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위군 화산습지의 식생: 오리나무림을 중심으로
Hwasan Wetland Vegetation in Gunwi, South Korea: with a Phytosociological Focus on Alder (Alnus japonica (Thunb.) Steud.) Forest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1, 2017년, pp.70 - 78  

김종원 (계명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승은 (국립생태원) ,  이정아 (계명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산습지는 경북 군위와 영천 경계의 산정 분지 (표고 644~780 m)에 위치한다.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장 식생조사가 이루어졌고, 현존식생도가 제작되었다. 단위식생의 출현종의 행동양식은 피도와 상대기여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버드나무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산돌배하위군락으로 이루어진 오리나무-백당나무군락이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오리나무 우점림에 대한 선행 기재단위식생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일본갈매나무군집, 버드나무-신나무군집 등)과의 군락분류학적, 군락동태학적 대응성이 논의되었다. 본 군락은 오리나무군강(Alnetea japonicae)에 귀속되고 산간 계류 선상지에서의 분지상(分地狀) 범람원 습생림으로 규정되었다. 화산습지의 잠재자연식생이고 증거 식생형으로서 식생보존등급 [I]의 자연식생으로 평가되었다. 입지의 수리수문 환경조건의 극적인 변화(건생화 및 부영양화)로부터 국가적 보호 전략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wasan wetland vegetation is observed at mountain basin (644~780 m a.s.l.) where had become a potential land for indigenous people since prehistoric period. We phytosociologically investigated old-growth alder (Alnus japonica) forests using the $Z\ddot{u}rich$-Montpellier School's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곳의 오리나무 숲은 식분의 발달기간과 피복 면적의 관점에서 희귀한 삼림식생으로 평가된 바 있다(Kim and Lee,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오리나무 우점림과 그 주변식생에 대한 군락분류와 군락 분포를 규명하고, 화산습지의 보전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리나무의 서식처는 어디인가? , 2010, 2013; Paik, 2010), 그 면적은 제한적이다. 오리나무의 서식처는 산지습지 및 계곡, 하천변 범람원, 배후습지, 충적저지 등인데(Sakio and Yamamoto, 2002), 이러한 곳은 고대 선사시대로부터 잠재적 토지 자원으로서 이용된 역사는 오래다(Kim, 2013).
본 연구에서 선정한 화산습지의 위치는 어디인가? 화산습지는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일원이며, 영천시 신령면과의 경계에 위치(36°05ʹ43ʺN 128°48ʹ20ʺE)하고, 해발고도 644~780 m의 산정 분지이다(Fig. 1).
화산습지 군락의 진단종으로 밝혀진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화강암 기저의 지질 여건에서 산간 분지 쟁반형 선상지(扇狀地)의 넓고 평탄한 퇴적 지형에서 습윤한 토양 환경을 유지하는 곳에 발달하였다. 군락의 진단종은 오리나무, 백당나무, 신나무, 바디나물, 참당귀, 쉽싸리 등이고, 입지의 수분 환경조건을 반영한다. 특히 백당나무와 신나무가 고빈도로 출현하고, 식분에 따라서는 대경목인 신나무와 물푸레나무가 섞여 난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log of Republic of Korea Army. 2016. Armynuri. http://armynuri.tistory.com/569. (accessed 09. Nov. 2016). 

  2.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Fuller, G.D. and H.S. Conrad, trans.). New York. 

  3. CH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 Heritage information. http://www.cha.go.kr/ (accessed 10. Nov, 2016). 

  4. Heo, S.J., Y.H. Son, M.H. Lee and N.J. Noh. 2007. Soil properties of Alnus japonica stands in Heonilleung, Seoul. 2007 Conference Report of Korean Forest Society: 103-104. 

  5. Jeong, H.L., M.H. Seo and K.H. Kwon. 2001. Vegetation in Goseon-gun, Gangwon-Province. In: Technical Report on DMZ's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31-46. 

  6. Kang, H.C. and H.I. Lee. 2012.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Alnus japonica community in Hwasan. In: 2012 Technical Report on the Protected Area Establishment of Nationally and Representative Ecosystem and Landscape.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pp. 15-34. 

  7. Kim, C.H., K.G. Kim, Y.E. Choi, S.S. Kim and J.R. Shin. 2010. Study of vegetation of civilian control line . DMZ area: Focusing on the Donghae Bukbu Lin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6): 63-74. 

  8. Kim, J.S., S.H. Hyun, S.H. Hong, H.M. Kang and J.N. Bae. 2013.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of Amgok Wetland,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3): 381-395. 

  9. Kim, J.W. 1989. Phytosociology and phytogeography of summer green broad-leaved forests in South Korea. Studies in Plant Ecology 18: 141-143. 

  10.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diss., University of Vienna, Vienna. 

  11. Kim, J.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Publishing Ltd., Seoul. 

  12. Kim, J.W. 2013. The Ecological Flora of Korea. Vol. 1. Nature & Ecology, Seoul. 

  13. Kim, J.W. 2016. Climate and Vegetation. In: A Millennium of Shilla History and Culture, Vol. 1. General Introduction of the Silla History, Chap. 1 Natural Environment of Silla. Gyeongsanbuk-do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Yeongcheon, pp. 48-75. 

  14. Kim, J.W. and C.W. Lee. 2007. Vegetation of Oegogae wetland. In: 2007 National Wetland Survey. UNDP/GEF, Seoul, pp. 223-240. 

  15. Kim, J.W. and J.A. Lee. 2011. Vegetation of Cheongsong County and Yeongcheon City. In: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1-14. 

  16. Kim, J.W. and J.H. Kim. 2003. Vegetation of Moojechi moor in Ulsan: syntaxonomy and syndynamic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6(5): 281-287. 

  17.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ournal of Ecology 17: 391-413. 

  18. Kim, J.W., B.K. Choi, T.B. Ryu and G.Y. Lee. 2012a.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n: Guideline for the 4th National Ecosystem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81-172. 

  19. Kim, J.W., S.E. Lee and J.A. Lee. 2012b. Vegetation of Alnus japonica stands in Hwasan. In: 2012 Technical Report on the Protected Area Establishment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Ecosystem and Landscape.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pp. 51-79. 

  20. Kim, Y.P. and S.E. Im. 2005. Restructuring mountain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using DEM.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47: 239-254. 

  21.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Climate Data. http://www.kma.go.kr/ (accessed 10. Nov. 2016). 

  22. KPNIC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2016. Plant List. http://www.nature.go.kr/ (accessed 13. Nov. 2016). 

  23. Lee, Y.K. and J.W. Kim.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Keimyung University Press, Daegu. 

  24. Lee, Y.K., B.K. Choi and S.Y. Kim. 2010. Ecological Survey on the North part of DMZ. In: Technical Report on DMZ's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46-57. 

  25. Lee, Y.K., J.S. You, H.J. Kim and S.Y. Kim. 2013. Ecological Survey on the North part of DMZ. In: Technical Report on DMZ's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46-67. 

  26. Lovvorn, M.B., G.C. Frison and L.L. Tieszen. 2001. Paleoclimate and Amerindians: Evidence from stable isotopes and atmospheric circula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8: 2485-2490. 

  27. Paik, W.K. 2010. Vegetation of wetland in Mueuido (Incheon city).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9(5): 197-205. 

  28. Sakio, H. and F. Yamamoto. 2002. Ecology of Riparian Forests. University of Tokyo Press, Tokyo. 

  29. Son, M.W. and M.S. Kim. 1998. Geomorphical landscape in Gunwi County and Yeongcheon City. In: The 2nd National Ecosystem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3-41. 

  30.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 1978. The Braun-Branquet Approach. In: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Whittaker, R.H. ed.). Dr. W. Junk, The Hague. pp. 287-399. 

  31. Yang, H.K. and H.K. Han. 2012. Hydraulic and hydrologic research of Alnus japonica stands in Hwasan. In: 2012 Technical Report on the Protected Area Establishment of Nationally and Representative Ecosystem and Landscape.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pp. 35-50. 

  32. Yano, M., S. Mizugaku, T. Hayasida and Y. Murakami. 2010. Relation of Alnus japonica and its adaptation for inundation environment in the Kushiro mire. Japanese Wetland Research 1: 43-53. 

  33. Yim, Y.J. and C.S. Han. 1989.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Daemo, Seoul. Bulletin of Construction and Environment, Chung-Ang University 1: 73-93. 

  34. You, Y.H. and H.R. Kim. 2007. Flora of Oegogae Wetland. In: 2007 Technical Report of National Wetland Survey. UNDP/GEF, Seoul, pp. 241-2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