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정보를 이용한 지질유산 등급분포도 작성 연구
Geological Heritage Grade Distribution Mapping Using GI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5 pt.3, 2017년, pp.867 - 878  

이수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자연연구실) ,  이선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모니터링센터)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평가모니터링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지구 환경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향후 지구 환경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지질유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지질유산의 특성상 지속적으로 보존 및 관리를 하지 않으면 훼손이 쉽고 복구가 어렵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지질유산이 공간적으로 다양하게 분포하고 실질적인 지질유산의 관리주체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훼손이 발생하고 있다. 지질유산의 공간적인 분포를 우선적으로 파악하여 지질유산의 통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마련된 지질유산에 대한 가치평가 기준을 통해 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수도권 지역의 실제적인 지질유산 등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연구지역인 수도권 일대의 지질유산 현황목록을 정리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해 마련된 가치평가 기준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였다. 설계된 항목을 통해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지도화하는 과정을 통해 지질유산 등급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지질유산 등급분포도 작성 결과 수도권 지역의 지질유산은 경기도 연천시(18.8%), 포천시(10.6%), 파주시(6.3%) 등 경기북부지역에 약 35% 이상이 존재하였으며, 인천광역시에 18.1%, 경기도 안산시 8.1%로 경기서부지역에 약 26.2%가 존재하였다. 지질유산의 지질시대는 신생대 제 4기가 1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지질유산의 공간 분포적 특성과 함께 지질학적 특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지속적으로 구축되고 있는 지질유산 데이터를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수립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질유산에 대한 정보가 공간적으로 통합 관리 될 수 있으며 관리 주체가 지질유산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통해 지질공원으로의 발전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에는 수도권 지역 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지질유산의 체계적인 구축 및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interest in geological heritage has been increased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onto predicting th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of it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past global environment.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ological heritage, it is easy to damage and 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술된 내용을 반영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정리된 지질유산에 대한 가치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공간정보를 이용한 지질유산 등급분포도를 작성하는 것으로, 연구지역은 수도권 일원이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한 수도권 일원의 지질유산 현황목록을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를 통하여 기초자료 수집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공간정보로 구축하는 과정과 등급분포도로 구축하는 것에 집중하고자 한다. 공간정보로 구축하는 첫 번째 과정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여 위치 정보와 속성정보를 입력하고, 공간 데이터베이스 특성을 고려하여 연계성을 검수한 후 최종적으로 지질유산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다.
  • 그러나 현재 인천시의 백령도 국가지질공원 인증은 본 연구에서 반영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수집 가능한 기존 문헌 자료로부터 연구지역의 지질유산 현황을 추출하고 공간정보로 전환하여 공간 분포 특성과 지질학적 특징을 함께 분석한 사례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국단위 지질유산의 공간정보 기반 관리 체계의 기초를 수립하였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수집 가능한 기존 문헌 자료로부터 연구지역의 지질유산 현황을 추출하고 공간정보로 전환하여 공간 분포 특성과 지질학적 특징을 함께 분석한 사례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전국단위 지질유산의 공간정보 기반 관리 체계의 기초를 수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의 대표적인 지체구조대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도권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성 퇴적암인 편마암, 편암, 규암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경기육괴와 임진강대로 이루어져 있고, 이는 한반도의 대표적인 지체구조대라고 볼 수 있다. 경기육괴는 주로 선캄브리아대 암체인 편마암, 편암, 석회암, 규암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도권 지역의 대부분이 경기육괴에 포함된다. 임진강대는 주로 탄산규산염암, 각섬암, 니질편마암, 편암, 규암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을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중국 랴오둥 방향으로의 마식령산맥이 북부를 이루며, 중국 방향으로의 광주산맥(명지산, 국망봉, 용문산 등)과 차령산맥이 남부 산지로 이어진다. 북부 산지와 남부 산지는 추가령 구조곡을 경계로 나뉘고 있다. 광주산맥과 서울 근교의 북한산, 도봉산 등의 산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박리작용으로 인한 기암절벽이 다수 존재하고 계곡이 깊은 특성이 있다. 북한산과 관악산 등은 중생대 중기인 쥐라기에 화강암질 심성암이 광범위하게 관입되어 형성하였으며, 철원 -연천 일대에는 백악기 중기- 말기에 해당하는 소규모 화산 암체와 퇴적암이 분포하고 있다. 백령도 일대에는 제3기 맨틀포획암을 갖는 현무암이 분출하여 소규모로 분포하며, 철원과 연천을 거쳐 임진강까지 한탄강을 따라 현무암 협곡을 만들었다(Cho et al., 2013).
지질기록의 의의는? 지구의 변화는 지구 환경의 다양한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진행되며 암권, 수권 및 기권과 같은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구 표면의 지각에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를 지질학적으로 지질기록 또는 지질유산이라고 한다. 따라서 지질기록은 과거 지구에서의 자연현상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이며 지구의 과거를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즉, 지구의 과거와 여러 자연현상, 그로 인한 변화 과정을 지니고 있는 지질유산은 지구 환경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앞으로의 지구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지질기록 또는 지질유산이란 무엇인가? 지구는 약 46억 년 전 탄생 후 지속적으로 변화해왔으며 현재까지도 지구의 변화는 끊임없이 진행 중인 상태이다. 지구의 변화는 지구 환경의 다양한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진행되며 암권, 수권 및 기권과 같은 지구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지구 표면의 지각에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이를 지질학적으로 지질기록 또는 지질유산이라고 한다. 따라서 지질기록은 과거 지구에서의 자연현상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이며 지구의 과거를 해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on, 1996. Geoconservation and the Tasmanian regional forest agreement, Hobart: Forestry Tasmania. 

  2. Bae, S.G. and C.O. Choo, 2016. Geological heritage of the Ulleungdo.Dokdo National Geopark and its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739-761. 

  3. Cho, K.-S., C.-B. Kim, S.W. Cho, W.-H. Ryang, D.H. Chung, C.W. Kwon, K.-J. Park, and D.-P. Hong, 2016. Geoheritages and geosites of the Gochang-gun and the Buan-gun areas,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691-707. 

  4. Cho, Y.S., O,-G. Choi, K.S. Woo, Y.D. Jang, M. Huh, Y.I. Hong, R. Kim, J.S. Park, and B.D. Choi, 2013.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national geological Heritag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3-894 (in Korean). 

  5. Dixon, G., 1996. Geoconservation: an international review and strategy for Tasmania, Miscellaneous Report, Parks & Wildlife Service, Tasmania, 101. 

  6. Doyle, P., G. Eaterbrook, E. Reid, E. Skipsey, and C. Wilson, 1994. Earth heritage conservartion, City Print (Milton Keynes) Ltd., U.K. 

  7. Jeon, Y., J.-G. Koh, J.-S. Ki, and S.J Lee, 2016. A case study on the geotrail revitalization in the Jeju Island Geopark,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527-538. 

  8. Kang, H.C., H.J. Kim, I.S. Paik, H. Cho, J.-S. Kim, S. Shin, D. Cheong, H.S. Lim, D. Shin, and C.H. Lee, 2016. Geological heritages of the candidate site for National Geopark around the west coast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Characteristics and valu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665-689. 

  9. Kang, K., H. Cho, H.J. Kim, S. Kim., M. Son, J.-S. Kim, and I.S. Paik, 2014. The value of the Busan National Geopark's geosites and geoheritages: a case study focused on geotrail,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0(1): 21-41. 

  10. Kim, H.-G., 2017. The geoheritage values of the geological outcrops distributed in the north coast of Deungnyangman, Jeollanamdo, The Jorunal of Korean Island, 29(1): 203-215. 

  11. Kwon, D.H., 2014a. Feasibility of developing the natural heritage of geological features and topography in Sado Island of Yeosu,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1(3): 35-48. 

  12. Kwon, D.H., 2014b. Granite Topography in Inwang Mountain, Seoul as an Excavation Site of Geological and Topographical Heritage, Journal of Photo Geography, 24(2): 97-1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S.J. and M.J. Lee, 2015. The research on the management plan of geological heritage in Korea using GIS,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4(4): 103-1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J., H.W. Lee, J.H. Kim, S.U. Han, H. Sagong, M.J. Lee, K. Kang, S.Y. Kim, J.-H. Ree, Y.B. Seong, D. Kim, J.-H. Lee, H.-C. Kang, H. Cho, S. Shin, B.J. Kang, S.J. Na, and Y.K. Chun, 2015. Discovery of geological heritag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construction of detailed criteria for assessment of valu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53-57 (in Korean). 

  15. Lee, S.J., Y.J. Lee, J.Y. Kim, and J.H. Lee, 2003. Strategy for the protection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3-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McBriar, M., 1995. Foreword. In assessing the significance of geological heritage: a methodology study for the Australian Heritage Commission (Joyce, E.B., ed.), Desktop Design and Copy Centre of the University of Melbourne. 

  17. Oh, C., B. Lee, S. Lee, M. Kim, B. Lee, and S. Choi, 2016. The tectonic evolution and important geoheritages in the Jinan and Muju area, Jeollabuk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2(5): 709-738. 

  18. Paik, I.S., S.J. Kim, M. Huh, S.J. Lee, H.J. Kim, and J.D. Lim, 2010. Touristic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s (Cretaceous dinosaur fossil sites), Mun Hwa Jae, 43: 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J.H. and D.K. Cheong, 2012. A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for geoherita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2): 163-1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Semeniuk, V. and C.A. Semeniuk, 2001. Human impacts on geoheritage features of the Swan Coastal Plain and coastal zone, Southwestern Australia, In Gondwana to Greenhouse: Australian Environmnetal Geoscience (ed.) V.A. Gostin. Sydney: Australian Ge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Incorporated. 

  21. Sohn, Y.K., K.S. Woo, C.W. Kwon, R. Kim, and Y. Jeon, 2009. Geoheritages and geomonitor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Jeju Island,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6): 751-7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