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취약계층 임산부·어머니·영유아 대상 방문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Home Care Service for Pregnant Women, Mothers, Infants, and Toddlers in Vulnerable Group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5, 2017년, pp.577 - 588  

김다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egrate the evidence of home care service intervention for mothers and children in vulnerable groups throug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earched the MEDLINE (PubMED), EMBASE,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CINAHL, DBpia datab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임산부·어머니·영유아 대상 방문건강관리서비스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사용하여 임산부·어머니·영유아의 방문건강관리서비스의 필수적 속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연구로서 취약계층 임산부·어머니·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방문건강관리서비스 관련 연구에서 사용된 중재와 그 효과를 고찰하고 중재의 속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임산부·어머니·영유아 대상의 방문건강관리서비스의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 그러나 방문건강관리서비스의 특성상 다양한 대상자와 환경에서의 중재가 이루어지므로 특정 결과변수를 중점으로 결과를 통합하는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 보다 여러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 어머니, 영유아를 위한 방문건강관리 중재의 속성을 통합적문헌고찰을 통하여 파악하고 국내 연구와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바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시행되었다.
  • 향후 임산부·어머니·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방문건강관리 중재 연구의 접근 가능한 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건강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Evans 등[2]은 건강 불평등(Health inequity)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불평등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정책을 펴는 동시에 건강 위험요인 폭로 단계, 사회적 불건강 결과 단계에서 개입하여 격차를 줄이도록 하여야 한다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방문건강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이러한 건강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며[3] 미국에서는 취약계층 모성과 영유아를 위한 방문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신생아와 6개월~24개월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를 대상으로 올바른 양육습관과 성숙한 상호작용 증진, 학대와 방임을 예방하는 ABC (Attachment and Biobehavioral Catch-up) 프로그램, 3세 이하 영유아가 있는 저소득층 가정을 대상으로 아동의 정상 발달상태와 산모의 건강한 산전/산후 결과 증진을 위한 Early Head Start-Home Visiting (EHS-HV)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4].
취약계층 아동이 건강문제에 대한대처능력이 떨어지는 이유는? 또한 기본 건강습관에 해당하는 손 씻기 실천율, 결식률, 운동저하 등에 대한 건강관리가 부족하며 어머니의 경우 기초적 건강관리와 아동의 성장발달, 사고 예방을 위한 가정환경 조성이 미흡하며 이에 대한 중재가 필수적이라고 언급하였다[5]. 이는 저소득층 가정, 한부모 가정 등의 취약계층 아동은 부모의양육 지식과 기술, 경제적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건강문제에 대한대처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6]. 영유아와 어머니는 아동의 나이가 어릴수록 가정 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대부분이며, 취약계층의 경우 건강에 대한 정보가 적고 활용가능한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개별적 방문관리를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
미국에서 운영되는 취약계층 모성과 영유아를 위한 방문건강관리 프로그램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방문건강관리의 궁극적 목적은 이러한 건강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며[3] 미국에서는 취약계층 모성과 영유아를 위한 방문건강관리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신생아와 6개월~24개월 영유아를 돌보는 양육자를 대상으로 올바른 양육습관과 성숙한 상호작용 증진, 학대와 방임을 예방하는 ABC (Attachment and Biobehavioral Catch-up) 프로그램, 3세 이하 영유아가 있는 저소득층 가정을 대상으로 아동의 정상 발달상태와 산모의 건강한 산전/산후 결과 증진을 위한 Early Head Start-Home Visiting (EHS-HV)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4].그 외 복지선진국가로 알려진 스웨덴, 영국, 네덜란드 등 세계 각국에서 취약계층 영유아, 모성의 건강관리의 조기개입을 위한 수단으로 방문건강관리를 선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Macintyre S. The black report and beyond: What are the issues? Social Science & Medicine. 1997:44(6):723-745. https://doi.org/10.1016/S0277-9536(96)00183-9 

  2. Evans T, Whitehead M, Diderichsen F, Bhuiya A, Wirth M. Challenging inequities in health: From ethics to action [Interne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c2001 [cited 2017 Jan 30]. Available from: https://books.google.co.kr/books/about/Challenging_Inequities_in_Health.html?idVpUiV5k0EAUC&sourcekp_cover&redir_escy. 

  3. Dobson SM. Conceptualizing for transcultural health visiting: The concept of transcultural reciprocit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89;14(2):97-102. https://doi.org/10.1111/j.1365-2648.1989.tb00906.x 

  4. Health Resource & Services Administration, Maternal & Child Health (US). Home visiting [Internet]. U.S.: Health Resource & Services Administration (HRSA); c2016 [cited 2016 Dec 27]. Available from: https://mchb.hrsa.gov/maternal-childhealth-initiatives/home-visiting-overview. 

  5. Kang YS, Kwon IS. Health status of vulnerable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health management.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3;19(3):159-167. 

  6. Kim E, Lee J. Study on current policies and desirable policy directions of child raising support benefits for disadvantages families: Focusing on poor, single parent, and disabled families. Social Welfare Policy. 2006;25:253-278. 

  7.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8. Flaskerud JH, Winslow BJ. Conceptualizing vulnerable populations health-related research. Nursing Research. 1998; 47(2):69-78. 

  9. Higgins JPT,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The Cochrane Collaboration; c2011 [cited 2016 Dec 27]. Available from: http://training.cochrane.org/handbook. 

  10.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p. 86-91. 

  11. Kirkevold M. Integrative nursing research: An important strategy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nursing science an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7;25(5):977-984.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7.1997025977.x 

  12. Seo HJ, Kim SY, Lee YJ, Jang BH, Park JE, Sheen SS, et al. A newly developed tool for classifying study designs in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and exposures showed substantial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16;70:200-205. https://doi.org/10.1016/j.jclinepi.2015.09.013 

  13.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2006;3(2):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14. Lumley J, Donohue L. Aiming to increase birth weight: A randomised trial of pre-pregnancy information, advice and counselling in inner-urban Melbourne. BMC Public Health. 2006;6:299. https://doi.org/10.1186/1471-2458-6-299 

  15. Hannan J. APN telephone follow up to low-income first time mothe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3;22(1-2):262-270.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4065.x 

  16. Klinnert MD, Liu AH, Pearson MR, Tong S, Strand M, Luckow A, et al. Outcome of a randomized multifaceted intervention with low-income families of wheezing infants.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2007;161(8):783-790. https://doi.org/10.1001/archpedi.161.8.783 

  17. MacMillan HL, Thomas BH, Jamieson E, Walsh CA, Boyle MH, Shannon HS, et al. Effectiveness of home visitation by public-health nurses in prevention of the recurrence of child physical abuse and neglect: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5;365(9473):1786-1793. https://doi.org/10.1016/S0140-6736(05)66388-X 

  18. Koniak-Griffin D, Mathenge C, Anderson NLR, Verzemnieks I.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mothers: A nursing demonstration projec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1999;28(1):51-59. https://doi.org/10.1111/j.1552-6909.1999.tb01964.x 

  19. Koniak-Griffin D, Verzemnieks IL, Anderson NL, Brecht ML, Lesser J, Kim S, et al. Nurse visitation for adolescent mothers: two-year infant health and maternal outcomes. Nursing Research. 2003;52(2):127-136. 

  20. DuMont K, Mitchell-Herzfeld S, Greene R, Lee E, Lowenfels A, Rodriguez M, et al. Healthy Families New York (HFNY) randomized trial: Effects on early child abuse and neglect. Child Abuse & Neglect. 2008;32(3):295-315. https://doi.org/10.1016/j.chiabu.2007.07.007 

  21. Armstrong KL, Fraser JA, Dadds MR, Morris J. Promoting secure attachment, maternal mood and child health in a vulnerable popul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2000;36(6):555-562. https://doi.org/10.1046/j.1440-1754.2000.00591.x 

  22. Doyle O, McGlanaghy E, Palamaro-Munsell E, McAuliffe FM. Home based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perinatal outcomes for a disadvantaged community: A randomised control trial.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2014;180:162-167. https://doi.org/10.1016/j.ejogrb.2014.06.006 

  23. Fields ME, Abel R, Vesely SK, Drazen CH, King A. A pilot study of parent education intervention improve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mong toddlers with sickle cell disease. Blood. 2015;126(23):527. 

  24. Tiono AB, Kabore Y, Traore A, Convelbo N, Pagnoni F, Sirima SB. Implementation of Home based management of malaria in children reduces the work load for peripheral health facilities in a rural district of Burkina Faso. Malaria Journal. 2008;7:201. https://doi.org/10.1186/1475-2875-7-201 

  25. Wen LM, Baur LA, Simpson JM, Rissel C, Wardle K, Flood VM. Effectiveness of home based early intervention on children's BMI at age 2: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12;344:e3732. https://doi.org/10.1136/bmj.e3732 

  26. Wen LM, Baur LA, Simpson JM, Xu H, Hayes AJ, Hardy LL, et al. Sustainability of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trial over time: A further 3-year follow-up of the healthy beginnings trial. JAMA Pediatrics. 2015;169(6):543-551. https://doi.org/10.1001/jamapediatrics.2015.0258 

  27. Barnet B, Liu J, DeVoe M, Duggan AK, Gold MA, Pecukonis E. Motivational intervention to reduce rapid subsequent births to adolescent mothers: A community-based randomized trial. Annals of Family Medicine. 2009;7(5):436-445. https://doi.org/10.1370/afm.1014 

  28. Hambidge SJ, Phibbs SL, Chandramouli V, Fairclough D, Steiner JF. A stepped intervention increases well-child care and immunization rates in a disadvantaged population. Pediatrics. 2009;124(2):455-464. https://doi.org/10.1542/peds.2008-0446 

  29. Bang KS. Effects of an earl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infants' development and mother's child rearing in pover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6):796-804. https://doi.org/10.4040/jkan.2009.39.6.796 

  30. Dunst CJ, Johanson C, Trivette CM, Hamby D. Family-oriented early intervention policies and practices: Family-centered or not? Exceptional Children. 1991;58(2):115-126. https://doi.org/10.1177/001440299105800203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A study of interactions: Emerging issues in the science of adolescence: Workshop summa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p. 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