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미숙아 발달지식, 양육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ld Development Knowledge, Rearing Knowledge and Use of Health Care Service on Maternal Confidence among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4, 2017년, pp.407 - 415  

김소연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강숙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 development knowledge, child rearing knowledge, and use of healthcare services after discharge affect maternal confidence among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5 mothers who were involved in interne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한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퇴원 후 전화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이는 부모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14]. 그러나 어떤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기 전에 국내에서 미숙아 및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퇴원 후 건강관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통하여 병원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보건소에서 제공하는 퇴원 후 미숙아 건강관리 관련 보건의료서비스의 이용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미숙아 발달에 대한 지식, 양육에 대한 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미숙아 발달에 대한 지식, 양육에 대한 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어머니의 미숙아 발달에 대한 지식의 평균은 16.
  • 수술한 경험이 없을수록, 어머니의 미숙아 발달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모성자신감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육에 대한 지식은 모성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으나 발달에 대한 지식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온 결과에 주목할 만하다. 우선 발달지식 도구의 내용은 미숙아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으나 양육에 대한 지식은 일반적인 양육과 관련된 내용이 더 많다는 점이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양육에 대한 지식의 내적 일관성이 .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자료수집과 오프라인을 통한 자료수집을 모두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료수집 방법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독립표본 검정으로 확인하였다. 두 그룹 간 대상자의 연령, 교육정도, 월수입 등의 일반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미숙아의 수술력 여부와 어머니의 발달에 대한 지식이 의미있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차후 미숙아의 퇴원 후 효과적인 관리에 반영할 수 있는 연구라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퇴원 후 어머니의 미숙아 발달에 대한 지식, 양육에 대한 지식, 미숙아의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모성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 어머니의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지식,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수준을 확인하고, 모성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미숙아가 퇴원 후 적절한 건강관리를 받아 건강한 성장발달을 할 수 있고 미숙아 어머니는 높은 모성자신감으로 미숙아를 양육하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의 이용률이 보건소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 보다 높은 이유는? 퇴원 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과 국가에서 운영하는 보건소의 서비스 이용률보다 병원에서 운영하는 서비스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 원인으로는 미숙아라는 특수하고 취약한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부족과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보건소로의 연계의 미흡을 생각할 수 있다[22]. 아직 보건소에서의 미숙아 관리를 위한 전문 인력 배치 혹은 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본 예는 없었다.
모성자신감이란? 모성자신감이란 어머니가 영아의 요구를 인지하며 양육기술을 가지고 스스로 어머니 역할에 만족하는 것을 말하며[15] 이는 출산 전부터 형성되어 출산 경험과 아동의 상태에 따라 현저하게 달라진다[16].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자신감은 신생아중환자실에 있는 미숙아와의 제한된 면회횟수와 정상 만삭아에 비해 약하다는 생각 등으로 인하여 정상 만삭아의 어머니보다 낮게 나타난다[7].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자신감은 어떤 요인인가? 또한 미숙아 어머니는 퇴원 후 발달 및 양육에 대한 지식의 부족으로 불안과 양육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으며[17] 이는 모성자신감의 감소로 연결될 수 있다.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자신감은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양육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이자 미숙아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18]. 실제로 높은 모성자신감은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과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미숙아의 성장 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Birth rate by weight at birth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7 May 2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 ZTITLE&parentIdA 

  2. Statistics Korea. Leading cause of death 2015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7 May 2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 &bSeq&aSeq356347&pageNo1&rowNum10&navCount10& currPg&sTargettitle&sTxt 

  3. Jeong MS, Yoon SH, Lee YK, Ko SY, Shin SM. A 12-year retrospective study of survival rates and outcom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 single center. Neonatal Medicine. 2016;23(1):1-7. http://dx.doi.org/10.5385/nm.2016.23.1.1 

  4. Kerstjens JM, Bocca-Tjeertes IF, de Winter AF, Reijneveld SA, Bos AF. Neonatal morbidities and developmental delay in moderately preterm-born children. Pediatrics. 2012;130(2):e265-272. http://dx.doi.org/10.1542/peds.2012-0079 

  5. Pampanini V, Boiani A, De Marchis C, Giacomozzi C, Navas R, Agostino R, et al. Preterm infants with severe ex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EUGR) are at high risk of growth impairment during childhood.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2015;174(1):33-41. http://dx.doi.org/10.1007/s00431-014-2361-z 

  6. Ionio C, Riboni E, Confalonieri E, Dallatomasina C, Mascheroni E, Bonanomi A, et al. Paths of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in healthy preterm infant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6;44:199-207. http://dx.doi.org/10.1016/j.ineh.2016.07.004 

  7. Heydarpour S, Keshavarz Z, Bakhtiari M.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the role of motherhood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7;73(1):138-148. http://dx.doi.org/10.1111/jan.13099 

  8. Altimier L, Kenner C, Damus K. The wee care neuroprotective NICU program (wee care):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al care training program on seven neuroprotective core measures for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of premature neonate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5;15(1):6-16. http://dx.doi.org/10.1053/j.nainr.2015.01.006 

  9. Park JY, Bang KS. Knowledge and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and rearing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2013;16(1):17-26. 

  10. Choi HS, Shin YH. Effects on maternal attachment, parenting stress, and maternal confidence of systematic information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3;9(3):207-215. http://dx.doi.org/10.4094/chnr.2013.19.3.207 

  11. Ravn IH, Smith L, Lindemann R, Smeby NA, Kyno NM, Bunch EH, et al.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on social interaction between mothers and preterm infants at 12 months of ag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011;34(2):215-225. http://dx.doi.org/10.1016/j.ineh.2010.11.004 

  12. Brodsgard A, Zimmermann R, Petersen M. A preterm lifeline: Early discharge programme based on family centred care.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2015;20(4):232-243. http://dx.doi.org/10.1111/jspn.12120 

  13. Kim YH, Kim HJ, Lee EJ, Lee JY, Lee MK. Effects of the home health care program on maternal anxiety and confidence, premature infants’ growth and hospital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4;19(2):189-200. 

  14. Song AS, Park IH, Joo AR. Effects of supportive care using the telephone for mothers of premature infants on anxiety and confidence of baby care aer dischar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7;11(1):98-108. 

  15. Gross D, Rocissano L, Roncoli M. Maternal confidence during toddlerhood: Comparing preterm and fullterm group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9;12(1):1-9. http://dx.doi.org/10.1002/nur.4770120103 

  16. Avery MD, Saftner MA, Larson B, Weinfurter EV. A systematic review of maternal confidence for physiologic birth: Characteristics of prenatal care and confidence measurement.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2014;59(6):586-595. http://dx.doi.org/10.1111/jmwh.12269 

  17. Lopez G, Anderson KH, Feutchinger J. Transition of premature infants from hospital to home life. Neonatal Network. 2012;31(4):207-214. http://dx.doi.org/10.1891/0730-0832.31.4.207 

  18. Kim AR, Tak YR. Maternal role developme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mothers of premature infa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08-320. http://dx.doi.org/10.4069/kjwhn.2015.21.4.308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ommunity-based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manual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cited 2017 May 23].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6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501&page1&CONT_SEQ317823 

  20. Parker S, Zahr L. The maternal confidence questionnaire. Boston. MA: Boston City Hospital; 1985. 

  21. Kim JS, Shin HS.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online community for parents of premature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4):344-351.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4.344 

  22. Ahn YM. The effects of the systemic follow up health care program on the health promotion and the risk reduction in premature infants and their moth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04;34(6):1129-1142. https://doi.org/10.4040/jkan.2004.34.6.1129 

  23. Kim YS, Park JW, Bang KS, Jung SR, Woo HS, Lee HJ, et al.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maternal child health services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2;13(2):280-291. 

  24. Diffin J, Spence K, Naranian T, Badawi N, Johnston L. Stress and distress in parents of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cardiac surgery. Early Human Development. 2016;103:101-107. http://dx.doi.org/10.1016/j.earlhumdev.2016.08.002 

  25. MacAllister L. Feeling, caring, measuring, knowing: the relational coconstruction of parenting knowledges. Children's Geographies. 2016;14(5):590-602. http://dx.doi.org/10.1080/14733285.2016.1157569 

  26. Lee IH. Construction a website for premature infant; Based on the survey of previous homep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2):210-218. https://doi.org/10.4094/jkachn.2009.15.2.210 

  27. Shieh SJ, Chen HL, Liu FC, Liou CC, Lin Y, Tseng HI, et al. e eectiveness of structured discharge education on maternal confidence, caring knowledge and growth of premature newborn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23-24):3307-3313.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0.03382.x 

  28. Bethell G, Kenny S, Corbett H. Enterostomy-related complications and growth following reversal in infant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Fetal and Neonatal Edition. 2016;31(1):285-287. http://dx.doi.org/10.1136/archdischild-2016-311126 

  29. Tachibana M, Nakayama M, Ida S, Kitajima H, Mitsuda N, Ozono K, et al. 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placenta in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children with or without postnatal catch-up growth. The Journal of Maternal-Fetal & Neonatal Medicine. 2016;29(6):982-986. http://dx.doi.org/10.3109/14767058.2015.10299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