorne, F.C. (1981) Crystal chemistry of the amphiboles. In: Veblen, D.R. (ed) Amphiboles and their Other Hydrous Pyriboles-Mineralogy, Reviews in Mineralogy, 9A, 1-102. 

  8. Hawthorne, F.C., Oberti, R., Harlow, G.E., Maresch, W.V., Martin, R.F., Schumacher, J.C., and Welch, M.D. (2012) Nomenclature of the amphibole supergroup. American Mineralogist, 97, 2031-2048. 

  9. Hu, D.X. (1984) Upwelling and sedimentation dynamics. Chinese Journal of Oceanology and Limnology, 2, 12-19. 

  10. Kang, T.G. (2003)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568-5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lein, C. and Dutrow, B. (2009) Manual of Mineral Science (23th Ed.). John Woley & Sons, INC., New York, 444-498. 

  12. Lee, B.Y., Cho, H.G., Kim, S.-O., and Hi Il Yi, H. Y. (2016) Preliminary Study of Heavy Minerals in the Central Yellow Sea Mud. Journal of Minereralogical Society of Korea, 29(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H.J. and Chough, S.K. (1989) Sediment distribution, dispersal and budget in the Yellow Sea. Marine Geology, 87, 255-266. 

  14. Lee, H.B., Oh, J.K., Kim, S.W., and Lee, S.R. (1997) Sedimentologic and mineralogic study in surface sediment off Biin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8, 259-2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H.J., Jeong, K.S., Han, S.J., and Bahk, K.S. (1988) Heavy minerals indicative of Holocene transgression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Continental Shelf Research, 8, 255-266. 

  16. Lee, Y.H., Chi, J.M., and Oh, J.K. (2004) Geochemical relationship between stream sediments and regional geology of the upstream for the Hahn River drainage basin, Ko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 153-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ange, M. A. and Morton, A. C. (2007) Geochemistry of heavy minerals. In: Mange, M. A. and Wright, D. T. (eds) Heavy Minerals in Use. Elsevier, 58, 345-391. 

  18. Meinhold, G., Reischmann, T., Kostopoulos, D., Frei, D., and Larionov, A.N. (2010) Mineral chemical and geochronological constraints on the age and provenance of the eastern Circum-Rhodope Belt low-grade metasedimentary rocks, NE Greece. Sedimentary Geology, 229, 207-223. 

  19. Milliman, J. D. and Meade, R. H. (1983) Worldwide delivery of river sediment to the oceans. The Journal of Geology, 91, 1-21. 

  20. Morton, A. C. (1984) Stability of detrital heavy minerals in Tertiary sandstones of the North Sea Basin. Clay Minerals, 19: 287-308. 

  21. Morton, A. C. (1991) Stability of detrital heavy minerals in Tertiary sandstones of the North Sea Basin. Clay Minerals, 19: 287-308. 

  22. Morton, A. C. and Hallsworth, C. R. (1994) Identifying provenance specific features of detrital heavy mineral assemblages in sandstones. Sedimentary Geology. 90: 241-256. 

  23. Morton, A.C. and Hallsworth, C.R. (1999) Processes controlling the composition of heavy mineral assemblages in sandstones. Sedimentary Geology, 124, 329. 

  24. Morton, A. C., Hallsworth, C. R., and Chalton, B. (2004) Garnet compositions in Scottish and Norwegian basement terrains: a framework for interpretation of North Sea sandstone provenance. Marine and Petroleum Geology, 21: 393- 410. 

  25. Morton, A. C., Whitham, A. G., and Fanning, C. M. (2005) Provenance of Late Cretaceous to Paleocene submarine fan sandstones in the Norwegian Sea: Integration of heavy mineral, mineral chemical and zircon age data. Sedimentary Geology, 182: 3-28. 

  26. Morton, A.C., Meinhold, G., Howard, J.P., Phillips, R.J., Strogen, D., Abutarruma, Y., Elgadry, M., Thusu, B., and Whitham, A.G. (2011) A heavy mineral study of sandstones from the eastern margin of the Murzuq Basin, Libya: constraints on provenance and stratigraphic correlation. Journal of African Earth Sciences, 61, 308-330. 

  27. Park, B.C. and Lee, J.K (1968) Monazite placer of Republic of Korea. Report for Geology and Ore Deposit, 10, 133-1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hi, C., Zhang, D.D., and You, L. (2003) Sediment budget of the Yellow River delta, China: the importance of dry bulk density and implications to understanding of sediment dispersal. Marine Geology, 199, 13-25. 

  29. Von Eynatten, H. and Gaupp, R. (1999) Provenance of Cretaceous synorogenic sandstones in the Eastern Alps: constraints from framework petrography, heavy mineral analysis and mineral chemistry. Sedimentary Geology, 124, 81-111. 

  30. Whitham, A.G., Morton, A.C., and Fanning, C.M. (2004) Insights into Cretaceous-Palaeogene sediment transport paths and basin evolution in the North Atlantic from a heavy mineral study of sandstones from southern East Greenland. Petroleum Geoscience, 10, 61-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