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수계의 배후습지인 우습제에 서식하는 식생분포와 특성
Vegetation Distribution 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 of Useupje (Backswamp) in the Youngsan River Basin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0 no.1, 2017년, pp.157 - 168  

정현기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임정철 (국립습지센터) ,  최병기 (동의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부유식생에는 개구리밥군락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이 출현하였고 부엽식생에는 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 community), 연꽃-마름군락 (Trapa bispinosa var. inumai-Nelumbo nucifer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정수식생의 진연안대에는 물참새피군락 (Paspalum distichum community), 고마리군락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갈풀군집 (Phalaridetum arundinaceae)이 확인되었고 추수대에는 줄-매자기군집 (Scirpo fluviarilis-Zizanietum latifoliae), 애기부들군락 (Typha angustata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조간대에는 큰고랭이군집 (Scirpetum tabernaemontani), 갈대군집 (Phragmitetum australis)이 확인되었고 중수위권의 습지추이대지역에서는 버드나무-이삭사초군락 (Carex dimorpholepis-Salix subfragilis community)이 확인되었다. 우습제 식생분포결과에 따르면, 식생분포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로서 습지 내 수위변화가 주요 요인으로 고려된다. 우습제의 단위식생 평가결과는 식생자연도에 따라 대부분 III 등급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넓은 면적에서 다양한 고유식생 분포가 확인되었고 인접한 습지가 존재하지 않는 지리적 특성을 고려할 때, 지역생태계에 기여하는 생태학적 가치는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swamp is the section of a floodplain where deposits of fine silts and clays settle after a flood. In general, the wetland is composed of diverse ecosystems, and is characterized by ecot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vegetation naturalness and to assess vegetation value by syntax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배후습지는 범람에 의해 고운 입자가 퇴적된 범람원으로 일반적으로 추이대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한 생태계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영산강 배후습지인 우습제의 식생다양성과 자연성평가를 통한 습지의 생태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우습제의 식생은 서식처의 종조성에 따라 4개 상관형의 14개 단위식생으로 분류되었다.
  • , 2010), 우습제의 식생 특성들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습제의 식생분포 및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생태학적 보전 방안을 모색할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침투외래식물군락이 습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배후습지는 앞서 기재한 단위식생 이외에도 습지 환경 조건에 적응한 다양한 침투외래식물군락 (invasive plant community)의 출현 및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Weber, 200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외래종 우점 및 외래종이 포함된 식생은 습지의 기능 및 구조적 변형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지역고유식생과 군락이 가지는 종다양성 및 관련된 다양한 생물군에게 복합적인 교란을 야기함으로서 습지 관리와 보호를 위한 습지 식생 연구의 중요 관심사가 되고 있다 (Van der Valk, 2007; Gettys et al. , 2014; Ramsar, 2016).
습지생태계의 생물할적 측면의 역할은 무엇인가? 습지생태계는 습지 내 분포하는 생물들에게 먹이 공급원, 피난처 및 산란처로서 중요한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Jeppesen et al. , 1998; Lodge, 2001).
배후습지의 대표적인 식생은 무엇인가? 하천에 인접하여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인 강의 범람으로 잠재범람역에 위치한 배후습지는 정수 (lentic) 환경이 연중 우세하게 형성되며, 본류로부터 다량의 유기물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후습지의 대표적인 식생은 부엽 부수식생, 침수식생, 단경/고경초본식생, 연목림 및 천변 경목림 등으로 다양하며, 하천의 수문특성, 습지형태와 규모, 자연성 및 수계의 지리적 구분 등에 따라 다양한 식생형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후습지에서 보고되는 대표적인 식생은 부엽식생에 오스트리아의 Potametea군강 (Grabherr and Mucina, 1993), 독일의 Potamogetonetea pectinati군강 (Schubert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ecking, R.W. 1957.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anical Reviews 23: 411-488. 

  2.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xii +, pp. 439. 

  3. Carr, G.W., J.V. Yugovic and K.E. Robinson. 1992. Environmental Weed Invasions in Victoria: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mplications. Department of Conservation and Environment and Ecological Horticulture Pty Ltd., Melbourne. 

  4. Chepinoga, V.V., E. Bergmeier, S.A. Rosbakh and K.M. Fleckenstein. 2013. Classification of aquatic vegetation (Potametea) in Baikal Siberia, Russia, and its diversity in a Northern Eurasian context. Phytocoenologia 43:127-167. 

  5. Federal Interagency Stream Restoration Working Group. 1998. Stream corridor restoration: Principles, processes and practices. FISRWG. 

  6. Fujiwara, K. 1996.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in the "Vegetation of Japan" 1980-1989. Bulletin-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2: 23-80. 

  7. Gettys, L.A., W.T. Haller and D.G. Petty. 2014. Biology and Control of Aquatic Plants: A Best Management Practices Handbook, third edition. AERF, Georgia. 

  8. Grabherr, G. and L. Mucina. 1993. Die Pflanzengesellschaften Osterreichs, teil II, Naturliche waldfreie Vegetation. Gustav Fischer, Jena, Stuttgart, New York, p.578. 

  9. Holm, L., J. Doll, E. Holm, J.V. Pancho and J.P. Herberger. 1997. World weeds: Natural histories and distribu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pp.1152. 

  10. Hsiao, A.I. and Huang, W.Z. 1981. Effects of flooding on rooting and sprouting of isolated stem segments and on plant growth of Paspalum distichum L. Weed Research 29(5): 335-344. 

  11. Jeong, H.G., J.K. Seo, H.J. Lee, W.C. Lee and J.K. Lee. 2010. Habitats selection of zooplankton between pelagic and littoral zone in shallow reservoirs in summ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Biology 28:188-195. 

  12. Jeppesen, E., T.L. Lauridsen, T. Kairesalo and M.R. Perrow. 1998. Impact of Submerged Macrophytes on Fish-Zooplankton Interactions in Lakes. In: The Structuring Role of Submerged Macrophytes in Lakes. Springer, New York, pp. 91-114. 

  13. Kang, S.W., D.C. Seo, Y.J. Seo, S.G. Lee, I.W. CHoi, B.J. Lim, D.J. Lee, S.D. Kim, J.S. Heo and J.S. Cho. 2012. Distribution c of Epabitats sm characteristics of plants in various replacement wetlands surrounding Yeongsan Riv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pp. 336. 

  14. Kil, J.H., D.B. Lee, J.M. Kim and H.C. Shin. 2008. Spread and ecological impact of Paspalum distichum. Korean Society of Water Quality 2008: 473-474. 

  15.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2nd ed.). World Science, Seoul, pp. 340. 

  16. Kim, J.W. and E.J. Lee. 1997. Multicriterion matrix technique of vegetation assessment - A new evaluation technique on the vegetation naturalness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0: 303-313. 

  17. Kim, J.W. and Y.I. Manyko.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and Ecology 17: 391-413. 

  18.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pp. 239. 

  19. Kim, J.W., B.K. Choi, T.B. Ryu and G.Y. Lee. 2012a.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In: Guideline for the 4th National Survey for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on, pp. 81-172. 

  20. Kim, J.W., K.H. Ahn, C.W. Lee and B.K. Choi. 2012b. Ecologically Illustrate Vegetation of Korea: Plant Communities of Upo Wetland.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333. 

  21. Kolbek, J. and I. Jarolimearolmek. 2013. Vegetation of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classification, ecology and distribution. Phytocoenologia 43(3-4): 245-327. 

  2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Meteorological data. http://www.kma.go.kr. accessed 10. May 2016. 

  23. Lee, S.E. 2009.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plant communities at the potential floodplain in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Korea. Master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103. 

  24. Lee, T.B. 2003. Colo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pp. 914, II: pp. 910. 

  25. Lee, W.C.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Books, Seoul, pp. 624. 

  26. Lee, W.C.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 (I, II). Academy Book, Seoul, pp. 2383. 

  27. Lee, Y.K. 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28. Lee, Y.K. and J.W. Kim. 2005. Riparian Vegetation of South Korea. Keimyung University press, Daegu, pp. 293. 

  29. Lodge, D.M. 2001. Littoral zone structures as Daphnia refugia against fish predators. Limnology and Oceanography 46: 230-237. 

  30. Miyawaki, A., S. Okuda, and R. Fujiwara. 1994.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Tokyo, pp. 910. 

  31.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ly & Sons, New York. 

  32. Mulamoottil, M., B.G. Warner and E.A. McBean. 1996. Wetlands: Environmental Gradients, Boundaries and Buffers. CRC Press Inc, U.S.A. pp. 320. 

  3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2010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588. 

  3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2011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605. 

  35.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2012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485. 

  3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Invasive Alien Speci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168. 

  37. National Wetlands Center. 2014. The 3rd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1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Changnyeong, pp. 563. 

  38. Oh, Y.J., C.K. Kang, S.B. Lee, B.M. Lee, H.S. Nam, Y.K. Lee, W.J. Lee and H.J. Jee. 2010. Analysis of vegetation types of Yeongsan river basins.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30(2): 112p. 

  39. Park, S.H. 1999.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178. 

  40.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pp. 371. 

  41. Ramsar Convention. 2016. Ramsar sites database. http://ramsar.org. accessed 10. Dec. 2016. 

  42. Schubert, R., H. Werner and S. Klotz. 2001. Bestimmungsbuch der Pflanzengesellschaften Deutschlands. Spektrum Akademischer Verlag Gustav Fischer, Berlin, pp. 472. 

  43. Skerman, P.J. and F. Riveros. 1989. Tropical grasses- FAO plant production and protection series. FAO Rome 23: 852p. 

  44. Song, J.S. 2000. A preliminary phytosociological survey of the riverside vegetation in part of main stream of Nak-tong River near Andong, South Korea. Bulletin of Basic Science in Andong University 11: 107-117. 

  45. Song, J.S. 2002. A phytosiciological study of the shrubby and herbaceous vegetation of the riverside in the upper stream of Nak-dong river,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5(2): 104-117. 

  46. Song, J.S. and S.D. Song. 1996.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riverside vegetation around Hanchon, an upper stream of Nak-tong River.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9(5): 431-451. 

  47. Suzuki, T. and K. Suzuki. 1971. Der index des Japanischen meers und der Setouchi-Index.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0(6): 252-255. 

  48. Van der Valk, A.G. 2007. The Biology of Freshwater Wet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173. 

  49. Weber, E. 2005. Invasive Plant Species of the World: A Reference Guide to Environmental Weeds. CABI publishing, Wallingford, pp. 548. 

  50.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Ed. R. H. Whittake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Dr W Junk by Publisher, Hague, pp. 167-726. 

  51. Zuloaga, F.O., O. Morrone, G. Davidse, T.S. Filgueiras, P.M. Peter- son, R.J. Soreng, E. Judziewicz F.O. Zuloaga and O.N. Morrone. 2003. Catalogue of new world Grasses (Poaceae): III Subfamilies Panicoideae, Aristidoideae, Arundinoideae and Danthonioideae. Smithsonian Institution. Department of systematic biology, Botany,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Washington 46:1-6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