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주관적 규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 Subject Nor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in Agricultural Science Field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4 no.3, 2017년, pp.211 - 222  

박혜진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대학교육혁신원) ,  유병민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riculture on the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by measuring the job value and the subjective norm of agricultur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내재적⋅외재적 가치 중 자아실현과 사회적 인정으로 구성된 직업가치와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있어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적 신념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농업에 대한 진로선택의 중요한 요인인 주관적 규범과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중 지식추구를 위한 자아실현과 타인으로부터 주어지는 사회적 인정에 대한 가치가 농업분야의 진로선택에 대한 주관적 규범과 의사결정측면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관계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의 직업 환경과 선택의 대처능력으로서 진로적응성은 내재적⋅외재적 직업가치와 주변 사람들의 인식 등의 주관적 규범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연관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년들의 실업문제가 점점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의 실업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국가 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급변하는 고용환경으로 과 다양화로 인해 진로결정에 대한 불안은 지속되고 있으며, 미래상황에 대한 예측도 점차적으로 어려워지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 성공적인 진로계획을 수립하고 선택하거나 일과 관련된 환경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준비능력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진로 과제와 과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의 특징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와 관련된 태도와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다른 요인간의 관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Taylor & Betz(1983)은 진로 과제와 과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자 하는 사람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이며, 이에 해당하는 경우 이미 진로를 결정지었을 확률이 크며, 진로적응성도 높다고 하였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에게 진로적응성이 요구되는 이유는? Savickas(1997), Kremboltz(2004), Vianen, Pater, & Preenen(2009)는 사회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는 현대사회에서는 환경에 어떻게 대응해 나가야 하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개인 고유의 직업적 흥미, 능력, 가치관을 직면하는 환경에 맞춰가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진로적응성이 요구된다(Savickas, 1997). 특히, 농업분야는 급격한 사회변화로 농업 종사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들조차 농업분야의 진출을 기피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박혜진, 유병민,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강현욱, & 임진선. (2016).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정체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55(1), 569-578. 

  2. 교육부. (2015).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PRIME)사업 기본계획.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3. 교육부. (2017).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육성사업 기본계획 발표. 세종특별자치시: 교육부. 

  4. 김경아. (2016).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옥, & 박영숙. (2012).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11), 69-90. 

  6. 김정숙. (2006). 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43, 79-102. 

  7. 노윤신. (2016).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불확실성 불관용에 의해 조절된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3), 107-129. 

  8. 노윤신, & 정철영. (2016).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주도적 성향,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의사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8(2), 55-81. 

  9. 농촌경제연구원. (2004).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민 의식조사. 연구보고 R485. 

  10. 문승규. (2017). 대학생용 직업가치카드 개발 및 타당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박성열, 차승봉, & 문승태. (2015).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1), 1-25. 

  12. 박수영. (2015).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진아. (2014). 대학생의 성격강점, 자기조절효능감, 자기주도학습,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박혜정. (2002). 수입 캐주얼의류 구매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의도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2), 1791-1803. 

  15. 박혜진, 유병민. (2016). 농대생의 농업교육훈련 만족도, 학습전이, 학습지속의향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3(3), 233-242. 

  16. 배병렬. (2006).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이해, 활용 및 프로그래밍. 서울: 청람. 

  17. 서경희. (2014).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서경희, 곽원준, & 심지현. (2015). 경력단절여성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취업진로연구, 5(4), pp. 57-88. 

  19. 서우석, 강대구, 정남용, 김재호, & 이윤조. (2006).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농업.농촌의 기능 및 가치 반영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4), 1-31. 

  20. 손능수, & 이재모. (2012). 경상북도 귀농인구 증가에 따른 복지욕구와 정책방안. 경북행복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1. 우성호. (2013). 귀농.귀촌의 결정요인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6개 시군을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이동혁, 황윤미, & 정지희. (2012). Krumboltz의 우연학습 이론을 배경으로 한 과제접근기술, 진로정체감, 진로장벽,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3(2), 855-875. 

  23. 이명훈, 이상민, & 테라다 모리키. (2014). 대학생의 진로 관련인식, 직업기초능력, 직업가치.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2), 58-80. 

  24. 이인숙. (2012). 외식종사원의 직무관련 정보기술이 지각된 용이성, 유용성과 시스템 사용 활동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장계영. (2009).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장계영, & 김봉환. (2011). 대학생 진로적응성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2(2), 539-558. 

  27. 조성연, & 민경석. (2011). 성과 경제적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차이 및 관계. 진로교육연구, 24(3), 59-76. 

  28. 차승봉, & 남민우. (2016). 현장실습중심 농업교육프로그램의 교육내용적 특성, 학습태도, 만족도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2(4), 435-444. 

  29. 하문선. (2014). 대학생의 내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양상 및 잠재집단유형과 성,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성취, 진로성숙의 관계. 직업교육연구, 33(3), 57-81. 

  30.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31. Azjen, I., & Fishbein, M.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MA: Addision-Wesley. 

  3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33. Blustein, D. L. (1997). The Role of Work in Adolescent Development,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4), 381-389. 

  34.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35. Creed, P. A., Fallon, T., & Hood, 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person and situation variables, and career concerns in young adul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4, 219-229. 

  36. De Pater, I. E., Van Vianen, A. E. M., Fischer, A. H., & Van Ginkel, W. (2009). Challenging experience: gender differences in task choice.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4, 4-28. 

  37. Duffy, R. D., Allan, B. A, & Dik, B. J. (2011). The presence of a calling and academic satisfaction: Examining potential mediat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9, 74-80. 

  38. East, R. (1993). Investment decision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14, 337-375. 

  39. Esters, L. T., & Retallick, M. S. (2013). Effect of an Experimental and Work-Based Learning Program on Vocational Ident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Career and Technical Education Research, 38(1), 69-83. 

  40. Fishbein, M. (1963).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s about an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e object. Human Relations, 16, 233-240. 

  41. Guan, Y., Wang, F., Liu, H., Ji, Y., Jia, X., Fang, Z., Li, Y., Hua, H., & Li, C. (2014). Career-specific parental behaviors,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A three-wave investigation among Chinese undergraduat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6, 95-103. 

  42. Hackett, G., & Betz, N. E. (1981). A self-efficacy approach to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8(3), 326-339. 

  43. Hackett, G., & Betz, N. E. (1986).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understanding career choice behavior.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4, 279-289. 

  44. Judge, T. A., & Bretz, R. D. (1992). Effects of work values on job choice decis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7(3), 261-271. 

  45. Krumboltz, J. (2004). Luck is no accident: Making the most of happenstance in your life and career. Atascadero, CA: Impact Publishers. 

  46. Lust, E., & Oliver, B. (1974). American managers' personal value systems revisited,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17, 549-554. 

  47. McCorkle, B. H., Rogers, E. S., Dunn, E. C., Lyass, A., & Wan, Y. M. (2008). Increasing social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evaluating the compeer model of intentional friendship. Community Mental Health Journal, 44(5), 359-366. 

  48. Pitz, G. F., & Harren, V. A. (1980). An analysis of career decision-ma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informationprocessing and decision-the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6, 320-345. 

  49. Rosenberg, M. (1957). Occupations and values. Glenco, Ill: The Free Press. 

  50. Ross, C. E., & Broh, B. A. (2000). The roles of self-esteem and the sense of personal control in the academic achievement process. Sociology of Education, 270-284. 

  51. Sarason, J. P., Pierce, C. R., Shearin, E. N., Sarason, I. G., & Waltz, J. A. (1991). Perceives social support and working models of self and actual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273-287. 

  52. Savickas, M. L. (1997). Career adaptability: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n, life-space theory.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5, 247-259. 

  53. Savickas, M. (2005). The theory and practice of career construction. In S. D. Brown & R. W. Lent (Eds.), Career development and counseling: Putting theory and research to work. Hoboken, NJ: John Wiley & Sons Inc. 

  54. Savickas, M. L., & Porfeli, E. J. (2012). Career Adapt-Abilities Scale: Construction, reliability,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13 countr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0, 661-673. 

  55. Schultheiss, D. E. P., Kress, H. M., Manzi, A. J., & Glasscock, J. M. J. (2001). Relational influences in career development: A qualitative inquir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9(2), 216-241. 

  56. Senge, P. (2000). School that learn: A fieldbook for teachers, administrators, parents and everyone who cars about education. London: Nicholas Brealey. 

  57. Super, D. E., & Knasel, E. G. (1981). Career development in adulthood: Some theoretical problems and a possible solution. British Journal of Guidance and Counselling, 9(2), 194-201. 

  58.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59. Vianen, A. E., Pater, I. E., & Preenen, P. T. (2009). Adaptable careers: Maximizing less and exploring mor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7(4), 298-309. 

  60. Wollack, S., Goodale, J. G., Wijting, J. P., & Smith, P. C. (1971). Development of the survey of work valu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5, 331-338. 

  61. Xu, H., & Tracey, T. J. (2015). Career Decision Ambiguity Tolerance Scale: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8, 1-9. 

  62. Zacher, H. (2014). Career adaptability predicts subjective career success above and beyond personality traits and core self-evalu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4, 2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