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창 두타산 산림식생의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Unit and Environment Factor in Forest Vegetation of Mt. Dutasan, Pyeongchang-gun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6 no.3, 2017년, pp.275 - 287  

이정은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동갑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윤충원 (공주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두타산 일대 산림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유형분류와 입지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총 46개소의 식생자료를 획득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식생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과 거제수나무군락의 2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철쭉군락은 동자꽃군과 철쭉전형군 2개의 군으로 세분되었고 동자꽃군은 박새소군과 동자꽃전형소군 2개의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거제수나무군락은 들메나무군과 박달나무군 2개 군으로 세분되었다. 들메나무군은 병꽃나무소군과 승마소군 2개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두타산 일대 산림식생은 총 6개의 식생단위, 14개의 종군단위, 2쌍의 대별종군으로 분류되었다. 수관층위구조의 분석결과, 식생단위별로 임관의 계층이 서로 겹치지 않는 단조로운 구조인 박새소군(식생단위 1), 동자꽃전형소군(식생단위 2), 병꽃나무소군(식생단위 4)과 겹치는 복잡한 구조인 철쭉전형군(식생단위 3) 승마소군(식생단위 5), 박달나무군(식생단위 6)이 나타났다. 승마소군(식생단위 5)의 수직적 계층구조가 가장 발달하였으며, 박달나무군(식생단위 6)은 초본층 식피율이 가장 낮았다. 일치법에 의한 식생단위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 1,100 m, 사면 중부, 경사 $20^{\circ}$, 암석노출도 20%, 교목층 DBH 30 cm를 기준으로 철쭉군락(식생단위 1~3)과 거제수나무군락(식생단위 4~6)이 분류되었다. CCA 분석 결과 철쭉군락(식생단위 1~3)은 해발, 지형과 정의 상관관계, 거제수나무군락(식생단위 4~6)은 부의 상관관계 분포경향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est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Dutasan. Data were collected by total of forty six plots using Z-M phytosociological method from June to October, 2016, and analyzed by vegetation classif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가 수행되었을 뿐, 이 일대에 대한 산림생태학 또는 산림식생학적 접근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타산 일대의 식물사회학적 산림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단위와 계층구조 및 입지환경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계란 무엇인가? 생태계는 생물적 요소와 비생물적 요소가 하나의 단위가 되어 상호작용의 기능을 하는 계(system)를 가리킨다(Barnes et al., 1998; Son et al.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적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 2016). 그 생태계를 구성하는 생물적 요소로는 동물, 식물, 미생물의 생물군집이 있으며, 비생물적 요소로는 기후, 토양, 지형 등의 물리적 환경이 있다. 즉, 생태계는 물리적 환경요인에 둘러싸여 있으며 모든 생물종들의 집합인 군집을 포함하고 있으며(Barnes et al.
두타산 일대에 관련된 선행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두타산 일부 지역은 1996년 5월 2일 희귀식물의 자생지로서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14 ha)으로 지정되어(Korea Forest Service, 2015), 산림의 보호 · 관리 및 학술연구 등이 필요한 산림이다. 조사지 일대의 선행연구는 관속식물에 관한 연구(Chung et al., 2010)가 수행되었을 뿐, 이 일대에 대한 산림생태학 또는 산림식생학적 접근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타산 일대의 식물사회학적 산림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단위와 계층구조 및 입지환경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 J.M., Lee, S.H., Woo, J.C., Lee, Y.J., Yun, H.Y., Lee, W.K., Lee, D.S. and Yim, Y.J. 2007. Forest Management. Hyangmunsa. Korea, pp. 442. 

  2. Barnes, B.V., Zar, D.R., Denton, S.R. and Spurr, S.H. 1998. Forest Ecology. 4th ed. John Wiley & Sons Press. New Jersey, U.S.A., pp. 762. 

  3. Braun-Blau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3rd Ed.). Springer-Verlag. New York, pp. 865. (in German). 

  4. Byeon, J.G., Jang, J.W., Yang, J.C., Lee, Y.M., Jung, S.Y., Ji, S.J., Jang, J., Lee, H.J., Hwang, H.S. and Oh, S.H. 2013.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Gariwa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5): 566-588. 

  5. Byeon, J.G., Oh, S.H., Lee, K.S., Yun, J.E., Jang, J.W., Jeong, J.B., Yang, J.C. and Kim, H.J. 2014.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Galjeongok-bong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Baekdudaega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5): 477-484. 

  6. Byeon, J.G., Shin, J.K., Oh, S.H. and Kim, D.K. 2016. The Plant Distribution of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in the Korea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Gyeongsangbuk-do,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9(2): 204-224. 

  7. Chape, S., Harrison, J., Spalding, M. and Lysenko, I. 2005. Measuring the Extent and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as an Indicator for Meeting Global Biodiversity Target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0(1454): 443-455. 

  8. Chung, G.Y., Park, M.S., Nam, B.M., Hong, K.N., Jang, J. and Nam, G.H.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Bakjisan(Pyeongchang-gun, Gangwon). Korean Journal of Plant Research 23(1): 79-98. 

  9.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2010.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Preamble. http://www.cbd.int/(2016. 12. 28) 

  10. Egerton, F.E. 1976. Ecological Studies and Observations Before 1900. Oklahoma University Press. Norman, U.S.A. pp. 311-351. 

  11. Ellenberg, H. 1956.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 Ulmer. Stuttgart. pp. 136. (in German) 

  12. Hill, M.O. 1979.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New York, pp. 50. 

  13. Hwang, K.M., Chung, S.H. and Kim, J.H. 2016. Forest Type Classification and Successional Trends in the Natural Forest of Mt. Deogyu.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5(2): 157-166. 

  14. Hwang, K.M., Lee, J.M. and Kim, J.h. 2012.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Successional Trends in the Natural Forest of Baekdudaegan in Gangwon Province -Focused on Hyangrobong, Odaesan, Seokbyeongsan, Dutasan, Deokhangsan and Hambaeksan-.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4): 41-55. 

  15. Jeong, B.K. and Oh, C.H. 2013. Analysis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Quercus mongolica Fisch. ex Ledeb. in the Baekdudaegan Mountains by Elev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4): 449-461. 

  16. Jeong, S.M., Jin, S.H., Kim, M.H., Back, K.S., Kim, C.Y., Ahn, Y.S. and An, K.W. 2013.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Protected Areas for Genetic Resources, Torreya nucifera Forest of Bulhoesa(Temple) in Naju.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1): 71-84. 

  17. Kim, H.S., Lee, S.M., Chung, H.L. and Song, H.K. 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5): 471-484. 

  18. Kim, J.M., Kim, C.S. and Park, B.G. 1987. Methods of Vegetation Survey. Ilsinsa. Korea, pp. 170. 

  19. Kim, J.W. 2006. Vegetation Ecology. World Science. Korea, pp. 340. 

  20. Ko, S.Y., Han, S.H., Lee, W.H., Han, S.H., Shin, H.S. and Yun, C.W. 2014.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icea jezoensis and Abies hollophylla stand in Mt. Gyeba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2): 182-196. 

  21. Korea Forest Service. 2010a.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http://www.forest.go.kr/ (2016. 12. 11) 

  22. Korea Forest Service. 2010b.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http://www.nature.go.kr/kpni/ (2016. 12. 20) 

  23. Korea Forest Service. 2010c.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http://www.nature.go.kr/ (2016. 7. 06) 

  24. Korea Forest Service. 2015. http://www.forest.go.kr/ (2016. 11. 10) 

  25.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2014. Forestry Information Analysis Service. http://gis.kofpi.or.kr/gis/main.do (2016. 12. 20) 

  2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67.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https://mgeo.kigam.re.kr./ (2016. 10. 20) 

  2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http://www.kma.go.kr/ (2016. 12. 14) 

  28. Kwag, K.H., Kim, E.I., Kim, C.Y. and An, K.W. 2016. The Stand Management of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Korea - Focused on Mt. Cheongwan Forest Genetic Resource Reserve -. Journal of Korean island 28(4): 173-191. 

  29. Lee, H.Y., Oh, C.H., Choi, S.H. and Lee, S.D. 2012. The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Bongamsa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382-393 

  30. Lee, K.J., Han, S.S., Kim, J.H. and Kim, E.S. 1996. Forest Ecology. Hyangmunsa. Korea, pp. 395. 

  31. Lee, S.H., Kim, H.J. and Yun, C.W. 201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Structur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Guryong, Gyeongsangbuk-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1(3): 526-537. 

  3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 pp. 999. 

  33. Lee, W.T. and Yim, Y.J. 2002. The Phyto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412. 

  34. National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Office. 2007. http://www.huyang.go.kr/ (2016. 10. 15) 

  35. Shin, J.H. and Kim, C.M. 1996. Ecosystem classification in Korea(I): Ecoprovince classification. FRI Journal of Forest. Science 54: 188-199. 

  36. Son, H.J., Kim, Y.S., Ahn, C.H. and Park, W.G. 2016. Analysis of th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in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s (Mt. Daeseng, Juparyeong), Near the DMZ.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5(1): 19-41. 

  37. Son, Y.H., Koo, C.D., Kim, C.S., Park, P.S., Yun, C.W. and Lee, K.H. 2016. Forest Ecology. Hyangmunsa. Korea. pp. 346. 

  38. Walter, H., Harnickell, E. and Muller-Dombois, D. 1975. Climate-Diagram Maps of the Individual Continents and the Ecological Climatic Regions of the Earth. Springer-Verlag. Berlin, pp. 36. 

  39. Yun, C.W. 2016.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Korea, pp. 703. 

  40. Yun, C.W., Kim, H.J., Yang, H.M., Lim, J.H., Kim, Y.K., Shin, J.H. and Lee, B.C. 2009.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Vegetation Type and Environment Factor in Mt. Hwaak.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18(5): 579-588 

  41. Yun, C.W., Shin, J.H., Yang, H.M., Lim, J.H. and Lee, B.C. 2011.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Korea, pp.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