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Iris koreana of Gaeamsa Temple and Soeppulbawi Rock Areas in Special Protection Zones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6 no.5, 2017년, pp.365 - 375  

오현경 (계명대학교 동영학술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 2구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1과 166속 222종 2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5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114분류군(44.7%), 초본식물은 141분류군(55.3%)으로 확인되었다. 세부구역별로 개암사 지역에서 총 178분류군, 쇠뿔바위 지역에서 총 1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노랑붓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멸종위기종(CR)에 노랑붓꽃 1분류군, 취약종(VU)에 호랑가시나무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개족도리풀, 은꿩의다리, 고광나무, 떡윤노리나무, 민땅비싸리, 참갈퀴나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지리대사초,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에 노랑붓꽃 1분류군, IV등급에 층실사초 1분류군, III등급에 큰여우콩, 호랑가시나무, 단풍나무, 새비나무, 호자덩굴, 산기장 등 6분류군, II등급에 자주잎제비꽃, 큰참나물, 이팝나무, 청괴불나무, 좀딱취, 지리대사초, 금난초 등 7분류군, I등급에 쇠고비, 전나무, 폭나무, 개족도리풀,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투구꽃, 상산,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돌외, 송악, 오갈피나무, 개시호, 정금나무, 들메나무, 올괴불나무, 조릿대풀, 큰천남성, 일월비비추 등 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노랑붓꽃 특별보호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른 어떤 지역보다 자연성과 건강성이 우수한 지역이므로 향후에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특별보호구로서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special protection zones (the native land of Iris koreana in Gaeamsa Temple and Soeppulbawi Rock)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and identified the whole flor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55 taxa including 71 families, 166 g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에 분포하는 노랑붓꽃 자생지의 모니터링을 위해 2014년부터 식물상을 조사하였으며, 향후 식물 변화상을 파악하고 보전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의 모니터링을위해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랑붓꽃이 자생할 수 있는 지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2000). 노랑붓꽃이 자라는 생육지 특성은 산지 사면의 하부, 숲가장자리 및 등산로와 인접한 계곡주변에서 자라며, 다소 습한 토양을 좋아한다(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특별보호구의 역할은 무엇인가? 특별보호구는 보호할 가치가 높거나 인위적·자연적훼손으로부터 보호 필요성이 있는 야생동물서식지, 야생식물군락지, 습지, 계곡 등 주요자원 분포지역에 대하여 출입통제 등 행위를 제한함으로써 공원자원의 보호 및 훼손된 자연의 회복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자연공원법 제28조와 동법 시행규칙 제20조에 근거하여 지정되며, 변산반도국립공원에는 2016년 12월31일 기준 총 6개의 특별보호구(총 면적 2,337,122.
2014년과 2016년에 조사한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서 발견한 IUCN 기준 희귀식물은 무엇인가?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로는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멸종위기종(CR)에노랑붓꽃 1분류군, 취약종(VU)에 호랑가시나무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이들은 각 특별보호구별로 개암사 지역에서 노랑붓꽃, 호랑가시나무,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등 4분류군, 쇠뿔바위 지역에서 노랑붓꽃, 개족도리풀,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 구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l BS. 1990. The Flora of Pyonsan Peninsula National Park, Buan. Wonkwang Univ. The Journal of Natural Science 9(3): 57-94. [Korean Literature] 

  2. Kim CS, Kim JM, Rye J, Choi JS, Choi YG, Park HB, Park CM, Beon MS. 2002.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phne genkwa Community in Byunsanbando. J. Kor. Soc. Hort. Sci. 43(6): 777-781. [Korean Literature] 

  3. Kim KH, Park CM. 1998. Growth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in Py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2(1): 91-101. [Korean Literature] 

  4. KMA: Climate Resources. Domestic Climate Resources. Annual Data (30 years; 1980-2010) [Internet]. 200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ited 2017 Jan 11]. Available form: http://www.kma.go.kr/weather/climate/average_30years.jsp?yy_st2011&stn243&normY&x22&y6&obs0&mm4&dd25 

  5. KNPS: National Park Special Protection Zone Status [Internet]. 201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Cited 2017 Jan 11]. Available form: http://www.knps.or.kr/public/main/contents.do?menuNo7030052 

  6.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Pocheon: Korea National Arboretum. p. 332. [Korean Literature] 

  7.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on: Korea National Arboretum. p. 534. [Korean Literature]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Pocheon: Korea National Arboretum. p. 206. [Korean Literature] 

  9. Korea National Park Service. 1999.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Research. Seoul: Korea National Park Authority. p. 395. [Korean Literature] 

  1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Natural Resources Research. Seoul: Korea National Park Authority. p. 697. [Korean Literature] 

  11. Korea National Park: Byeonsanbando National Park Office. Park Information [Internet]. 2017. Byeonsanbando National Park; [Cited 2017 Jan 11]. Available form: http://byeonsan.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121800&menuNo7020091 

  1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 II). Seoul: Hyangmunsa. p. 914. & p. 910. [Korean Literature] 

  13. Lee WT,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Botanical Society of Korea 8: appendix 1-33. [Korean Literature] 

  14.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Seoul: Academy Press. p. 624. [Korean Literature] 

  15.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Vol. I & II). Seoul: Gyohaksa. p. 974. & p. 885. [Korean Literature] 

  16. Lim DO, Hwang IC, Choi HW, Kim YS.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roposal of Abeliophyllum distichum Subpopulations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116-126. [Korean Literature] 

  1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II. Berlin: Gebruder Borntraeger. p. 666. 

  18.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p. 391. [Korean Literature]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tudy on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Preserving Endangered Species of Naejangsan. Gwacheon. Ministry of Environment. p. 263. [Korean Literature]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Wildlif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Article 2)-Endangered Wildlife I,II-. 

  21. Nakai T. 1914. Report on the vegetation of Quelpart and Wanto Island. Gov. Gen. Chosen, Seoul. 1-156.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Attachment 2. Specific Plants-. Inche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 185-216. [Korean Literature] 

  23. Oh HK, Han YH, Par KU. 2011b. Vegetation Present and Vascular Plants of Habitats Lycoris flavescens M.Y. Kim et S.T. Lee and Iris koreana Nakai, Byeonsanbando.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42(2): 54-67. [Korean Literature] 

  24. Oh HK, Kim YH, Yang JY, Park KU. 2010. Vegetation Analysi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Replanted Abeliophyllum distichum Community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1(4): 260-266. [Korean Literature] 

  25. Oh HK, Park KU, Soh MS, Lee JH. 2011c. Vegetation Present and Vascular Plants of Habitats Eranthis byunsanensis B.Y. Sun in Byunsanbando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2): 58-70. [Korean Literature] 

  26. Oh HK, Soh MS, Rho JH. 2011a. A Study on the Botany of New Natural Habita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4(2): 4-25. [Korean Literature] 

  27. Park CM. 1998. Investigation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s and Growth Condition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n Pyonsanbando. Kor. J. Env. Eco. 12(3): 242-252. [Korean Literature] 

  28. Shim JK, Ko SC, Oh BU, Lee WB, Chung GY, Yoon CY, Kim JH, Jang CG, Park SJ. 2000. Monographs on Korean Vascular Plants. Seoul. Academy Publishing Co.. p. 460. [Korean Literature] 

  29. Sun BY, Kim CH, Seo JS. 1995. Flora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34: 19-48. [Korean Literatu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