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노인의 영양결핍 관련 사회경제 및 사회지지 요인
Socioeconomic and Social Support Factors of Malnutrition among Korean Elderly in the Community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1 no.3, 2017년, pp.79 - 90  

김수진 (한려대학교 간호학과) ,  전경숙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malnutrition and to explore its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and social support factors among Korean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 The study sample was a weighted population of 10,160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대표할 수 있는 2014년 노인생활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영양결핍 수준을 확인하고 이에 관련된 주요 사회경제적 및 사회지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노인의 영양문제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사회경제적으로 영양결핍 취약그룹을 알아내고 노인 영양관리 및 향상 프로그램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회경제적 요인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이 나이가 들며 겪는 변화는? 노인은 나이 들어감에 따라 인지 및 신체기능의 저하, 구강건강 상태의 변화, 정서변화 및 우울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노인에게 필요한 영양을 적정하게 섭취하는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1][2].
노인의 영양결핍에 대해 기존 연구가 주장하는 원인은? 노인의 영양결핍에는 다양한 요인이 관련 될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식욕부진, 복합 만성질환 유병, 약물복용 여부, 장애와 일상생활 수행능력, 통증, 저작 불편 등의 건강관련 요인[2][7]과 연령, 성별, 거주지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다[4][7][8]. 이에 비해 노인의 교육수준, 소득, 경제활동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되어왔다.
노인실태조사의 내용은 어떠한 영역들로 구성되어 있는가? 노인실태조사의 내용은 가구 일반사항, 건강행태, 기능 상태와 간병 수발, 여가활동과 사회활동, 경제활동, 경제상태, 자녀배우자와의 관계 및 가구형태, 부모, 형제·자매, 친·인척, 친구·이웃·지인과의 관계, 자녀·부모와의 부양의 교환, 생활환경, 노후생활과 삶의 질, 인지기능, 가구 경제상태 등을 13개 영역의 111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는 주로 노인의 영양섭취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건강행태, 가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자원을 파악할 수 있는 변수들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 Iizaka, E. Tadaka, H. Sanada(2008), Comprehensiv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healthy, community-dwelling elderly, Geriatrics and Gerontology International, Vol.8(1);24-31. 

  2. M.I. Correia, D.L. Waitzberg(2003), The impact of malnutrition on morbidity, mortality, length of hospital stay and costs evaluated through a multivariate model analysis, Clinical Nutrition, Vol.22(3);235-239. 

  3. S.C. Howell, M.B. Loeb(1969), Income, age, and food consumption, Gerontologist, Vol.9(3);1-122. 

  4. J. Schilp, H.M. Kruizenga, H.A. Wijnhoven, E. Leistra, A.M. Evers, J.J. van Binsbergen, D.J.H Deeg, M. Visser(2012), High prevalence of undernutrition in Dutch community-dwelling older individuals, Nutrition, Vol.28(11-12); 1151-1156. 

  5.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2013),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12 Revision, United Nations New York, pp.1-118. 

  6. B.K. Yang(2015), Health Statistics Trend II,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pp.1-237. 

  7. Z.B. Wojszel(2012), Use of NSI Determine Checklist to assess the risk of malnutrition in persons of advanced old age living in rural areas, Progress in Health Sciences, Vol.2(1);68-75. 

  8. Z.N. Kabir, T. Ferdous, T. Cederholm, M.A. Khanam, K. Streatfied, A. Wahlin(2006), Mini Nutritional Assessment of rural elderly people in Bangladesh: the impact of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health factors, Public Health Nutrition, Vol.9(8);968-974. 

  9. G.S. Jeon, S.N. Jang, S.J. Rhee(2009),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Gender Differences of Disability and Subjective Health Among Elderly Korean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2(3);199-207. 

  10. G.S. Jeon, S.N. Jang, S.S. Park(2012),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 and Frailty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16(2);84-94. 

  11. Y.H. Yi, Y.J. Kim, D.Y. Cho(2014), Family Type and Health Behaviors in Elderl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10-2012,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4);199-207. 

  12. E. Ramic, N. Pranjic, O. Batic-Mujanovic, E. Karic, E. Alibasic, A. Alic(2011), The effect of loneliness on malnutrition in elderly population, Medical Archives, Vol.65(2);92-95. 

  13. I. Feldblum, L. German, H. Castel, I. Harman-Boehm, N. Bilenko, M. Eisinger, D. Fraser, D.R. Shahar(2007), Characteristics of undernourished older medical patients and the identification of predictors for undernutrition status, Nutrition Journal, Vol.6(1);37-45. 

  14. E.J. So, H.j. Joung(2015), Socio-economic statu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nadequate energy intake among Korean elderly,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8(4);371-379. 

  15. H.H. Yu, I.S. Kim(2002), Health status,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of the elderly in Jeon-ju, Nutritional Sciences, Vol.5(2);91-102. 

  16. M. Elia, L. Zellipour, R.J. Stratton(2005), To screen or not to screen for adult malnutrition?, Clinical Nutrition, Vol.24(6);867-884. 

  17. E. Grundy, G. Holt(2001), The socioeconomic status of older adults: How should we measure it in studies of health inequalities?, Journal of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55(12);895-904. 

  18. S.Y. Won(2016), Poverty Indicators of the Elderly and Implications,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pp.1-4. 

  19. J.S. House, J.M. Lepkowski, A.M. Kinney, R.P. Mero, R.C. Kessler, A.R. Herzog(1994),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35;213-234. 

  20. S.H. Kim(2011), A Survey on the Use of and Significant Variables for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Korean Elderly, Korean Journal Food Culture, Vol.26(1);30-38. 

  21. J.L. Locher, C.S. Ritchie, D.L. Roth, P.S. Baker, E.V. Bodner, and R.M. Allman(2005), Social isolation, support, and capital and nutritional risk in an older sample: ethnic and gender differenc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0;747-761. 

  22. J.K. Park, S.M. Son(2003), The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Rates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8(5);716-725. 

  23. H.J. Yoon, H.K. Lee, S.K. Lee(2007), The Health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12(1);50-57. 

  24. J.M. Jjn, S.Y. Kim, K.J. Moon(2014), A Study on The Poverty and The Effect of Income Transfer of Elderly-Headed Households in Korea: Focused on Poverty Rate, Poverty Gap and Income Transfer, Social Welfare Policy, Vol.41(3);239-258. 

  25. C. Boulos, P. Salameh, P. Barberger-Gateau (2017), Social isolation and risk for malnutrition among older people,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Vol.17;286-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