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S/ZnO/TiO2 나노복합체의 광촉매 특성
Photocatalytic Characteristics of PbS/ZnO/TiO2 Nanotube Composite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7 no.10, 2017년, pp.569 - 575  

이종호 (한서대학교 화학과) ,  허수정 (한서대학교 화학과) ,  윤정일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영직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김인기 (한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장경욱 (한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오한준 (한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mprove photocatalytic performance, a $PbS/ZnO/TiO_2$ nanotube catalyst was synthesized, and its surface characteristics and photocatalytic efficiency were investigated. The hybrid photocatalysts were produced by anodic oxidation and successive ionic layer adsorption and reaction(SIL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시 광영역의 빛을 더 많이 흡수할 뿐 아니라 광여기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억제 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광촉매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나노크기의 ZnO와 PbS 입자들이 TiO2 나노튜브 광촉매 표면으로 석출되어 있는 PbS/ZnO/TiO2 복합 광촉매를 제작하였으며, 복합 광촉매의 표면특성의 변화와 내부 조직 및 전기화학적 거동 그리고 광촉매 효율에 대해 조사를 실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iO2를 광촉매로 사용할 때의 문제점은? 또한 광여기에 의해 발생된 전자와 정공들을 튜브 형태의 계면을 통하여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효율의 광활성 재료로 많은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TiO2는 비교적 큰 에너지 밴드갭(3.2 eV)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광촉매로 이용할 경우, 태양광의 약 4 % 정도에 해당되는 파장 범위에서만 반응을 할 뿐 아니라, 광반응 시 생성된 전자와 정공의 빠른 재결합에 의해 광촉매 반응 효율이 낮아지는 등의 사용상의 한계는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따라서 TiO2를 친환경 에너지 분야와 광촉매 분야와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빠른 전하이동을 통해 광반응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와, TIO2 표면에 좁은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반도체 재료와의 이종결합을 통하여가능한 많은 가시광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광촉매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에 대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나노튜브형 TiO2 광촉매의 특징은? 나노튜브형 TiO2 광촉매는 제조법이 비교적 단순하고 경제적일 뿐 아니라 나노튜브 형태의 규칙적인 형상으로 인해 매우 높은 비표면적을 나타낸다. 또한 광여기에 의해 발생된 전자와 정공들을 튜브 형태의 계면을 통하여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고효율의 광활성 재료로 많은 기대를 받아왔다. 그러나 TiO2는 비교적 큰 에너지 밴드갭(3.
TiO2/ZnO 이종결합의 장점은? 특히 광여기에 의해 생성된 전하들이 이동 중 다시 재결합되는 현상을 억제 시켜서 광반응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로는, TiO2의 높은 반응성과 ZnO의 높은 전자이동성을 활용한 TiO2/ZnO 이종결합(hetrojunction)을 이용하는 방법이 보고1,2)되고 있다. 이 경우는 전도대와 가전도대 사이에서 광여기된 전자와 정공들의 이동과정을개선시켜 주기 때문에 광여기에 의해 발생된 전하들이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감소시켜 광촉매 효율을 증가된다고 보고3)된다. 그러나 TiO2/ZnO의 이종결합(heterojunction)은 광반응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등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두 물질은 모두 큰 에너지 밴드갭을 나타나기 때문에 가시광 영역의 빛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는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X. Zheng, D. Li, X. Li, J. Chen, C. Cao, J. Fang, J. W., Y. He and Y. Zheng, Appl. Catal. B Environ., 168-169, 408 (2015). 

  2. F. Li, Y. Jiao, S. Xie and J. Li, J. Power Sources, 280, 373 (2015). 

  3. L. Yang, Q.-l. Ma, Y. Cai and Y. M. Huang, App. Surf. Sci., 292, 297 (2014). 

  4. Y. Li, L. Wei, X. Chen, R. Zhang, X. Sui, Y. Chen, J. Jiao and L. Mei, Nanoscale Res. Lett., 8, 67 (2013). 

  5. B. Tan and Y. Wu, J. Phys. Chem. B, 110, 15932 (2006). 

  6. S. N. Hosseini, S. M. Borghei, M. Vossoughi and N. Taghavinia, Appl. Catal. B Environ., 74, 53 (2007). 

  7. B. Zielinska and A. W. Morawski, Appl. Catal. B Environ., 55, 221 (2005). 

  8. J.-H. Lee, J.-I.Youn, Y.-J. Kim, I.-K. Kim, K.-W. Jang and H.-J. Oh, Ceram. Int., 41, 11899 (2015). 

  9. Y.-L. Xie, Z.-X. Li, Z.-G. Xu and H.-L. Zhang, Electrochem. Commun., 13, 788 (2011). 

  10. Y. Xu and M. A. A. Schoonen, American Mineralogist, 85, 543 (2000). 

  11. P. S. Nair, T. Radhakrishnan, N. Revaprasadu, G. A. Kolawole, A. S. Luyt and V. Djokovic, Appl. Phys., A81, 835 (2005). 

  12. D. H. Yeon, S. M. Lee, Y. H. Jo, J. Moon and Y. S. Cho, J. Mater. Chem. A, 2, 20112 (2014). 

  13. J. Tian and G. Cao, Nano Reviews, 4, 22578 (2013). 

  14. L. Jin, G. Sirigu, X. Tong, A. Camellini, A. Parisini, G. Nicotra, C. Spinella, H. Zhao, S. Sun, V. Morandi, M. Zavelani-Rossi, F. Rosei and A. Vomiero, Nano Energy, 30, 531 (2016). 

  15. Y. Wang, A. Suna, W, Mahler and R. Kasouski, J. Chem, Phys., 87, 7315 (1987). 

  16. T. Hirai, Y. Tsubaki, H. Sato and I. Komasawa, J. Chem. Eng. Japan, 28, 468 (1995). 

  17. Y. Zhu, R. Wang, W. Zhang, H. Ge and L. Li, App. Surf. Sci., 315, 149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