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열분해 반응에서 다양한 촉매의 영향
Influence of Various Catalysts on the Biomass Pyrolysis Reaction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8 no.5, 2017년, pp.536 - 544  

박영철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주홍 (경상대학교 화학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catalysts addition on the pyrolysis reaction of biomass have been studied in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TGA). The sample biomasses were Bamboo, Pine and Hinoki. The catalysts tested were K, Zn, Cu metal compounds. The pyrolysis reactions were tested in the nonisothermal condition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나무, 대나무, 편백 나무를 시료로 하여 촉매량 변화, 촉매성분 변화, 음이온염 변화 등 다양한 촉매 조건에서 열중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비등온 열분해 반응 특성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들은 열분해 반응에서 열분해 온도를 낮추어서 열분해 공정에 소요되는 에너지 를 저감시키는 최적의 촉매 선정의 기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매스 자원은 어떤 형태로 대량 배출되는가? 화석연료의 고갈과 기후 변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재생에너지의 이용은 피할 수 없다. 이들 재생에너지 중 바이오매스 자원은 건조한 초본이나 목재, 폐목재, 폐농산물, 하수슬러지 등의 형태로 대량 배출되며 이러한 바이오매스는 CO2 배출을 억제 할 수 있는 저탄소 녹색 성장의 큰 부분을 점하는 대체에너지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에너지원 생산은 어떠한 방법을 이용하는가? 바이오매스를 사용한 에너지원 생산은 생물학적이나 열화학적 변환 방법을 이용한다. 생물학적 공정은 바이오 메탄화 공정이 적용되는데 이 경우 에너지와 농업용 사료도 생산이 가능하지만 체류 시간이 길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1).
바이오매스의 열분해반응은 생성물질의 사용 용도에 따라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가? 바이오매스의 열분해반응은 생성물질의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조건에서 이루어진다. 즉 고체 연료의 제조시는 많은 고체 성분을 얻기 위하여 고정층에서 1-3℃/min 정도의 낮은 승온속도를 유 지하며 건류반응(carbonization reaction)이 이루어지고, 많은 휘발 성분이 필요한 경우에는 분류층에서 가열속도 106℃/s 이상의 급속 열분해에 의하여 열분해반응(devolatilization reaction)이 이루어진다. 또한 목적하는 생성물에 따라서 최종 열분해 온도도 달라진다. 따라서 열분해 공정의 설계와 공정관리에서 적정한 가열속도와 최종열분해온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 J. Park, "Biomass Gasification Technology", Korean News & Info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Vol. 34, No. 5, 2016, pp. 541-545. 

  2. Y. C. Bak and S. S. Lee, "Thermal Analysis Study on Kinetics and Heat of Carbonization Reaction for the Imported Coking Coals", Korean Chem. Eng. Res., Vol. 41, No. 4, 2003, pp. 530-536. 

  3. D. Mohan, C. U. Pittman, and P. H. Steele, "Pyrolysis of Wood/Biomass for Bio-oil: A Critical Review", Energy & Fuels, Vol. 20, 2006, pp. 848-889. 

  4. A. Demirbas,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the Yields of Compounds Existing in Bio-oils obtained from Biomass Samples via Pyrolysis", Fuel Processing Technology, Vol. 88, 2007, pp. 591-597. 

  5. T. H. Liou, F. W. Chang, and J. J. Lo, "Pyrolysis Kinetics of Acid-Leached Rice Husk", Ind. Eng. Chem. Res., Vol. 36, No. 3, 1997, pp. 568-573. 

  6. C. Wang, Z. Du, J. Pan, J. Li, and Z. Yang, "Direct Convertsion of Biomass to Bio-petroleum at Low Temperature", J. Anal. Appl. Pyrolysis, Vol. 78, 2007, pp. 438-444. 

  7. J. C. Choi, J. H. Ryu, B. Kang, J. Kim, J. Jeon, and Y. Park, "Bio-oil Production from Rice Straw by the Catalytic Pyrolysis over Zeolites", Korean Chem. Eng. Res., Vol. 44, 2006, pp. 382-386. 

  8. S. H. Lee, M. S. Eom, K. S. Yoo, N. C. Kim, J. K. Jeon, Y. K. Park, B. H. Song, and S. H. Lee, "The Yields and Composition of Bio-oil Produced from Quercus Acutissima in a Bubbling Fluidized Bed Pyrolyzer", J. Anal. Appl. Pyrolysis, Vol. 82, 2008, JAAP-2198. 

  9. S. H. Jung, B. S. Kang, and J. S. Kim, "Production of Bio-oil from Rice Straw and Bamboo Sawdust under various Reaction conditions in a Fast Pyrolysis Plant Equipped with a Fluidized Bed and a Char Separation System", J. Anal. Appl. Pyrolysis, Vol. 82, 2008, pp. 240-247. 

  10. H. J. Park, Y. K. Park, and J. S. Kim, "Influence of Reaction Conditions and the Char Separation System on the Production of Bio-oil from Radiata Pine Sawdust by Fast Pyrolysis", Fuel Processing Technology, Vol. 89, 2008, pp. 797-802. 

  11. H. A. Baloch, T. Yang, H. Sun, J. Li, S. Nizamuddin, R. Li, Z. Kou, Y. Sun, and W. Bhurro, "Parametric Study of Pyrolysis and Steam Gasification of Rice Straw in Presence of $K_2CO_3$ ", Korean J. Chem. Eng., Vol. 33, No. 9, 2016, pp. 2567-2574. 

  12. S. Wang, Q. Liu, Y. Liao, Z. Luo, and K. Cen, "A Study on the Mechanism Research on Cellulose Pyrolysis under Catalysis of Metallic Salts", Korean J. Chem. Eng., Vol. 24, No. 2, 2007, pp. 336-340. 

  13. A. Pattiya, J. Titiloye, and A. V. Bridgwater, "Fast Pyrolysis of Cassava Rhizome in the Presence of Catalysts", J. Anal. Appl. Pyrolysis, Vol. 81, 2008, pp. 72-79. 

  14. Y. C. Bak, "The Equipment to Produce the Bamboo Oil Continuously", Korean Patent 10-1142654, 2012. 

  15. Y. C. Bak, K. J. Cho, and J. H. Choi, "Production and $CO_2$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from Bamboo by $CO_2$ Activation Method", Korean Chem. Eng. Res., Vol. 43, No. 1, 2005, pp. 146-152. 

  16. K. Raveendran, A. Ganesh, and K. C. Khilar, "Influence of Mineral Matter on Biomass Pyrolysis Characteristics", Fuel, Vol. 74, No. 12, 1995, pp. 1812-1822. 

  17. M. I. Nokkosmaki, E. T. Kuoppala, E. A. Leppamaki, and A. O. I. Krause, "Catalytic Conversion of Biomass Pyrolysis Vapours with Zinc Oxide," J. Anal. Appl. Pyrolysis, Vol. 55, 2000, pp. 119-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