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희귀·특산식물 노랑붓꽃의 자생지 환경 및 개체군 특성
Habitats Environmental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Iris koreana Nakai, a Rare and Endemic Species i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2, 2016년, pp.102 - 109  

피정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정근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정지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정석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서강욱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손성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랑붓꽃은 주로 해발 50~150 m, 경사는 $2{\sim}11^{\circ}$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노랑붓꽃자생지는 산지계류 하천에 위치하고, 수로를 따라 인접한 경계면에 띠상으로 분포하거나 상부사면에 점의 형태로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수관열림도 (%)는 평균 11.97이었으며, BA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S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광량 ($mol{\cdot}m^{-2}{\cdot}d^{-1}$)은 평균 6.34이었으며, BA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S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체밀도 (/$m^2$)는 평균 25.81이었으며, JS2에서 49.65으로 가장 높았고 JS1에서 9.3으로 가장 낮았다. 개화촉수는 BA3에서 가장 많았고, BA5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개체군특성과 환경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광량과 수관열림도가 높은 곳에서 노랑붓꽃의 촉수가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면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역-J자 형태를 나타내어, 지속적으로 작은 개체들이 이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개체군 동태 예측 및 노랑붓꽃의 장기적인 보전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stainability of Iris koreana, a rare and endemic plant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is threatened due to artificial factors such as habitats loss and climate change etc. and internal factors such as changes in biological properties of the habitats etc. but conservation biology res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노랑붓꽃 자생지로 확인된 지역 중 집단을 이루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자생지환경 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분석하여 복원 및 장기적인 보전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랑붓꽃 자생지가 훼손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노랑붓꽃 자생지는 대부분 산지 계곡부에 분포하여 여름철 장마나 태풍 등의 집중호우로 인해 많은 개체들이 땅위로 뿌리가 노출되거나 훼손되고 동시에 인간의 무분별한 채취로 개체군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KNA, 2008). 또한 자생지 분포범위가 일부지역으로 국한되어 있어 멸종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높아 기초자료 확보 및 종 보존대책 수립이 시급한 식물이다.
노랑붓꽃은 어느 정도의 높이로 자라는가? , 2006)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분류군에 따라 건조지, 습지 또는 산간지 등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랑붓꽃은 여러해살이풀로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며 높이 10~20 cm 정도 자란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3~4장이 모여 나며 선형으로 길이 15~40 cm이다.
노랑붓꽃의 분포지는 어디인가? 노랑붓꽃은 IUCN 평가기준에 따라 산림청 지정 멸종위기식물 (Critically Endangered; CR)이며 (KNA, 2008), 환경부 야생동식물 보호법에 따른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 되어 보호되고 있다 (ME, 2005). 또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만 국한하여 분포하는 특산식물로 주로 변산반도와 내장산 인근지역에 분포한다 (Oh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Y.H. 2005. Analysis of genetic relationship of native Iris species plants using RAP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4(3):265-269 (in Korean). 

  2. Austin, M.P. 1976. On non-linear species response models in ordination. Vegetation 33: 33-41. 

  3.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Ed. 3. Springer. Verlag. 

  4.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USA. 

  5. Goldblatt, P. 1981. Systematics, phylogeny, and evolution of Dietes (Iridaceae).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68: 132-153. 

  6. Goodall, D.W. 1954. Vegetational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al continua. Angewandte Pflanzen Soziologie, Wien. Festschrift Aichinger (Vienna) 1: 168-182. 

  7. Hill, M.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pp. 

  8. Hill, M.O. and H.G. Jr. Gauch.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n 42: 47-58. 

  9. Kim, E.J. 2006.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Iris odaesanensis and Iris koreana, Master's thesis p.1 (in Korean). 

  10. Kim, M.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in Korean). 

  11.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2.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Rare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3. Lee, J.H., J.H. Lee, G.W. Park and C.Y. Song. 2007. Effect of forcing data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flowering of Iris koreana and Iris minutoau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6):699-704 (in Korean). 

  14. Lee, T.B. 1985.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in Korean). 

  15.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The law of preservation of wild life-endangered of wild life I, II (in Korean). 

  16.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7. Oh, H.K., Y.H. Han and K.U. Park. 2011. Vegetation present and vascular plants of habitats Lycoris flavescens M.Y. Kim et S.T. Lee and Iris koreana Nakai, Byeonsanbando. Journal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42(2):54-67 (in Korean). 

  18. Park, S.H. 1995.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19. Park, S.H. 2001.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20. Park, S.J., J.K Sim and H.D. Park. 2002. A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korean Iris (Iridaceae) based on RAPD analysis. Journal of Korean Plant Taxonomy 32(4):383-396 (in Korean). 

  21. Park, Y.W., D.M. Kim, Y.J. Hwang, K.B. Lim and H.H. Kim. 2006. Karyotype analysis of three Korean native Iris specie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47(1):51-54 (in Korean). 

  22. Pi, J.H., J.Y. Jung, J.G. Park, H.H. Yang, E.H. Kim, G.U. Suh, C.H. Lee and S.W. Son. 2015. Habitats environmental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 Rare spec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8(4):253-262 (in Korean). 

  23. Shin, J.K., B.Y. Koo, H.G. Kim, S.W. Son, H.J. Cho, K.H. Bae, H.H. Ryang, J.G. Park, J.S. Lee and Y.C. Cho. 2014. Vegetation and environment of the natural monument (No. 432) Jeju Sanghyo-dong Cymbidium kanran habitat.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3(3):321-338 (in Korean). 

  24. Son, S.W., J.M. Chung, J.K. Shin, B.C. Lee, K.W. Park and S.J. Park. 2012. Distributi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a rare and endemic plant,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 42(2):116-125 (in Korean). 

  25. Ter Braak, C.J.F. and P. Smilauer. 1998. CANOCO-Reference Manual and User's Guide to Canoco for Windows. Microcomputer Power, Ithaca, USA p.352. 

  26. Yu, Z.Y.Z. 2009. Karyotype studies on ten Iris species (Iridaceae) from Sichuan, China. Caryologia 63(3):256-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