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옹진군 어장관리해역 해제 및 변경 타당성 평가
Feasibility of Changing or Canceling Designated Mariculture Management Areas in Ongjin-gun,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0 no.5, 2017년, pp.576 - 588  

강성찬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형철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황운기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  심보람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김청숙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  이원찬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  홍석진 (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me of the mariculture grounds near Ongjin-gun, Korea, were designated as mariculture management areas in 2007. Areas are so designated when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mariculture ground deteriorates or there is an outbreak of hypoxia or harmful red tide that kills mariculture organisms. W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어장관리해역으로 지정된 옹진군의 4개 도서(장봉도, 백령도, 자월도, 영흥도)에서 수질 및 퇴적물 환경을 조사하였고, 선행 연구(Kim et al., 2013b) 및 인근 해역과 비교하여 연구 해역의 환경을 평가하였다. 또한 어장환경기준에 적용하여 어장관리해역 해제 및 변경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 2013b) 및 인근 해역과 비교하여 연구 해역의 환경을 평가하였다. 또한 어장환경기준에 적용하여 어장관리해역 해제 및 변경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옹진군의 지리적 특징은 어떠한가? 옹진군은 서해 5도의 북방한계선(NLL)에서 영흥도, 자월도, 북도권역을 잇는 서해 중부에 위치한 다도해역으로 황해 냉수 대의 영향을 받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한강, 임진강과 더불어 주변 갯벌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먹이원이 공급됨에 따라 지역 특성어종(홍어, 참조기, 꽃게 등)의 서식지 및 산란장으로 좋은 환경을 이루고 있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가 큰 해양특성으로 인해 갯벌이 넓게 발달되어 바지락, 참굴, 동죽 등 패류가 성장하기에 알맞은 환경이다(Ongjin-gun, 2008).
연안어장 환경의 악화로 인해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였는가? 하지만 시화 방조제 및 영흥 화력발전소 건설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갯벌 매립과 연안 산업공단 조성 등 지역 산업의 발전에 따라 주변 해역의 조류 흐름 변동과 퇴적 환경 변화가 뒤따르게 되었고, 다양한 육상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해 주변 해역에 위치한 양식장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Ongjin-gun, 2008). 연안어장 환경의 악화로 인해 어장의 생산성이 감소하고 수산물 품질이 저하됨에 따라 어장 환경을 보전하는데 적당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어장관리법 제 5조에 의거 어장관리해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옹진군 어장관리해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5개면 1,416 ha에 대해 2007년에 지정되었다.
옹진군의 해양특성으로 인해 어떠한 환경이 조성되었는가? 옹진군은 서해 5도의 북방한계선(NLL)에서 영흥도, 자월도, 북도권역을 잇는 서해 중부에 위치한 다도해역으로 황해 냉수 대의 영향을 받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한강, 임진강과 더불어 주변 갯벌에서 다양하고 풍부한 먹이원이 공급됨에 따라 지역 특성어종(홍어, 참조기, 꽃게 등)의 서식지 및 산란장으로 좋은 환경을 이루고 있다. 또한 조수간만의 차가 큰 해양특성으로 인해 갯벌이 넓게 발달되어 바지락, 참굴, 동죽 등 패류가 성장하기에 알맞은 환경이다(Ongjin-gun, 2008). 하지만 시화 방조제 및 영흥 화력발전소 건설과 같은 인공구조물에 의한 갯벌 매립과 연안 산업공단 조성 등 지역 산업의 발전에 따라 주변 해역의 조류 흐름 변동과 퇴적 환경 변화가 뒤따르게 되었고, 다양한 육상 오염물질 유입으로 인해 주변 해역에 위치한 양식장 환경이 악화되고 있다(Ongjin-gu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ang JH and Choi JY. 1998.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J Kor Soc Oceanogr 3, 149-157. 

  2. Choi M, Kim HC, Hwang DW, Lee IS, Kim YS, Kim YJ and Choi HG. 2013.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from shellfish farming in Yeoja bay and Gangjin Bay, Korea. Korean J Fish Aqua Sci 46, 424-436. http://dx.doi.org/10.5657/KFAS.2013.0424. 

  3. Choi M, Lee IS, Kim CS, Kim HC and Hwang DW. 2015. Distributions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s in surface sediments around a manila clam Ruditapes phillippinarum farming area in Gomso ba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8, 555-563. http://dx.doi.org/10.5657/KFAS.2015.0555. 

  4. Cho YS, Lee WC, Kim JB, Hong SJ, Kim HC and Kim CS. 2013.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assessment using sediment total organic carbon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 shellfish farms. J Kor Soc Mar Environ Safety 19, 430-438. http://dx.doi.org/10.7837/kosomes.2013.19.5.430. 

  5.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Sed Petol 27, 3-26. 

  6.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 Hemphill Publishing CO., Austin TX, U.S.A., 170. 

  7. Herbert RA. 1999. Nitrogen cycling in coastal marine ecosystems. FEMS microbio review 23, 563-590. https://doi.org/10.1111/j.1574-6976.1999.tb00414.x. 

  8. Hwang DW, Ryu SO, Kim SG, Choi OI, Kim SS and Koh BS. 2010.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along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148-158. http://dx.doi.org/10.5657/kfas.2010.43.2.146. 

  9. Hwang DW and Koh BS. 2012. Sedimentary and benth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macroalgal habitats of the intertidal zone in Hampyeong bay. Korean J Fish Aquat Sci 45, 694-703. http://dx.doi.org/10.5657/KFAS.2012.0694. 

  10. Hyun S, Chio JW, Choi JS and Lee T. 2003. Surface sediment characteristics and benthic environments in the mouth of Jinhae bay, Korea. J Kor Fish Soc 36, 700-707. http://dx.doi.org/10.5657/kfas.2003.36.6.700. 

  11. IFR (Institute of Fisheries Resources). 2013. Investigation report of shellfish mortality in Oe-ri and up-beol of Yeongjeungmyeon, Ongjin-gun, Incheon, Korea in 2013. Retrieved from http://fish.incheon.go.kr/posts/1083/10373?rnum7&curpage1 on Aug 4, 2017. 

  12. IFR (Institute of Fisheries Resources). 2016. The plan of sediment quality survey for the investigation of surf clam mortality. Retrieved from http://fish.incheon.go.kr/posts/1083/10378?rnum2&curpage1 on Aug 4, 2017. 

  13. Jang YL, Lee HJ, Moon HB, Lee WC, Kim HC and Kim GB. 2015.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area surrounding Tongyeong cage-fish farms. J Kor Soc Mar Environ Energy 18, 74-80. https://doi.org/10.7846/JKOSMEE. 2015.18.2.74. 

  14. Jeong DH, Shin HH, Jung SW and Lim DI. 2013. Variations and character of water quality during flood and dry seasons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sea,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1, 19-36. http://doi.org/10.11626/KJEB.2013.31.1.019. 

  15. Kang CK, Lee PY, Park JS and Kim PJ. 1993.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nearshore surface sedimen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26, 557-566. 

  16. Kim DH, Cho HS and Lee YS. 2005. The characteristic of point source load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to Gwangyang Bay, Korea. J Kor Soc Mar Environ Engin 8, 1-8. 

  17. Kim SY, Choi M, Hwang DW and Lee IS. 2013a. The characteristic of photosynthetic pigments distribution of the sediment in the shellfish farm. Kor J Malacol 29, 291-301. http://doi.org/10.9710/kjm.2013.29.4.291. 

  18. Kim SY, Kim HC, Lee WC, Hwang DW, Hong SJ, Kim JB and Kim CS. 2013b.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sediment in mariculture management area in Ongjingun, Korea. J Kor Soc Mar Environ Safety 19, 570-581. http://doi.org/10.7837/kosomes.2013.19.6.570. 

  19.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7. Past precipitation database. Retrieve from http://www.kma.go.kr/ weather/climate/past_table.jsp on Aug 14, 2017. 

  20. Kwon JN, Lim JH, Shim J, Lee J and Choi TJ. 2014.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J Kor Soc Mar Environ Energy 17, 212-223. http://doi.org/10.7846/JKOSMEE.2014.17.3.212. 

  21. Kwon KY, Moon CH, Lee JS, Yang SR, Park MO and Lee PY. 2004. Estuarine behavior and flux of nutr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 Kor Soc Oceanogr 9, 153-163. 

  22. Lim HS. 2000. Formation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es and nursery environment in coastal area. Korea aquaculture 12, 127-134. 

  23. Lim DI, Kim YO, Kang MR, Jang PK, Shin K and Jang M. 2007.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and limiting factor for primary production in semi-enclosed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9, 349-366. http://dx.doi.org/10.4217/OPR.2007.29.4.349. 

  24. Lim DI, Kang MR, Jang PG, Kim SY, Jung HS, Kang YS and Kang YS. 2008.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long mid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30, 379-399. http://dx.doi.org/10.4217/OPR.2008.30.4.379. 

  25. Lim DI, Choi HW, Kim YO, Jung HS and Kang YS. 2011. Concentration level and grading of water quality components (COD, DIN, DIP, Chlorophyll-a) in Korean coastal waters: a statistical approach. Ocean and Polar Res 33, 13-20. http://dx.doi.org/10.4217/OPR.2011.33.1.013. 

  26.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Official test criteria the marine environment. MOF, Busan, Korea. 495. 

  27.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09. Field survey report of Oyster farm in Jangbongdo, Ongjin-gun, Incheon, Korea. NFRDI, Incheon, Korea. 6. 

  28.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09. Investigation report of manila clam mortality in Seonjae-ri, Yeongheung-myeon, Ongjin-gun, Incheon, Korea. NFRDI, Incheon, Korea, 5. 

  29.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0. Field survey report of Oyster farm in Jawoldo, Ongjin-gun, Incheon, Korea. NFRDI, Incheon, Korea, 8. 

  30.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2012. Investigation report of oyster mortality in Jawoldo, Ongjin-gun, Incheon, Korea. NFRDI, Incheon, Korea, 5. 

  31.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2017. Annual monitoring report of marine environment around aquaculture area in Korea (2016). NIFS, Busan, Korea, 342. 

  32. Noh IH, Yoon YH, Kim DI and Park JS. 2006.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on the surface sediment and its origin in Gamak bay, Korea. J Kor Soc Mar Environ Engin 9, 1-13. 

  33. Ongjin-gun. 2008. A site selection of aquaculture and a reduction measures of clam dead in island of Ongjin-gun, Incheon. Ongjingun, Incheon, Korea, 572. 

  34. Ongjin-gun. 2015. Shellfish mortality report In: Investigation report of mass mortality of shellfish. Ongjin-gun, Incheon, Korea, 3. 

  35. Ryu SO, Kim JY and Chang JH. 2001.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and sedimentation rates on the tidal flat of Muan bay, southwestern coast, Korea. J Kor Earth Sci Soc 22, 30-39. 

  36. Ryu SO. 2003.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Est Coast Shelf Sci 56, 481-492. http://doi.org/10.1016/S0272-7714(02)00199-3. 

  37. Stein R. 1990. Organic carbon content/sedimentation rate relationship and its paleoenvironmental significance for marine sediments. Geo-Marine Letter 10, 37-44. 

  38. Yokoyama H. 2003. Environmental quality criteria for fish farms in Japan. Aquaculture 226, 45-56. https://doi.org/10.1016/S0044-8486(03)00466-6. 

  39. Yoon HS and Choi SU. 2006.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at of protothaca jedoensis in Gamak bay, Korea. Aquaculture 19, 7-13. 

  40. Yun SK. 2008.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rine aquafarm environment in Yeosu coast.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