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 데이터 발생과 분석기술을 활용한 의료정보관리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tilizing medical data generation and analysis techniqu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10, 2017년, pp.377 - 386  

최준영 (청암대학교 병원의료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사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용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용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은 8개월 동안 vb.Net으로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학습자가 데이터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ACCESS의 Database를 이용하였다. 학습자는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퇴원분석 및 암등록 프로그램 그리고 미비기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한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에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육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SQL을 통하여 직접 추출하고, 다양한 의료정보를 생성해봄으로써 학습자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교육용 프로그램이면서 학습자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는 학습자 평가를 위한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의 평가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developed a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management ability of medical information. The educational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was developed for 8mnths uing VB. The database utilized the ACCESS Database, which allows learners to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의료 데이터를 발생시키고 분석하여 의료정보를 생성해봄으로써 의무기록사의 의료정보관리 수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의료정보관리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용 프로그램은 의무기록의 퇴원분석을 통하여 퇴원요약한 내역을 프로그램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종양환자의 암진단 내역을 분석하여 암등록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고, 의무기록의 정량 및 정질분석을 통하여 미비기록의 내용을 입력하기 위하여 의무기록의 내용을 분석하여 입력한다[16].
  •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사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료정보관리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학습자가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퇴원분석 및 암등록 프로그램 그리고 미비기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또한 기성 프로그램은 실무자를 위해 개발 된 것이므로 의료 데이터의 발생 구조 및 흐름을 이해하고 의료정보관리를 위한 실습 활용이 어렵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사의 의료정보관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의료정보관리 교육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이 의무기록의 데이터를 직접 발생시키고 발생된 데이터를 분석해봄으로써 의료 데이터의 발생 구조 및 과정을 이해하고 의료정보관리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이에 따라 학습자는 데이터의 생성과 흐름의 원리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교육용 프로그램이면서 학습자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체계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음 연구에서는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체계를 만들고 데이터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결과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정보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이유는? 국내 의료기관은 의료전산화를 시행하면서 다양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1], 병원 경영, 의료서비스, 시스템 운영 업무가 정보기술기반으로 전환되어 의료정보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2]. 1990년대 이전의 정보시스템은 업무를 통하여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정보시스템의 변화 추세는? 1990년대 이전의 정보시스템은 업무를 통하여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데이터마이닝 등의 기술이 등장하면서 단순한 정보의 수집에서 분석이 중심이 되는 시스템 구축으로 변화하게 되었다[3]. 또한 전자의무기록이 구축되면서 본격적인 의료정보시스템의 환경이 마련되었고 이로 인하여 다양하고 광범위한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 있으며 보건의료 분야에서 발생하는 의료정보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각종 질병과 전염병들의 예방, 의료서비스의 향상, 의료비의 절감을 위하여 활용하고자 다각적 모색을 위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4].
무엇의 시행으로 다양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을 활용하게 되었는가? 국내 의료기관은 의료전산화를 시행하면서 다양한 의료정보 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1], 병원 경영, 의료서비스, 시스템 운영 업무가 정보기술기반으로 전환되어 의료정보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2]. 1990년대 이전의 정보시스템은 업무를 통하여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해 정보시스템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M. Park, Y. H. Oh,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SOA for PHR Services",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48, No. 2, pp. 29-35, 2011. 

  2. B. S. Kim, "U-Healthcare &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Status and Operative Challenges for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ol. 9, No. 5, pp. 65-75, 2011. 

  3. Korea Data Agency, "The Guide for Advanced Data Analytics Professional", Korea Data Agency, pp.20-25, 2017. 

  4. J. H. Lee, M. K. Jae, M. J. Jo, and H. S. Son, "Big Data Utilization trends in the Healthcare",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2, No. 1, pp.63-75, 2014. 

  5. J. Y. Choi, "Utilization value of medical Big Data created in operation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0, No. 12, pp.1403-1410, 2015. 

  6. J. Y. Choi, M. S. K,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Hyunmoonsa, pp. 68-76, 2011. 

  7. J. Y. Choi,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s of Software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Information", The Korea Society of Health and Welfare, Vol. 18, pp.113-126, Dec 2016. 

  8. Ministry of Education, "Software Training Operation Guidelines", Education Curriculum policy department, 2015. 

  9. H. J. Jeong,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NCS and NCS Learning Module", National Assembly Liabrary, Vol. 52, No. 4, pp.4-13, 2015. 

  10. J. M. Lee, J. Y. Choi, "A study of business demands on job competency and curriculum for college graduates majoring the medical information,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1, No. 1, pp.99-106, 2016. 

  11. H. J. Choo, J. H. Park, "Web based PBL Teaching Learning Development Model for Medical Education",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10, pp.246-254, 2010. 

  12. J. Y. Choi, "Roles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 Field-Centered Medical Record Technician Job Training, The Korea Society of Health and Welfare", Vol. 18, pp.100-115, 2016. 

  13. Korea Data Agency, "The Guide for SQL Professional", Korea Data Agency, pp.20-25, 2016. 

  14. MOEL, "Learning Modul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pp.90-110, 2013. 

  15. M. J. Kim, J. Y. Choi, S. H. Kim, "Introduction to Heath Informatics", Soomoonsa, pp. 245-278, 2015. 

  16. J. H. Hong, Y. K. B, "Medical Record &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Kommoonsa, Vol. 9, pp. 10-177, 2015. 

  17. J. Y. Choi, "The role and preparation of medical information manager for Health Big Data Utilization",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Life Science Reprints, Vol. 51, No. 1, pp.73-81,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