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g 5 성격요인에 따른 청소년 성격특성의 발달적 변화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0, 2017년, pp.307 - 321  

장은지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최은실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학생 2,260명을 대상으로 Big 5 성격요인에 따른 청소년 성격특성에 발달적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성격 5요인의 발달적 변화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고, 더불어 신경증 하위요인을 추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기 문제행동 시기와 특성을 확인 하였다. 분석에는 일원배치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난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성격 5요인 특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신경증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격 5요인 특성 모두에서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기 성격특성에 대한 성별에 따른 학년별 발달적 경향성에서도 성별 간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별과 학년에 따른 분석에서 남자는 중등 2학년, 여자는 고등 3학년에서 성격특성이 두드러질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경증과 관련된 외현화 행동문제는 중등 1 2학년에서 내현화 행동문제는 고등 3학년에서 주로 발현될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 성격특성의 발달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성별과 학년에 따라 상이한 정신건강문제가 발현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adolescent personality regarding personality traits of Big 5 model in 2,2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change of personality 5 factor according to sex and grade. In addition, we investiga...

주제어

표/그림 (2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떠한 영역의 발달들이 이루어지나? 청소년기는 생물학적 발달, 인지적 발달, 사회·정서적 발달의 세 가지 영역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15]. 이중 어느 하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세 가지 영역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청소년기 동안 복잡하게 얽히며 발달하게 된다.
두가지 성격에 관한 연구는 무엇이며 특징은? 성격에 관한 연구는 흔히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특성이론과 다른 하나는 단계이론이다. 전자는 성격을 인간 내부에 존재하는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틀이 있다고 보며, 성격특성이 어떤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고 몇 개로 구성되었는지를 연구한다. 이렇게 해서 발견하게 된 대표적인 성격특성이 Big Five 성격 요인(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이라고 할 수있다. 후자는 이러한 성격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발달하여 개인이 생활하는 사회에서 어떤 기능을 하게 되는지 알고 이해하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성격 5요인 검사의 Big Five 요인은 무엇인가? Big Five 요인은 연구자들에 의해 조금씩 다르게 정의되고 있으나, 대체로는 신경증 성향(정서 안정성), 외향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지성), 우호성(친화성), 성실성(성취에 대한 의지)으로 5요인을 지칭하고 있다 [1][11]. 본 연구에서 연구도구로 사용한 정승철과 최은실의 ‘성격 5요인 검사(BFI-Big Five Inventory)’를 바탕으로 Big Five 요인을 개방성(Openness), 성실성 (Conscientiousness), 외향성(Extraversion), 우호성 (Agreeableness), 신경증(Neuroticism)으로 지칭하고자 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민경환, 성격심리학, 경기: 법문사, 2002. 

  2. P. T. Costa and R. R. McCrae, ""Set like plaster?" Evidence for the stability of adult personality," In T. Heatherton & J. Weinberger(Eds.), can personality change?, pp.21-40, Washin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4. 

  3. Rebecca L. Shiner, "Linking Childhood Personality With Adaptation: Evidence for Continuity and Change Across Time Into Late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8, No.2, pp.310-325, 2000. 

  4. 이춘재, 곽금주, "자기상(Self-Image)으로 본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발달(I): 연령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7권, 제2호, pp.119-135, 1994. 

  5. 오숙영, MBTI 성격유형과 청소년의 학교적응관계,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6. 김동일, 안연의, "NEO 청소년 성격검사 타당화 연구," 청소년 상담연구, 제14권, 제1호, pp.77-91, 2006. 

  7. 이경호, 송미옥,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등교 거부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 관계를 매개변인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2017. 

  8. 최귀숙, 임성옥, "학교청소년의 대인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게임중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180-193, 2017. 

  9. Howard S. Friedman and Miriam W. Schustack, personality: Classic theories and modern research(5th ed), Boston: Pearson/Allyn & Bacon, 2012. 

  10. 김동일, 홍성두, 인효연, "Big Five 성격요인에 기초한 청소년 성격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89-305, 2006. 

  11. L. R. Goldberg, "An alternative "description of personality" : The big-fiv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9, No.6, pp.1216-1229, 1990. 

  12. 정승청, 최은실, 성격 5요인검사 BFI 전문가용 매뉴얼, 경기: 한국가이던스, 2015. 

  13. Renee D. Goodwin and Ian H. Gotlib,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the role of personality factors," Psychiatry Research, Vol.126, pp.135-142, 2004. 

  14. 김영봉, 교육심리학, 고양: 서현사, 2007. 

  15. 정옥분, 청년심리학(2판), 서울: 학지사, 2015. 

  16. 강인숙, 김정택,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문제행동 및 정서지능의 관계," 한국심리유형학회지, 제14권, pp.85-105, 2006. 

  17. Michele Vecchino, Guido Alessandri, Claudio Barbaranelli & Gianvittorio Caprara, "Gender differences in the big five personality development: Alongitudinal investigation from late adolescence to emerging adulthoo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3, pp.740-746, 2012. 

  18. P. T. Costa, A. Terracciano, and R. R. McCrae,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cross cultures: Robust and surprising find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1, No.2, pp.322-331, 2001. 

  19. Theo A. Klimstra, William W. Hale III, Quinten A. W. Raaijmakers, Susan J. T. Branje, and Wim H. J. Meeus, "Maturation of Personality in Adolesc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6, No.4, pp.898-912, 2009. 

  20. 안창규, 채준호, "NEO-PI-R의 한국표준화를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제9권, 제1호, pp.443-473, 1997. 

  21. A. L. Van den Akker, P. Prinzie, M. Dekovic, A. D. De Haan, J. J. Asscher, and T. Widiger,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extremity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Relations to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105, No.6, pp.1038-1048, 2013. 

  22. L. Cytrn and D. H. Mcknew,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ing clinical expression of the depressive process in children," American Jounal of psychiatry, Vol.131, No.8, pp.879-881, 1974. 

  23. J. A. Chiles, M. L. Miller, and G. B. Cox, "Depression in an adolescent delinquent population," Archives General Psychiatry, Vol.37, pp.1179-1184, 1980. 

  24. 심응철,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2권, 제2호, pp.24-34, 1999. 

  25. 곽금주, 문은영, "사춘기 남녀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과 우울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93연차대회학술발표 논문집, 1993. 

  26. 신민정, 정경미, 김은성, "한국청소년들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성차 연구: 발현시기와 연령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1권, 제1호, pp.93-114, 2012. 

  27. 김정택, 심혜숙, 신영규, 심민보, "성격유형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2단계 7년(초등학교 3년부터 중학교 3년까지)," 한국 심리유형 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24, 2003. 

  28. 최인재, NYPI 청소년 정책 리포트: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 및 대응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제30권, 2012. 

  29.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제 11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