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S 기반 대형 폐기물 발생량 측정 가능성 모색
Investigation of Measurement Feasibility of Large-size Wastes Based on Unmanned Aerial System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5 pt.3, 2017년, pp.809 - 820  

손승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정보센터) ,  유재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정보센터) ,  전형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정보센터) ,  임성하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사업실) ,  강영은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윤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정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난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대기질이나 수질, 생활 환경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이 발생하면 임시적환장으로의 이동이나 처리 등을 위해서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위성영상이나 폐기물의 원단위를 이용하여 발생량을 추정하고 있지만 그 정확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S를 기반으로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측정 및 정확도 평가를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UAS를 이용하여 폐기물 지역을 측정한 결과, 3차원 공간정보의 X, Y, Z RMSE 수치는 각각 0.022 m, 0.023 m, 0.14 m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기반으로 측정한 폐기물량은 약 $4,273,400m^3$로 도출되었다. 또한 과거부터 지형, 문화재 등 정밀한 측량에 사용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동일지역의 폐기물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값은 약 $4,274,188m^3$로 도출되었다. UAS 기반으로 도출한 폐기물량과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 UAS를 이용한 폐기물 발생량 측정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재해 폐기물이나 대형 폐기물 등의 환경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ize wastes generated from disasters etc. is always in demand. Large-size waste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the air quality, water quality, living environment and so on. When large-size wastes are generated, we must be able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S(Unmanned Aerial System)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측정하며 그 정확도 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UAV는 공중에서 비행하며 영상을 획득하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과 이로 인한 촬영 각도 등의 변화로 인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부터 지형, 문화재, 환경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지상 기반 3차원 스캔 기법을 통해 3차원 모형을 구축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측정해보고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과거부터 지상 LiDAR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AS(Unmanned Aerial System)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측정하며 그 정확도 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형 재난 발생 후에 적용 가능한 대응 기법 중 대형 폐기물 발생량의 측정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UAS(Unmanned Aerial System)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폐기물 발생량을 측정하며 그 정확도 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eica Scanstation P20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폐기물 지역의 3차원 점군을 획득하였으며 위치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지상기준점을 설치하여 GNSS 측량을 수행하였다. 지상 LiDAR를 통해 구축한 점군은 상대좌표이기 때문에 측량한 GNSS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오레퍼런싱(Geo-Referencing)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형 폐기물의 악역향은? 재난 등에서 발생하는 대형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은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대기질이나 수질, 생활 환경 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형 폐기물이 발생하면 임시적환장으로의 이동이나 처리 등을 위해서 발생량을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3차원 공간정보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비행 변수는? 폐기물 발생량 측정의 기반이 되는 3차원 공간정보의 품질은 UAV 비행 변수가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국내·외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비행 고도와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 개수, 영상의 중복도를 주요 비행변수로 선정하여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UAS란 어떤 시스템을 의미하는가? , 2016). 하지만 UAS란 UAV에 탑재한 위치측위기술(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관성측량기술(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파장대별 광학수치영상기술(CCD, Charge Coupled Device또는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이나 레이저스캐닝 기술로부터 취득한 영상을 컴퓨터입체영상해석기술로 해석하여 영상 내 피사체의 시공간정보를 탐측하거나 3차원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Lee, 2015; Yu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guera-Vega, F., F. Carvajal-Ramirez, and P. Martinez-Carricondo, 2017. Assessment of photogrammetric mapping accuracy based on variation ground control points number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Measurement, 98: 221-227. 

  2. Asari, M., S. Sakai, T. Yoshioka, Y. Tojo, T. Tasaki, H. Takigami, and K. Watanabe, 2013. Strategy for separation and treatment of disaster waste: a manual for earthquake and tsunami disaster waste management in Japan,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15(3): 290-299. 

  3. Brown, C., M. Milke, and E. Seville, 2011. Disaster waste management: A review article, Waste Management, 31(6): 1085-1098. 

  4. Chen, J.R., H.Y. Tsai, P.C. Hsu, and C.C. Shen, 2007. Estimation of waste generation from floods, Waste Management, 27(12): 1717-1724. 

  5. Coveney, S. and K. Roberts, 2017. Lightweight UAV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orthoimagery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data accuracy evaluation and potential for river flood risk mod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8(8-10): 3159-3180. 

  6. Coveney, S., A.S. Fotheringham, M. Charlton, and T. McCarthy, 2010. Dual-scale validation of a medium-resolution coastal DEM with terrestrial LiDAR DSM and GPS, Computers & Geosciences, 36(4): 489-499. 

  7. Cote J.F., R.A. Fournier, and R. Egli, 2011. An architectural model of trees to estimate forest structural attributes using terrestrial LiDAR,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6(6): 761-777. 

  8. Dijkstra, J.J., H.A. Sloot, and R.N.J. Comans, 2002. Process identification and model development of contaminant transport in MSWI bottom ash, Waste Management, 22(5): 531-541. 

  9. Hancock, S., K. Anderson, M. Disney, and K.J. Gaston, 2017. Measurement of fine-spatial-resolution 3D vegetation structure with airborne waveform lidar: Calibration and validation with voxelised terrestrial lid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88: 37-50. 

  10. Hu, Z.H. and J.B. Sheu, 2013. Post-disaster debris reverse logistics management under psychological cost minimiz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55: 118-141. 

  11. Jo, J.H., T.-H. Kim, S.-R. Lee, J.-E. Lee, T.-H. Kim, and S.-H. Jung, 2016. Optimal Management of Disaster Waste by its Properties Using GI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D.S. and S.-E. Hong, 2012. An Analysis on the Accuracy of Terrestrial Laser Surveying for Building 3D Cadast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6(1): 75-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W., H.-W. Son, and D.-I. Kim, 2016. Drone RemoteSensing Photogrammetry, Seoul: Goomibook. 

  14. Lee, Y.C., 2015. Assessing the Positioning Accuracy of High density Point Clouds produced from Rotary Wing Quadrocopter Unmanned Aerial System based Ima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2): 39-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esas-Carrascosa, F.J., M.D.N. Garcia, J.E.M. Larriva, and A. Garcia-Ferrer, 2016.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Flighy Parameters in the Gener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UAV) Orthomosaicks to Survey Archaeological Areas, Sensors, 16(11): 1838. 

  16. McLoughlin, D., 1985. A framework for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165-172. 

  17. Petak, W.J., 1985. Emergency management: A challenge for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5: 3-7. 

  18. Reinhart, D.R. and P.T. Mccreanor, 1999. Disaster debris management-Planning Tools.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Report. 

  19. Son, S.W., J.-H. Yoon, J.-H. Jo, T.-H. Kim, and H.-J. Jeon, 2016. Analysis of Disaster Response Technologies that Use Drones and Trend of Research.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port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Uysal, M., A.S. Toprak, and N. Polat, 2015. DEM generation with UAV Photogrammetry and accuracy analysis in Sahitler hill, Measurement, 73: 539-543. 

  21. Yoo, I.S., 2015. Disaster Planning in Korea, Hanyang Med Rev, 35(3): 157-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Yoo, Y.H., J.-W. Choi, S.-K. Choi, S.-K., and S.-H. Jung, 2016. Quality Evaluation of Orthoimage and DSM Based on Fixed-Wing UAV Corresponding to Overlap and GC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4(3): 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Yu, J.J., H.-S. Park, Y.-J. Yang, and D.-H. Jang, 2016.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UAS for Detecting Geomorphological Changes in Coastal Areas: A Case Study in the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3(4): 113-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Zhu, X., T. Wang, A.K. Skidmore, R. Darvishzadeh, K.O. Niemann, and J. Liu, 2017. Canopy leaf water content estimated using terrestrial LiDAR,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32: 152-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