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과 기호학적 의미 연구
The beginning of abstract animation and semiotic meaning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8, 2017년, pp.23 - 44  

이영헌 (평택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기에 발생되는 양상과 상호매체적 특징을 살펴보고 추상애니메이션의 기호학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아방가르디스트가 주축이 되어 형성되었고 그것의 기반에는 추상회화가 있었다. 추상회화를 퍼스의 기호학으로 살펴보면 '상징적 기호'에 속하며 특정한 대상을 재현하지 않는다. 이에 추상애니메이션 또한 그 대상성이 사라지고 추상애니메이션 스스로가 대상이 되고 있음을 알았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상호매체성을 기반으로 추상회화와 음악이 결합되는 '매체조합'의 범주에 있다. 새로운 매체에 대한 아방가르디스트의 과감한 실험과 도전은 추상애니메이션의 태동을 가져왔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추상회화를 기반으로 시작되었지만 음악 및 시간성과 결합되며 새로운 매체로 진화되었다. 추상애니메이션은 독일에서 발터 루트만, 비킹 엘겔링, 한스 리히터 등의 아방가르디스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들은 음악을 기반으로 추상애니메이션을 각자의 시간으로 풀어나갔다. 오스카 휘싱어는 발터 루트만의 영향을 받았으며 <스터디 시리즈>를 완성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작품을 이어나갔다. 휘싱어 이후 존 휘트니는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하여 추상애니메이션의 계보를 이어나갔다. 추상애니메이션은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부재 속에서 매체의 근본적 의미에 충실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aspect and intermedial characteristics at the beginning of the abstract animation and the semiotic meaning of abstract animation. Abstract animation was formed by arbangaridist, and there was an abstract painting on its foundations. The abstract painting belong to 'symbol sig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추상애니메이션의 기원을 찾고 그것이 기호학적 범주에서 어떠한 의미를 발생시키고 있는지를 찾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추상애니메이션의 기원은 추상회화에서 시작되었음을 알았는데 이것은 추상애니메이션 아방가르드 예술가, 발터 루트만, 비킹 엘겔링, 한스 리히터 등이 화가였다는데서 추정해볼 수 있다.
  • 조형은 음악의 악보를 연상시키기도 하는데 때로는 독립적 형태가 따로 보이고 <그림 5>와 같이 모여서 보이기도 한다. 이 추상애니메이션은 조형의 위치변화에 따른 움직임보다는 한 형태가 점진적 완성 또는 사라짐을 통해 음악 볼륨의 변화처럼 느껴지게 하며, 필름이라는 매체 안에서 추상적 조형이 시간과 어떻게 조직화되는지의 실험이다.
  • 추상애니메이션의 기원은 추상회화에서 시작되었음을 알았는데 이것은 추상애니메이션 아방가르드 예술가, 발터 루트만, 비킹 엘겔링, 한스 리히터 등이 화가였다는데서 추정해볼 수 있다. 이에 추상애니메이션에 앞서 추상회화의 기호학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추상회화는 퍼스의 기호학을 통해 그것의 목적과 의미를 구분할 수 있었다.
  • 둘째는 추상애니메이션에 발생되는 기호학적인 의미를 찾아보려 한다. 추상회화에서 추상애니메이션으로 변화하는 단계에서 상호매체성의 범주 및 기호학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5) 예를들어 문학의 텍스트는 상당히 논리적이지만 감성적인 측면이 부족하여 음악과 결합을 시도하여 감성적인 부분을 보충하려 한다면, 음악은 논리적이며 서사적인 측면이 부족한 이유로 문학과의 결합을 통하여 논리성을 보충할 수 있다.6) 음악은 추상애니메이션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음악은 한 독립적 매체로도 작동하지만 서사적 기능이 약하고 대상성이 약하여 다른 매체와 결합되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찰스 샌더스 퍼스에 따르면 기호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미국의 기호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Charles Sanders Peirce)에 따르면 기호는 도상(Icon), 지표(Index), 그리고 상징(Symbol)으로 나뉜다. 도상, 지표, 상징으로 나누는 3단계 구분법은 추상회화를 구분지어 생각하기에 적절한 방법이다.
예술가들은 왜 작품 자체가 대상이 되는 시도를 하기 시작했는가? 그러나 사진이라는 매체의 등장은 이러한 예술가들을 큰 혼란에 빠뜨렸다. 대상의 재현을 사진보다 더 완벽하게 구현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예술가들은 대상의 재현에서 벗어나 작품 자체가 대상이 되는 시도를 시작하였다.
현대의 예술가들은 기존의 예술가들과 다른점이 무엇인가? 이에 예술가들은 대상의 재현에서 벗어나 작품 자체가 대상이 되는 시도를 시작하였다. 기존의 예술가들은 이미 존재하는 대상의 기호를 만들었다면, 현대의 예술가들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창조하며 그 스스로가 새로운 사물인 '오브제'가 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준양, 애니메이션,이미지의 연금술, 한나래, 2001. 

  2. 윤난지, 추상미술과 유토피아, 한길아트, 2011. 

  3. 장-뤽 다발, 홍승혜 엮, 추상미술의 역사, 미진사, 1990. 

  4. 전동열, 기호학,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5. 조복행, 뮤지컬의 상호매체성과 혼종의 미학, 경인문화사, 2014. 

  6. 조지 락키, 윤난지 역, 키네틱 아트, 열화당, 1991. 

  7. 진중권, 이미지인문학, 천년의 상상, 2014. 

  8. 칸딘스키, 권영필 역,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미술책방, 2000. 

  9. 칸딘스키, 차봉희 역, 점.선.면 회화적인 요소의 분석을 위하여, 열화당미술책방, 2004. 

  10. 페데리코 폴레티, 노윤희 엮,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세계, 마로니에북스, 2010. 

  11. A.L.. Rees, 성준기 엮, 실험영화와 비디오의 역사, 커뮤니케이셔북스, 2013. 

  12. Karin v. Maur, Vorn Klang der Bilder Munchen, 1985, S, 3. 

  13. Jeanpaul Goergen, Walter Ruttmann eine Dokumentation, Berlin 1989, S.20. 

  14. 서계숙, 추상영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자연과학 제9집 제2호, 1998. 

  15. 손국환, 추상애니메이션의 개념정립 및 전개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4, 2013. 

  16. 임용섭, 애니메이션 과 에서 나타난 상호매체성 관계, 만화애니메이션연구, 2016. 

  17. 전동열, 기호학적 범주로서의 상호매체성, 독일문학, 2010. 

  18. 진중권, 추상회화에 대하여, 예술의전당, 5월호(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