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수 금오열도 연안 자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es Collected by a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the Geumo Islands, Yeosu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5, 2017년, pp.553 - 560  

김춘철 (해양수산과학원 서부지부 자원조성과) ,  한경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이성훈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유태식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uctuations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Jeollanam-do, Korea were investigated from 2002 to 2005. A gill net with entrances on both sides was used to collect a total of 469 individuals (55,180 g) of 3 orders, 18 families, and 28 spe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로 인하여 연안의 조간대 생물과 암초의 부착 생물 등에 악영향을 끼치며, 해양생물의 산란·서식장이 소멸됨으로써 연안 정착성 어족과 외해성 어족의 출현이 감소하므로 어류 군집구조 연구 등의 기초자료 확보가 시급하다(Shin, 2001). 따라서 이 연구는 금오열도 연안 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자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을 정략적으로 조사하여 이 종들의 연도별 양적변동 및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나아가 본 조사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는 살고 있는 장소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어류는 살고 있는 장소에 따라 크게 표층어류와 저서어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표층어류는 저서어류에 비해 유영력이 강하여 분포범위가 넓으며, 환경과 시·공간에 따른 변화가 심하여 정량 채집에 의한 어려움이 많은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적합한 어업통계자료가 없는 해역에서 어류의 종조성 변화와 양적 변화를 추정할 때는 저서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Lee, 1989; Lee, 1991; Lee and Kim, 1992; Lee, 1993; Lee and Hwang, 1995; Lee, 1996).
금오도 연안의 특징은? 그리고 이 일대는 청정해역으로 1981년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금오열도라 불리고 있다(Cho and Seo, 2000; Seo, 2004). 금오도 연안은 대부분이 암석으로 되어 있으며, 계절에 따라 대마난류, 중국대륙연안수, 남해연안수 등 다양한 수괴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어족 번식장으로 최적의 해양환경을 갖추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어류가 서식, 분포하는 천해의 어장이다(Kim, 1997).
연안오염이 연안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최근 기후 변화와 어장 환경의 변화, 도시화 및 임해공단의 건설에 의해 하천수, 공업 폐수 등 오염물질의 다량유입과 석유화학공단에 출입하는 국내·외 대형유조 선박들의 기름 유출사고로 인해 연안오염으로 해양생물의 산란·서식장의 환경 변화가 우려되고 있다(Lee, 2004). 이로 인하여 연안의 조간대 생물과 암초의 부착 생물 등에 악영향을 끼치며, 해양생물의 산란·서식장이 소멸됨으로써 연안 정착성 어족과 외해성 어족의 출현이 감소하므로 어류 군집구조 연구 등의 기초자료 확보가 시급하다(Shin, 2001). 따라서 이 연구는 금오열도 연안 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자망에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을 정략적으로 조사하여 이 종들의 연도별 양적변동 및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나아가 본 조사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자원생물학적 연구의 기초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len LG and Horn MH. 1975. Abundance, diversity and seasonality of fishes in Colorado Lagoon, Alamitos Bay, California. Estuarine Coastal Marine Sci 3, 371-380. https://doi.org/10.1016/0302-3524(75)90035-3. 

  2. Cho KS and Seo JM. 2000. Geological environment and petrochemical study of Geumo islands, Yeosu, Korea. J Sci Edu 25, 159-169. 

  3.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 Ji Sa Publishing Co. Seoul, Korea. 727. 

  4. Clarke KR and Warwick RM. 1994. Changes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Plymouth Marine Laboratory, Plymouth, UK, 144. 

  5. Cha SS and Park KJ. 1997.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with a bottom trawl in Kwangyang Bay, Korea. J Korean Fish Soc 9, 235-236. 

  6. Hwang JH, Yoo KH, Lee SH and Han KH. 2008.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Korean J Fish Aquat Sci 41, 39-47. https://doi.org/10.5657/kfas.2008.41.1.039. 

  7. Jeong HH, Han KH, Kim CC, Yoon SM, Seo WI, Hwang SY and Lee SH. 2004.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both sides fyke net in Dol-san, Yeosu. Korean J Ichthyol 17, 64-72. 

  8. Jeong JM, Yoo JT, Kim HY, Lee SK, Go WJ and Kim YH. 2015. Species Composition of bycatch fishes collected by a gape net with wings in the coastal waters of Dolsan-do, Yeosu, Korea. Korean J Fish Aqua Sci 58, 805-809. https://doi.org/10.5657/kfas.2015.0805. 

  9. Kim DS. 1997. Meterologic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Bull Fish Sci Inst Yeosu Nat'l Fish Univ 6, 31-38. 

  10. Kim JK and Ryu JH. 2017. Distribution map of sea fishes in Korea. Mapledesign, Busan, Korea, 365. 

  11. Lee DG. 2004.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by small scale trawl in Dolsan Yeosu. Master Thesis, Yeosu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12. Lee TW. 1989. Seasonal fluctu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in Cheonsu bay of the Yellow Sea, Korea. Bull Korean Fish Soc 22, 1-8. 

  13. Lee TW. 1991. Optimal sample Size-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Bull Korean Fish Soc 24, 248-254. 

  14. Lee TW. 1993. Spati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Bull Korean Fish Soc 26, 438-445. 

  15. Lee TW and Kim GC. 1992.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 The demersal fishes of Asan Bay. Bull Korean Fish Soc 25, 103-114. 

  16. Lee TW and Hwang SW. 1995. Tempor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from 1990 to 1993 - The demersal fish of Asan bay. Bull Korean Fish Soc 28, 67-79. 

  17.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Bull Korean Fish Soc 29, 71-83. 

  18. Lim YU. 2007.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ishes in coastal waters of Heuksan island, Korea. Ph.D. Thesis, Chonnam Nat'l Univ, Yeosu, Korea. 

  19.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02.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Jeonnam archipelago marine ranching program in Korea.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Report, 749. 

  20. Nelson JS. 2007.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624. 

  21. Oh SJ, Han KH, Koh SJ, Lee SH and Shin LS. 2014.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ill net fisheries in coastal water of Yeosu, Korea. Korean Fish Aquat Sci 50, 633-642. https://doi.org/10.3796/ksft.2014.50.4.633. 

  22. Seo KY. 2004.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coastal waters of Geumodo in Yeosu, Korea. Master Thesis, Yeosu Nat'l Univ, Yeosu, Korea. 

  23. Shin SS. 2001. Seasonal fluctu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fishesly in Dolsan. Master Thesis, Yeosu National University, Yeosu, Korea. 

  24. Sin KS, Han KH, Baek JI, Lee SH and Lee WK. 2015. Fluctuations i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both sides fyke net in Dol-san, Yeosu. Kor J Ichthyol 17, 64-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