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이오세 포항분지 시추코어의 구성광물과 분포특성
Mineral Compositions and Distribution in the Drilling Cores from the Miocene Pohang Basin, Ko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30 no.3, 2017년, pp.113 - 126  

이진현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황진연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손문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손병서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오지호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이효민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연구를 위하여 마이오세 포항분지의 연일층군에서 굴착한 2곳의 시추코어 시료에 대해 X-선회절분석을 통하여 구성광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석영, 사장석, 정장석, Opal-CT, 스멕타이트, 운모, 일라이트, 카올린광물, 녹니석, 방해석, 석고, 황철석, 돌로마이트, 능철석 등의 다양한 광물이 나타났다. 스멕타이트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산출되고 있으며, 하부에서 비교적 많이 함유되었다. 상부지층에 주로 산출하는 Opal-CT는 비정질 규조의 속성작용에 의한 것으로, 깊이에 따라 크리스토발라이트의 d(101) 값이 $4.10{\AA}$에서 $4.05{\AA}$으로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두 시추공에서 광물성분의 분포가 서로 유사하게 대비되어, 거의 같은 퇴적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스멕타이트가 대부분의 심도에서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지층은 이산화탄소의 지중저장시 덮개암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logical storage potential of $CO_2$, X-ray diffrac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drilling core samples collected from the two drilling sites located in Yonil group of the Miocene Pohang Basin. As a result, various minerals were identified such as quartz,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추코어 시료의 광물의 종류와 함량, 광물조합, 분포상태, 광물특성 변화, 형성과정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추코어의 광물학적 특성분석을 통하여 지층의 대비와 형성과정과 함께, 그 하부 지하에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의 가능성도 검토하고자 한다.
  • 전술한 바와 같이 코어시료의 분석결과, 많은 종류의 광물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광물종에 대해서 분포상태와 광물학적 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우선 대부분의 시료에서 산출되고 있는 점토광물인 스멕타이트에 대해서 검토해 본다.
  • 따라서 암층의 구성물질 단위인 광물 성분에 대한 검토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들 코어시료에 대하여 X-선회절분석을 통하여 구성광물을 상세히 분석하여, 심도별 지층의 분포특성을 광물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시추코어 시료의 광물의 종류와 함량, 광물조합, 분포상태, 광물특성 변화, 형성과정 등을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 2015), 이들 암층의 광물성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층의 특성은 그 암층의 구성요소인 광물입자들의 종류와 함량, 조직 등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암층의 구성물질 단위인 광물 성분에 대한 검토가 매우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염수층은 주로 어디에 존재하는가? 이 중 가장 높은 저장능력을 보이는 것은 지하 800 m~수 km 심부의 안정적인 지질구조 내에 존재하는 대염수층이다. 대염수층은 사암과 같은 다공성 퇴적암층 내 공극수가 오랫동안 흐름이 정체되어 암석과 반응하여 염수화된 지층을 말하며 주로 성숙된 퇴적분지 내에 존재한다. 국내에는 다수의 퇴적분지들이 발달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높은 투수율과 공극률을 보이는 퇴적층이 존재할 수 있는 곳으로는 한반도 남동부의 신생대 마이오세 분지들이 우선적으로 검토되고 있다(Song et al.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의 유망지층은?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의 유망지층으로 대염수층, 석유와 가스층, 탄층 등이 제안되고 있다(IEA, 2008, Metz, et al., 2005).
암층의 구성물질 단위인 광물 성분에 대한 검토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5), 이들 암층의 광물성분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층의 특성은 그 암층의 구성요소인 광물입자들의 종류와 함량, 조직 등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따라서 암층의 구성물질 단위인 광물 성분에 대한 검토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hl, R.J. and Garrison, R.E. (1994) The origin of chert in the Montrey Formation of California, USA. Proc. 29th Int'l Geol. Congr., Part C, 101-132. 

  2. Cho, J.W. and Lim, D.I. (2002) Elemental Composition of Authigenic Siderites in the Early Holocene Coastal Sediments, Western Coast of Korea and Their Depositional Implication.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8). 

  3. Garrison, R.E., Mack, L.E., Lee, G.L., and Chun H.Y. (1979) Petrology, sedimentology and diagenesis of Miocene diatomaceous and opal-CT mudstones in the Pohang area, Korea. Jour. Geol. Soc. Korea, 15, 230-252. 

  4. Grim, R.E. and Guven, N. (1978) Bentonite.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217-248. 

  5. IEA (2008)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Technical report,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Paris, France. 643 p. 

  6. Metz, B., Davidson O., Coninck, H.C., Loos, M., and Meyer, L.A. (200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442 p. 

  7. Mizutani, S. (1977) Progressive ordering of cristobalitic silica in the early stage of diagenesi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61, 129-140. 

  8. Moon, H.S., Yun, H.S., Min, K.D., Lee, H.K., and Lee, J.C. (1990) Variations of Clay Mineral Assemblage, Colour, and Microfossil Abundance in the Tertiary Sediments from the Pohang Area During Chemical Weathering. Jour. Korean Inst. Mining Geol. 23(2), 201-213. 

  9. Noh, J.H. (1994) Stratigraphy, lithology and diagenetic mineral facies of the tertiary Yeonil Group.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 9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on, B.K. (2011) Mineral temperatures of the sedimentary basins for petroleum resources exploration, Korea. J. Miner. Soc. Korea, 24(3), 165-178. 

  11. Son, M., Song, C.W., Kim, M.C., Cheon, Y., Jung, S., Cho, H., Kim, H.G., Kim, J.S., and Sohn, Y.K. (2013) Miocene crustal deformation, basin development, and tectonic implic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9, 93-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Song, C.W., Son, M., Sohn, Y.K., Han, R.H., Shinn, Y.J., and Kim, J.C. (2015) A study on potential geologic facility sites for carbon dioxide storage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51, no. 1, p. 53-66. 

  13. Tateiwa, I. (1924) Geological atlas of Chosen, no. 2: Ennichi-Kyuryuho and Choyo Sheet (1 : 50,000). Geological Survey of Chosen, 16 p (in Japan). 

  14. Tomita, K., Takahashi, H., and Watanabe, T. (1988) Quantification curves for mica/smectite interstratifications by X-ray powder diffraction. Clays Clay Miner., 33, 379-390. 

  15. Um, S.H., Lee, D.W., and Park, B.S. (1964) Geological map of Korea, Pohang Sheet (1: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21 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Woo, K.S. and Noh, J.H. (1997) Occurrence, mineral facies, and formation of carbonate concretion from the Yeonil Group.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33, no. 4, 210-219. 

  17. Woo, K.S., Noh, J.H., and Park, K.H. (2003) The origin of the carbonate concretions in the Yeonil Group, Pohang Basi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39, no. 1, p. 1-24. 

  18. Yoon, S. (2010) Tectonic History of the Tertiary Yangnam and Pohang Basins,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 46, no. 2, p. 95-110. 

  19. Yun, H., Y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Special Publication, 3, 1-30. 

  20. Yun, H.S. (1986) Emended stratigraphy of the Miocene formations in the Pohang basin, Part I. Journal of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 54-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