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is study aims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nfill information and draw detailed infill information required by suppliers, thereby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utilizing such information as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web system, on which...
Purpose: This study aims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nfill information and draw detailed infill information required by suppliers, thereby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utilizing such information as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web system, on which infill information required by users in the long-life housing design process are available. Method: For the method of study, the infill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detailed information were drawn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building material information systems; and the survey targeting working-level personnel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drawn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scheme) was selected by quo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material type as infill type, after analyzing existing DB information systems and drawing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ill. Secon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fill was available to users for the detailed infill inform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ting information. Results: First,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scheme) was selected by quo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material type as infill type, after analyzing existing DB information systems and drawing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ill. Secon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fill was available to users for the detailed infill inform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ting information. Third, only approximately 30% of the survey respondents recognized the infill of long-life housing, but they did not recognize its difference from existing building materials. Fourth, through the analysis of paths to obtain infill information of long-life housing, it was confirmed that infill information was obtained mostly through books and research papers regarding long-life housing, followed by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information system as the information system specialized in the infill of long-life housing was established, and can be used as a measure to revitalize long-life housing market.
Purpose: This study aims to set up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nfill information and draw detailed infill information required by suppliers, thereby promoting the revitaliz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utilizing such information as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ing web system, on which infill information required by users in the long-life housing design process are available. Method: For the method of study, the infill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and detailed information were drawn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building material information systems; and the survey targeting working-level personnel was carried out in order to verify the drawn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scheme) was selected by quo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material type as infill type, after analyzing existing DB information systems and drawing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ill. Secon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fill was available to users for the detailed infill inform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ting information. Results: First,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scheme) was selected by quo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material type as infill type, after analyzing existing DB information systems and drawing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for infill. Second,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fill was available to users for the detailed infill information of long-life housing, and the essential information and general information were selected for differentiating information. Third, only approximately 30% of the survey respondents recognized the infill of long-life housing, but they did not recognize its difference from existing building materials. Fourth, through the analysis of paths to obtain infill information of long-life housing, it was confirmed that infill information was obtained mostly through books and research papers regarding long-life housing, followed by the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information system as the information system specialized in the infill of long-life housing was established, and can be used as a measure to revitalize long-life housing marke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필 분류 체계 및 상세 정보에 대하여 실무자 설문조사를 통해 보다 실효성 있는 정보 분류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인필 정보시스템 제공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웹 시스템을 통한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 제공을 위한 분류체계 구성 및 인필 상세 정보 도출에 관한 연구로 구체적인 연구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필정보 체계 및 정보항목을 도출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현재 인필 생산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인필 종류 및 성능을 살펴보고자 장수명주택 인증제도와 관련된 인필 종류 4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 시스템 분류체계 구축을 위해 기존 국· 내외 건축자재 관련 정보시스템의 분류체계를 분석하였고 분석을 통해 도출된 분류체계(안)을 바탕으로 실무자 설문조사를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해 국내 6개의 기존 건축자재 DB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대분류 체계를 분석하였다. 국외 시스템의 경우 정보 제공의 기능보다 업체와의 중계 역할로써 활용되고 있어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장수명 주택 인필 세부 정보에 대하여 사용자로 부터 인필 간 비교분석이 가능하고 필수정보와 일반정보를 선별하여 정보의 차별성을 두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앞서 도출된 장수명 주택 인필 대분류 체계(안) 및 인필 필수 정보 요소에 대한 실무자 실효성 검증과 사용자 중심의 추가 정보를 도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수명 주택 설계과정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인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웹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으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장수명 주택 인필 현황을 분석 하여 인필에 대한 정보 체계화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웹시스템을 기반으로 인필 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건축 자재와 관련된 DB 정보시스템의 분류체계 및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장수명 주택 인필 현황을 분석 하여 인필에 대한 정보 체계화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웹시스템을 기반으로 인필 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건축 자재와 관련된 DB 정보시스템의 분류체계 및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웹 시스템을 통해 장수명 주택 인필 특성에 맞는 정보 제공을 위한 대분류 체계 및 상세 정보 요소(안)를 선별하였다.
둘째, 웹시스템을 기반으로 인필 정보를 구축하기 위하여 기존 건축 자재와 관련된 DB 정보시스템의 분류체계 및 제공되는 정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웹 시스템을 통해 장수명 주택 인필 특성에 맞는 정보 제공을 위한 대분류 체계 및 상세 정보 요소(안)를 선별하였다. 넷째, 선별된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에 대한 실효성 검증 및 활용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건축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웹 시스템을 통해 장수명 주택 인필 특성에 맞는 정보 제공을 위한 대분류 체계 및 상세 정보 요소(안)를 선별하였다. 넷째, 선별된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에 대한 실효성 검증 및 활용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건축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벽의 경우, 다른 건축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성능을 갖춘 인필이 개발되어 생산되고 있었으며 인필의 종류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가 종류에 따라 다른 것을 알 수 있었다. S사의 실내 경량벽체의 경우, 차음성, 내화성, 안전성, 친환경 인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B사의 W스터드, 일반석고보드벽체, 스마트월의 경우, 내화, 차음, 충격저항성, 유해물질 방출, 불연성능, 친환경 인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국내 건축자재 DB정보시스템은 건축정보센터, 친환경 건설자재 정보시스템, 에너지저감형 건축자재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친환경건설자재 정보시스템은 친환경인증을 받은 자재를 중심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고 다양한 검색구성으로 사용자의 접근이 다른 정보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재가 적용된 시공 현장 이미지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재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생산 업체 웹사이트와 연동시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DB정보시스템 대분류 체계 분석을 통해 자재를 인필 종류로 대체하여 대분류체계(안)를 선별하였다. 반면 1차적으로 장수명 주택 정보시스템은 주택을 대상으로 인필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건축분야별 대분류체계는 연구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선별된 필수 정보로는 제품명, 용도, 규격, 성능, 업체, 가격, 시방서가 있으며 실무자 설문조사를 통해 인필 필수정보로써 실효 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시스템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건축자재, 제품, 인필 등 건축 관련 정보 취득을 위한 경로와 기존 정보시스템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기존 정보시스템의 경우, 인필의 특성과 다양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필 검색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였고 이에 기존 시스템을 활용한 인필 검색의 어려운 이유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대분류 체계는 인필 종류, 공사별, 설비별 분류체 계로 대분류체계(안)이 도출되었고 선별된 인필 필수정보(안)는 제품명, 용도, 규격, 성능, 업체, 가격, 시방서가 도출되었다. 정보 체계 및 세부정보(안)은 실무자 설문조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 하였다.
여섯째, 앞서 도출한 인필 대분류체계(안) 및 인필 필수 정보 (안)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분류체계의 경우, 기 도출된 인필 종류별 분류체계 이외에 건축 부위별(바닥, 벽, 천장) 분류체계가 실무자 입장에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대상 데이터
그 결과, 앞서 분석한 연구방법과 동일하게 6개의 기존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21개의 정보를 분석하였고 4개 이상의 시스템에서 동일하게 제공하고 있는 정보를 필수정보로 선별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8월 1일부터 30일(약 30일) 동안 웹 (e-mail)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총 130부 중 유효한 설문 10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국내 건축 설계 실무자, 인필 생산업체, 시공사, 건축 관련 연구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8월 1일부터 30일(약 30일) 동안 웹 (e-mail)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고 총 130부 중 유효한 설문 10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국내 건축 설계 실무자, 인필 생산업체, 시공사, 건축 관련 연구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다음 <표 7>과 같이 구성하였다.
성능/효과
바닥의 경우, 건식온돌 이중바닥과 그린온돌시스템이 주요 인필로 구분되었다. 바닥 인필 별 생산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정보를 분석하면 건식온돌 이중바닥의 경우,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의 성능, 에너지효율, 지적재산권, 인증서, 시공방법이 제공되고 있었고 그린 온돌시스템의 경우, 충격음(경량, 중량), 열 효율성, 재활용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같은 부위에 적용되는 인필의 경우 생산 업체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다르며 제공된 정보로부터 인증제도 평가항목에 부합한 정보를 선별하기 어려웠다.
장수명 주택 인필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약 30%가 인필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했으며 ‘알고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경우, 장수명 주택 사업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인필 정보가 부족함‘(35%)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건축 자재와 인필의 개념이 혼동됨’(25%), ‘검색 유료화 서비스로 인한 정보획득의 한계’(25%), ‘인필 정보를 얻는 경로를 모름‘(1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필 검색 경험이 있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정보 취득 경로를 분석한 결과, ‘장수명주택 관련 서적 및 논문’(30.6%)을 통한 경로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존 정보시스템(27.8%)을 통해 인필 정보를 취득하고 있었다.
추가적으로 인필과 건축자재 및 재료와의 차이점 인지정도를 분석한 결과, 보통(들어본 적 있음)이 35.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른다(29.2%), 알고 있다(21.7%), 잘 알고 있다(8.5%), 전혀 모른다(4.7%) 순으로 조사되었다.
정보 취득 경로의 경우 인터넷을 통해 가장 많은 정보를 얻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건축자재 박람회 및 기타, 카탈로그, 인필 생산업체 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정보 사이트의 경우, 시·공간의 제약 없이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 유추된다. 또한, 각 정보 경로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인필 생산업체 문의 (M=3.38)를 통한 정보 획득이 다른 정보 경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음으로는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를 얻기 위한 검색 경험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36.3%만 경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4의 필요정도 수준을 보였다. 또한 인필 정보시스템 구축 시 활용정도를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67.7%가 활용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대답하였다.
인필 정보시스템 구축 시 처음 접근하는 대 분류체계에 대하여 응답자의 63.7%가 건축부위별 분류체계를 선호한다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는 인필 종류별 분류체계(22.5%), 공사별 분류체계 (13.8%)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서 도출된 인필 종류별 분류 체계 이외에 인필이 적용되는 건축부위에 따른 분류로의 접근도 실무자 입장에서 정보를 얻는데 접근성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1개의 인필 세부 정보별 필요도는 전체 평균 3.9이며 특히 인필 규격(M=4.04) 및 성능(M=4.04) 정보는 다른 세부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필요도를 나타냈다. 반면 인필 생산업체 정보의 경우, 기존 정보시스템 분석에서는 필수 정보로 도출되었으나 실무자 설문조사에서는 다른 인필 세부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필요도를 보였다.
인필 정보 시스템 구축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로는 인필 용도의 필요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앞서 도출된 대분류체계 분석 결과에서도 확인 할수 있었듯이 인필 용도는 건축부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정보이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인필 세부정보의 우선순위는 인필 용도가 13.5%로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인필 성능, 규격, 가격, 제품명, 시방서, 전자카달로그, 이미지, 시험성적인증서, 법령정보, 생산 업체정보 순으로 조사되었다.
첫째, 국내 인필 생산 업체의 인필 종류 및 세부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각 생산업체별 제공하고 있는 인필의 정보가 다 다르며 정보에 대한 용어가 통일되지 않아 사용자 입장에서 같은 부위에 적용 가능한 인필 간 정보를 비교분석하기 어려웠다. 이는 생산업체 입장에서의 정보제공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얻기 어려운 실정이다.
둘째, 기존 건축자재 DB 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건축분야별 분류체계를 구성하고 있었다. 이는 건축자재 DB 정보 시스템의 특성상 건축, 토목, 기계, 전기 등 모든 분야의 자재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분류체계이다.
최종적으로 대분류 체계는 인필 종류, 공사별, 설비별 분류체 계로 대분류체계(안)이 도출되었고 선별된 인필 필수정보(안)는 제품명, 용도, 규격, 성능, 업체, 가격, 시방서가 도출되었다. 정보 체계 및 세부정보(안)은 실무자 설문조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 하였다.
셋째, 장수명 주택 인필 인지도의 경우 건축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응답자의 약 30% 가 인필의 개념 및 인필과 일반 건축자재와의 차이점에 대하여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 다. 이는 인필의 사전적 정의가 모호하고 장수명 주택의 내장 제품 특성이 잘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넷째, 인필 정보시스템에 관한 현황에서 인필 정보를 얻기 위해 검색한 경험에 대하여 분석 한 결과, 응답자의 36.3%만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장수명 주택 관련 서적 및 논문, 기존 DB 정보시스템을 통해 인필 정보를 얻고 있었다.
다섯째, 장수명 주택 인필 정보시스템 필요성 및 활용성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의 다수가 인필 정보시스템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구축 시 활용의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앞서 분석한 기존 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인필 정보 획득에 한계가 있으며 인필에 특화된 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섯째, 앞서 도출한 인필 대분류체계(안) 및 인필 필수 정보 (안)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분류체계의 경우, 기 도출된 인필 종류별 분류체계 이외에 건축 부위별(바닥, 벽, 천장) 분류체계가 실무자 입장에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후속연구
우선순위 결과를 근거로 상위 50%까지의 인필 세부정보를 필수정보로 선정하여 실무자가 인필 정보시스템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선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인필의 세부 정보 중 성능정보를 세분화 하지 않고 일반적인 성능으로 조사한 점과 기존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만을 기준으로 분석한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인필 성능설계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분석하여 인필 적용에 실효성 있는 인필 토탈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인필의 세부 정보 중 성능정보를 세분화 하지 않고 일반적인 성능으로 조사한 점과 기존 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만을 기준으로 분석한 점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인필 성능설계에 대한 추가적 정보를 분석하여 인필 적용에 실효성 있는 인필 토탈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필의 적극적인 설치가 장수명 주택의 활성화에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장수명 주택의 경우, 일반 공동주택과 달리 내장재인 인필(Infill)을 통해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게 되며 이는 인증제도에서 가변성과 수리용이성 항목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장수명 주택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인필의 적극적인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른 우리나라 공동주택 비율은?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1)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주택유형 중 공동주택 비율은 약 58%이상으로 그 비중이 매우 높다. 즉,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215.
우리나라에서 공동주택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
즉,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215.3명/ ㎢), 인구 밀집으로 인한 주거 난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과 교통망을 확충하였다. 그 결과, 현재 국내 주택 보급률은 102.
참고문헌 (11)
구교진, 박형진, 박성철, 김종일, "설계단계 건축마감자재 선정을 위한 지식정보기반 자재성능비교 지원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24권 제4호, 2008//(Koo, Kyo-Jin, Park, Hyung-Jin, Park, Sung-Chul, Kim, Jong-in, Information Based Material Performance Comparison Supporting Model For Selecting Building Finishing Materials in the Design Stag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is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24, n4, 2008)
권기덕, 이동훈, "김선국, 건강친화형 건축자재의 DB화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제 9권 제 6호, 2009//(Kwon, Gi-Deoc, Lee, Dong-Hoon, Kim, Sum-Kuk, A Study on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Health-friendly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9, n.6, 2009)
김상호, 변은주, 류현숙, 정지범, 이화진, "저소득층 주거환경개선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보고서, 2013//(Kim, Sang-Ho, Byun, Eun-Joo, Lyu, Hyeon-Suk, Chung, Ji-Bum, Lee, Hwa-Jin,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Center for the Vulnerable to Housing,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2013)
김은영, 황은경, 장순각, 우수진, "장수명 주택 인필 시장 활성화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32권 제 8호, 2016//(Kim, Eun-Young, Hwang, Eun-Kyoung, Jang, Soon-Gak, Woo, Su-Jin, A Study on the Setting of Direction for the Activation of the Infill Market of Long-Life Hous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is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32, n..8, 2016)
박형진, "태그매니저 기반 건축자재정보 문서관리 프로토타입 시스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2009//(Park, Hyung-Jin, Tag-Manager based Document Management Prototype System of Building Material Information, University of Seoul, master's these, 2009)
오용석, 송정화, 오건수 "건설자재 정보 제공의 효율성을 위한 정보 검색체계 연구", 한국주거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1, 2008//(Oh, Yong-Seok, Song, Jeong-Hwa, Oh, Kun-Soo,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for efficiency of getting information about construction,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 2008)
왕우철, 임석호, "장수명주택 인증기준별 최적화를 위한 Infill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 26권 제 6호, 2016//(Wang, Woo-Chul, Lim, Seok-Ho, A Study of Infill Optimization Methods Applied with Life-long Housing Certification Standard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v.26, n.6, 2016)
원서경, 김선국, "건축공사 마감자재정보시스템 구축 및 활용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24권 제 1호, 2008//(Won, Seo-Kyung, Kim, Sun-Kuk, An Application of Finishing Material Information System for Building Finish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is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24, n..1, 2008)
이용규, 김연준, "소규모 SI집합 주택의 인필(Inill)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제 14권 제3호, 2012//(Yi, Yong-Kyu, Kim, Yeon-Joon, A Study of Infill System for a small scale Skeleton/Infill Housing, Journal of AIK-RA, v.14, n.3, 2012)
정준수, 김동현, "건축자재 분류체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설계사무소의 작업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 25권 제12호, 2009//(Jung, Jun-Soo, Kim, Dong-Hyun, A Study on the Ways of Improving Classification System of Architectural Material - Based on the Practice of Architectural Fir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is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25, n.12, 2009)
황은경, "공동주택의 공간 가변 수용력 향상을 위한 서포트 계획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Hwang, Eun-Kyoung, A study on the design methodology of support for improving the capacity to change of multi-family housing, Yonsei University, doctot's these, 200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