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식적 호흡이 자율신경과 뇌파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관하여
The Relationship and Mechanism Underlying the Effect of Conscious Breathing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rain Waves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4 no.2, 2017년, pp.64 - 69  

강승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Breathing can be controlled either unconsciously or consciously. In Asian countries, various conscious breathing-control techniques have been practiced for many years to promote health and wellbeing. However, the exact mechanism underlying these technique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종설에서는 간호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호흡 다스림의 생리적 작용기전을 정리함으로서 향후 많은 간호연구자들의 연구설계와 임상적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종설에서는 자율신경에 의해 조절되는 호흡에 우리가 의식을 기울임으로서, 혹은 의도적인 훈련을 함으로서 역으로 자율신경의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그러한 호흡의 다스림이 심장박동의 리듬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해 보았다.
  • 호흡은 의식하지 않은 상태에서 생리적 요구 혹은 감정 상태에 맞춰 자동적으로 이뤄지나 필요에 따라서는 의식적으로도 조절이 가능하다. 본론에서는 호흡이 조절되는 중추신경계 듀얼 메커니즘에 대해 간단히 고찰한 후 의식적인 호흡 조절이 자율신경계의 조절 및 심장박동의 리듬패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고찰을 할 것이다. 그 후 변화된 심장 박동의 리듬패턴이 뇌파와 어떤 상호 연결패턴을 보이는 지를 고찰함으로서 “의도된 호흡 ․ 심장박동리듬 ․ 뇌파변화 ․ 의식변화”로 이어지는 관련성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 이와 같이 정서와 호흡패턴은 서로에게 상호 영향을 주지만, 호흡 조절이 어떻게 정서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지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대한 작용기전을 탐색하기 위해 호흡과 심장박동의 리듬과의 관련성, 그리고 심장박동 리듬과 뇌파와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 중추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호흡기계는 심장과는 다르게 내재적인 페이스메이커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뇌줄기에 위치한 호흡조절중추로부터 신경계를 통한 명령을 받아야만 호흡 근육에 의한 호흡이 이뤄질 수 있다. 호흡 중추는 다리뇌(pons)와 숨뇌(medulla)에 위치한 뉴론의 집단들인 신경절들로 구성되어 있다. 숨뇌에 위치한 호흡중추(medullary Respiratory Center, MRC)는 일차 호흡 조절 센터로 불리며 배쪽 호흡군(Ventral Respiratory Group,VRG)과 등쪽 호흡군(Dorsal Respiratory Group, DRG)으로나뉘며 몸의 생리적 리듬에 맞는 자율적인 호흡조절을 담당하고 있다.
명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명상(meditation)은 동양에서 오랫동안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자가훈련법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80년대 이후에는 서양에서도 명상의 효용성에 대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이를 수행하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되어 왔다.1-4) 명상은 일반인들의 관심 뿐만 아니라 과학계의 학술적 관심도 많이 받기 시작하면서 그것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많이 시행되어왔다.
의도적 호흡 조절은 현대의학 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의도적 호흡 조절(conscoius breathing control)은 여러 형태가 존재할 수 있으며 그 자체로서 오랜 역사동안 심신수련 및 이완을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집중명상으로 분류될 수 있는 여러 명상수련법에서 명상의 효과적인 유도와 유지를 위해 많이 활용되어 왔다.8) 현대의학에서는 호흡리듬을 컴퓨터로 실시간모니터링하는 과정을 통해 본인이 스스로 의도된 조절을 하게 하는 바이오피드백으로 발전시켜 활용하기도 한다.9,10) 반면 비 집중명상에서도 호흡을 중요한 기재로 다루기도 하는데,이 경우에는 의도적인 조절보다는 자신의 호흡 흐름을 그저 관찰하며 지각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