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산림군락의 구조 및 DCCA에 의한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An Analysi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with DCCA in Forest Community of Ullung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14 no.2, 2000년, pp.111 - 118  

송호경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연구는 울릉도의 성인봉과 태하령 지역의 산림 식생을 대상으로 199년 7-8월에 식생조사와 토양조사에 의한 너도밤나무 군락의 임분구조 및 DCCA ordin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울릉도 산림의 중요치를 각 군락별로 살펴보면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마가목, 섬단풍, 섬벚나무 등의 순으로 너도 밤나무-일색고사리 군락은 우산고로쇠 너도밤나무, 마가목 층층나무, 등수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 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등수국 마가목 음나무등의 순으로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은 섬잣나무,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섬피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DCCA ordination에 의하면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네 군락 중 토양수분이나 전절소 유기물 등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일색고사리 군락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토양수분이나 전질소, 유기물 등이 많아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과 매우 유사한 입지환경을 가진 지역이나 토성 중 clay 가 많이 함유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 군락은 해발고가 네 군락 중 중간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토양수분이나 유기물, 전질소 등도 중간인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토양수분이나 전질소, 유기물이 적고 sand가 많이 함유된 토양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울릉도 산림군락으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는 0.5455~0.8801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너도밤나무 군락에서 분포하고 있는 주요 종의 조서열 중요치 곡선을 보면 전체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너도밤나무 군락은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단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세포의 고농도 배양에는 조사한 여러 배양 시스템 중에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임올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시스템 에서 포도당을 낮은 level로 유지할 수 있었으나, 초산의 과도한 축적으로 항체 생산성의 향상은 예상에 비해 크지 않았다. 81%), C18 0(12.38%), C18: 1(25.93%), C22:6(9.95%)이며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은 C14 : 0(11.60%), C16 : 0(18.94%), C16: 1(10.42%). C18 : 1(10.89%), C22 : 6(23.44%)이었다. 총필수지방산(總必須脂肪酸) 함량(含量)은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0.14{\sim}31.12%)$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6.97{\sim}11.13%)$보다 훨씬 높았고, 결합지방질(結合脂肪質)이 유리지방질(遊離脂肪質)보다 높았으며 부위별(部位別)로는 피부(皮部)$(15.18{\sim}15.41%)$가 육질부(肉質部)$(6.97{\sim}11.13%)$보다 높았다. 또${\omega}3$고도부포화지방산(高度不飽和脂肪酸) 함량(含量)은 육질부(肉質部)$(15.15{\sim}28.32%)$가 피부(皮部)$(6.77{\sim}18.18%)$나 내장부(內臟部)$(8.35{\sim}9.74%)$보다 높았으며, 육질부(肉質部)에서는 극성지방질(極成脂肪質)$(26.28{\sim}34.18%)$이 비극성지방질(非極成脂肪質)$(15.15{\sim}28.32%)$보다 높았다.veral world-wide prediction models. Based on the analysis, we can easilty kn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방형구는 15m x 15m의 크기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 조사구에서 출현하는 종 가운데 흉고 직경 3cm 이상의 수목을 대상으로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Wakely-Black wet oxidation법으로 분석하였고, 전질소는 macro-Kjeldahl법, 유효인산은 Lancastei.법으로 정량하였으며, 치환성 K, Ca, Mg 그리고 Na는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의 pH와 전기전도도는 1 : 5로 희석하여 측정하였으며 , CEC는 ammonium saturate법으로 분석하였다.
  • 입지환경 요인으로는 조사지의 방위, 경사, 해발고를 측정하였다. 방위는 나침반을 사용하여 8개의 방위로 구분하였으며, 경사도는 경사계.
  • 방위는 나침반을 사용하여 8개의 방위로 구분하였으며, 경사도는 경사계.해 해발고는 고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식생조사는 나리분지에서 성인봉 및 태하령 주변 산림 군락을 대상으로 1999년 7~8월에 실시하였다.
  • 조사구는 주로 성인봉 주변의 자연림에서 30개소. 태하령 주변 자연림에서 6개소 등 총 36개소를 설치하였으며(이미정 등, 2000 참조).
  • 30개소. 태하령 주변 자연림에서 6개소 등 총 36개소를 설치하였으며(이미정 등, 2000 참조).방형구는 15m x 15m의 크기로 설치하였다.

이론/모형

  • Ordination을 위하여 식생조사에서 얻은 자료로부터 각종의 합성치를 구하였으며, ordinatione CA(correspondence analysis)의 확장인 DCCA(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사용하였으며(Hill, 1979; Hill and Gauch, 1980), Ter Braak(1987)의 CANOCO program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울릉도 너도 밤나무 군락의 구조를 분석하고 ordination을 이용하여 군락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자 기왕에 TWINSPAN에 의하여 구분된 너도밤나무 군락을 사용하였다 (이미정 등, 2000).
  • 성인봉 및 태하령 주변 산림군락의 특징을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흉고 직경 3cm 이상의 매목조사에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Curtis & Mclntosh(1951)의 방법에 따라 중요치 (importance valueX 산출하고, 조사구내의 종구성 상태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 최대종다양도(H'max), 균재도(J') 를 산출하였다(Shannon and Weaver, 1949).
  • 법으로 정량하였으며, 치환성 K, Ca, Mg 그리고 Na는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토양의 pH와 전기전도도는 1 : 5로 희석하여 측정하였으며 , CEC는 ammonium saturate법으로 분석하였다.
  • 토양의 가비중은 각 토양 깊이에서 excava- tion법으로 구했으며, 수분 함량을 위해 채취된 토양을 비닐에 넣은 뒤 실험실로 운반하여 건조기에서 105으로 건조시켰다. 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Wakely-Black wet oxidation법으로 분석하였고, 전질소는 macro-Kjeldahl법, 유효인산은 Lancastei.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