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재난 손실 평가를 위한 한국형 인벤토리 구축 방안 연구 -지진재해 손실 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Inventory for the Multi-Hazard Risk Assessment -Based on Earthquake Damage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8 no.6, 2017년, pp.1127 - 1134  

채수성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복합재난대응연구단) ,  신수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복합재난대응연구단) ,  서동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복합재난대응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형 복합재난 피해 분석 예측 시스템 개발의 첫 단계로써 국내 외 재난 재해위험도 평가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형 재난재해 주요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우선, 지진 재해를 대상으로 손실 평가를 위한 한국형 인벤토리의 설계 및 국내 외 해당 데이터의 국가적 환경의 상이함을 반영하여 건물, 인구, 가중치 등 인벤토리를 구축하기 위한 관련 데이터의 수집과 정제를 진행하였다. 재난 데이터 자료연계, 추후 확장성을 고려한 자료 구축에 필요한 요구사항 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한국형 복합재난 피해 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한 인벤토리 구축 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ystem of multi-hazard risk assessment tools based on major inventories and functions. As a first step, designing and building a Korean inventory of the loss assessment was performed due to earthquake disasters. We focused on the special features, ta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산업분류코드(KSIC)가 있으나 국내 산업분류코드와 미국 산업분류코드로의 연계표가 존재하고 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분류의 유사성을 확인하며 국내 건축물 용도 코드에서 미국 산업분류코드로의 연계표를 제시하였다. HAZUS-MH는 건축물 구조를 아래 표와 같이 15개로 분류하고 있으며, 하위 36개의 세부항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인벤토리 구축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정제 과정과 HAZUS-MH 및 ERGO와 국내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재난·재해 손실 평가를 위해 필요한 한국형 인벤토리를 구축한다.
  • 본 논문은 재난·재해 중 지진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지진과 함께 발생하는 2차적인 복합재난(침수 및 화재)에 대한 손실평가를 위한 선행연구로 한국 환경에 적합한 데이터 인벤토리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발생 가능한 대형 복합재난으로 인한 손실 평가 분석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한국형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미국의 손실 평가 분석 툴인 HAZUS-MH 및 ERGO를 기반으로 국내외 데이터 포맷의 상이함, 지리적·국가적 환경의 차이 등을 국내 실정에 맞게 데이터 수집 및 정제하여 건물, 인구, 가중치 등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과 관련된 대표적인 피해 분석 툴은? 4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관심을 받고 있으며, 재난·재해 대응 분야 또한 ICT 및 높은 컴퓨팅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고도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기술의 발전을 통해 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피해 손실을 평가하고 재해 위험도를 예측, 분석하는 재난·재해 분석 기술개발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재난·재해 중 지진과 관련된 대표적인 피해 분석 툴로는 HAZUS-MH[1], SYNER-G[2], MCEER[3], ERGO[4]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지진으로 발생하는 건물 손상을 계산하고, 그 손상도를 기반으로 피해 손실 평가를 하거나 피난민의 수와 피난처를 산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대형 복합재난 피해 규모를 예측하고 대응 가능한 기술 개발 및 재난 복원력 강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지진을 포함하는 침수, 화재 등 피해 규모가 보다 대형화 되고, 점차 다양한 형태의 대규모 복합 재난·재해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지진 안전지대라 여겨지던 우리나라 또한 2016년 경주에서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5.8)의 지진이 발생함에 따라 더 이상은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대형 복합재난 피해 규모를 종합적으로 예측하고 대응 가능한 기술 개발 및 재난 복원력(Resilience)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은? 대한민국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은 업무시스템별로 분산·관리 되고 있는 재난정보를 바탕으로 분석·예측을 통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각 지자체별로 데이터 관리가 미흡하며 데이터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난·재해 관리 업무가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있다. 또한, 국내의 재난·재해 피해 통계 자료 및 실제 측정 데이터들을 활용한 ICT 기반의 융합연구와 다양한 정형·비정형 재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 관련 실용화 시스템[8-10]이 개발되고 있어, 각기 다른 방식의 포맷으로 구성된 데이터의 표준화를 통해 데이터의 호환성 및 상호운용성의 보장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AZUS-MH 2.1 Technical Manual,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Technical Manual 2.1, pp. 1-718. 

  2. SYNER-G[Internet], Available : http://www.vce.at/SYNER-G/ 

  3. MCEER, S.E. Chang, C. Pasion, K. Tatebe, R. Ahmad, Linking lifeline infrastructure performance and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models and multi-stakeholder processes, Technical Report MCEER-08-0004, 2008 

  4. ERGO[Internet], Available : http://ergo.ncsa.illinois.edu/?page_id44 

  5. A. Vecere, R. Monteiro, W.J. Ammann, S. Giovinazzi, R.H.M. Santos, "Predictive models for post disaster shelter needs assess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No. 21, pp. 44-62, 2017. 

  6. S. Y. Kang, K. H. Kim, B. C. Suk, H. S. Yoo, "A simulation of earthquake loss estimation for a gyeongju ev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8, No. 3, pp. 95-103, June 2008. 

  7. G. H. Jeong, H. S. Lee, O. S. Kwon, K. R. Hwang, "Earthquake Direct Economic Loss Estimation of Building Structures in Gangnam-Gu District in Seoul Using HAZUS Framework",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20, No. 6, pp. 391-400, November 2006. 

  8. V. Q. Nguyen, G. T. Nguyen, S. N. Nguyen, K. B. Kim, "Leveraging Social Media for Enriching Disaster related Location Trustines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8, No. 3, pp. 567-575, June 2017. 

  9. H. J. Kang,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Social Secur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8, No. 1, pp. 225-229, February 2017. 

  10. Development of User-Friendly Technologies to Improve Practicabilities of the Smart Big Board,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4. 

  11. K. S. Na, "The status of NDMS", Journal of Science & Culture, Vol. 6, No. 1, pp. 31-40, February 2009. 

  12. NDMS[Internet], Available : http://blog.naver.com/passerby4/220876866768 

  13. J. Steelman, J. Song, J.F. Hajjar, Integrated data flow and risk aggregation for consequence-based risk management of seismic regional losses, Mid-America Earthquake Center, University of Illinois, pp. 135-136, 2007. 

  14. Development of Seismic Fragility Function of Domestic Architectural Structure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9. 

  15. Census 2010[Internet], Available : https://www.census.gov/2010census/ 

  16. Y. W. Jo, H. W. Choi, S. Y, Choi, M. H. Jo, Conceptual Design of Damage Assessment Inventory in Response to Disaster Risk for Infrastructures Close to Riv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7, No. 1, pp. 144-158,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