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 기반 견적 산출을 위한 공종별 BIM 데이터 구축 및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 공동주택 경제성 평가 사례 연구 -
BIM-based cost estimation by integration with BIM mdel data and cost information - Case Study on Economy Evaluation of Apartment i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7 no.3, 2017년, pp.11 - 20  

이해찬 ((주)두올테크) ,  김진만 ((주)두올테크) ,  최철호 ((주)두올테크) ,  송상훈 (LH 토지주택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M technology, which is widely u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introduced in various fields for the purpose of saving construction cost and reducing construction schedule. However, in the case of BIM-based cost estimate, there are various trials and errors in applying BIM technology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산출 방식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해야 하며, 견적 전문가 및 신규 엔지니어 모두가 최소한의 노력으로 습득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BIM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국내 건설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BIM 기반 견적 산출 방안을 공종별로 구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본 개념을 도입하여 BIM 기반 견적 산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종별로 차이를 보이는 BIM 데이터 연계율 및 BIM 데이터 비용 점유율의 비교를 통해 공종별 BIM 기술 적용 방안을 복합적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 기반 견적 산출이란 무엇인가? BIM 기반 견적 산출은 기존 2D 기반 건설 프로세스에서 기대하기 힘들었던 경제성 평가를 위한 정확도 향상 및 신속한 수정 사항 반영 등의 목적을 가진다. 3D BIM 객체로부터 산출된 길이, 면적, 체적 등의 물량 정보를 내역 데이터와 연계해 BIM 기반 내역 리스트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초기 BIM 모델 및 내역 데이터의 구축 계획은 매우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BIM 모델 데이터와 내역 데이터의 연계는 직/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무형의 일위대가 또는 사전에 약속된 BIM 모델 미구축 항목 등 연계될 수 없는 내역의 경우 기존 2D 기반의 통상적인 수량 산출 근거를 토대로 산출 결과에 반영된다.
BIM 기반 견적 산출을 통해 산출된 견적 리스트는 어떤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가? BIM 모델 데이터와 내역 데이터의 연계는 직/간접적으로 이루어지며, 무형의 일위대가 또는 사전에 약속된 BIM 모델 미구축 항목 등 연계될 수 없는 내역의 경우 기존 2D 기반의 통상적인 수량 산출 근거를 토대로 산출 결과에 반영된다. 이 과정을 통해 산출된 BIM 기반 견적 리스트는 일위대가 단위의 코드, 품명, 규격, 단위, 수량, 단가, 비용 등을 포함한다.
형상 기반의 BIM 데이터 구축의 주 목적은 무엇인가? 골조와 건축 그리고 MEP에 대한 기존 2D 설계 품질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는 3D 전환 설계뿐만 아니라, 객체 기반의 BIM 정보를 활용한 정확한 비용 산출과 일정 관리에 대한 필요성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는 2D 설계 도면 기반의 3차원 시각화 표현을 통한 도면의 오류 검토나 시뮬레이션 등이 주목적이었던 형상 기반의 BIM 데이터 구축과는 달리, BIM 객체가 가지고 있는 형상 및 정보를 활용해 물량을 산출하거나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구체화된 BIM 데이터 구축 및 계획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e, S. J., Suh, B. G., Yun, S. H.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project for the preliminary estimate based on a database of the BIM technique,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3(2), pp. 92-93. 

  2. Cho, Y. S., Suh, B. G., Yun, S. H. (2015). Development of BIM Based Estimation Prototype System Using Building Elements Combination Databas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31(3), pp. 45-52. 

  3. Choi, C. H., Park, Y. J., Han, S. H., Chin, S. Y. (2006). Recipe-based estimation system for 5D(3D + Cost + Schedule) CAD system,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6-11, pp. 154-160. 

  4. Franco K.T. Cheung, Jonathan Rihan, Joseph Tah, David Duce, Esra Kurul(2012). Early stage multi-level cost estimation for schematic BIM model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7, pp. 67-77. 

  5. Jun, K. H., Yun, S. H. (2012). Preliminary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BIM-based preliminary estimate,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12(2), pp. 292-293. 

  6. Jun, Y. J., Park, D. Y., Kim, J. H., Kim, J. J. (2010). A study on Estimating Process of Conceptual Cost based on BIM at the Early Stage of Construction Project, CESEIK Annual Conference, 23(1), pp. 218-221. 

  7. Kim, H. J., Choi, J. S., Kim, H. S., Kim, I. H. (2013). The Development of Data Model for Open BIM-Based Schematic Estima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3), pp. 61-70. 

  8. Kim, S. A., Park, G., Song, B. S., Choi, C. H., Chin, S. Y. (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Automated Modeling System to Improve Productivity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7(1), pp. 56-65. 

  9. Kim, Y. J., Kim, S. A., Chin, S. Y. (2012). A Study of BIM based estimation Modeling data reliability improvement,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3), pp. 43-55. 

  10. Park, Y. J., Won, S. K., Han, C. H., Lee, J. B. (2011). A Study on 3D BIM Collaborative Approximate Estimating Model of Structural Work for Apartment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7(6), pp. 123. 

  11. Song, S. H., Lee, D. G., Park, J. Y. (2016). Requirement of Detailed Design BIM Model Considering Cost Estimation for Apartment Construction in Public Sector, Proceedings of Conference for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6(2), pp. 1612-1613. 

  12. Yang, H. C., Lim, J. K., Lee, J. W. (2016). Implementation of BIM-based Approximate Estimate System Considering Life-Cycle Cost, Journal of KIBIM, 6(1), pp. 133-134. 

  13. Yoon, M. C. (2013). A BIM-Based Architectural Model Takes Advantage of the Estimate Model Proces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9), pp. 95-102. 

  14. Yoon, M. C. (2013). Architectural Design Considering the Composed Unit Cost of BIM Rough Estimation Research,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10), pp. 131-1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