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생활시간 사용구조와 주관적 시간빈곤: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Life-Time Use of One-Person Households and Subjective Time Poverty in the Young Generation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5 no.5, 2017년, pp.451 - 463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과) ,  양진운 (한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creasing one-person households, especially in the young gene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reflecting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and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in life time use of one-person households aged 25 to 39, comparing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일한 연령대의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1인가구를 형성하는 경우와 부부가구로 살아가는 경우를 비교함으로써 가족정책적 함의도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이들이 경험하는 시간사용의 문제를 성차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시간빈곤을 결정하는 요인도 파악하여 이러한 경험적 결과를 토대로 요구되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와 실천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의 연령범위와 혼인상태에 대한 기준을 참조하되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위해 청년 1인가구의 연령을 25~39세로 하고 더불어 이혼이나 사별을 배제한 미혼의 혼인상태로 대상을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이 두 집단 모두 취업여부 변수를 추가로 고려하여 취업상태에 있는 청년세대만을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의 연령범위와 혼인상태에 대한 기준을 참조하되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위해 청년 1인가구의 연령을 25~39세로 하고 더불어 이혼이나 사별을 배제한 미혼의 혼인상태로 대상을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이 두 집단 모두 취업여부 변수를 추가로 고려하여 취업상태에 있는 청년세대만을 연구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 우선 시간일지자료를 통해 측정된 주요 생활시간 영역(개인필수생활시간, 의무시간(일, 학습, 가정관리), 여가시간(참여 및 봉사/교제 및 여가)을 측정하였다. 이 자료에서 시간사용 관련 변수는 평일과 휴일이 지닌 일반적인 시간사용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이 자료의 질문지영역에서는 성별, 연령, 조사요일, 거주지, 취업여부, 직업유형, 성역할태도, 월평균소득, 삶의 만족도, 시간사용만족도, 주관적 시간빈곤 등의 변수를 사용하였다.
  • 지금까지 청년 1인가구의 생활시간 구조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활시간 사용과 배분에 있어서 동년배 부부가구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성차를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청년세대 1인가구에 대하여 어떠한 가족정책적 접근이 요구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2인 이상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정책에서 혼자 살아가는 1인 가구를 배제하지 않고 포함할 경우 우리사회 가족정책의 방향 전환 필요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 이는 실상 여성이나 남성 개인, 또는 그 가족원들이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통해 사회를 경험하는 방식을 그대로 살필 수 있으며 동시에 그러한 경험이 낳은 총체적 결과물로서의 시간사용의 분배문제도 논의할 수 있다. 이에 다음에서 경제적 자원의 부족이나 결핍을 정의하는 빈곤의 문제를 시간자원으로 확장한 시간빈곤(time poverty)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 선행연구에 대해서도 정리하고자 한다.
  • 또한 전통적으로 생활시간 사용에서 성별이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을 많은 연구들이 지적해 왔음에도[45, 19, 18, 23], 청년 1인가구의 시간사용의 성차는 거의 규명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청년 1인가구의 성별 시간사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이들이 경험하는 시간빈곤을 중심으로 시간 사용의 부정적 측면을 결정하는 요인도 파악하고자 한다.
  • 시간사용에 대한 지속적 압박감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처럼 시간제한에 대한 압박감이 높아지면 궁극적으로 정서적 고갈의 만성화를 초래할 수 있다[4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시간빈곤의 개념을 사용하여 1인가구 시간사용에 따른 시간빈곤의 수준을 측정하고 그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년 1인가구의 생활을 이해하기에 적합한 자료인 통계청 생활시간조사의 원자료를 분석하여 청년 부부가구와의 비교를 통해 이들의 삶의 양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동일한 연령대의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1인가구를 형성하는 경우와 부부가구로 살아가는 경우를 비교함으로써 가족정책적 함의도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2인 이상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정책에서 혼자 살아가는 1인 가구를 배제하지 않고 포함할 경우 우리사회 가족정책의 방향 전환 필요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란 무엇인가? 최근 1인가구(one-person households)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설명하는 주요 키워드이자 하나의 사회문화를 이루는 주체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1인가구는 혼자 살림하는 가구, 즉 1인이 독립적으로 취사, 취침 등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구를 의미하는데[35], 2015년 우리나라의 1인가구 수는 520만 가구에 이르렀으며[36], 이는 지난 2005년 317만 가구 대비 약 62% 증가한 수준이다. 이러한 경향은 대표 가구유형의 변천에서도 보인다.
혼자 사는 젊은 세대를 무엇이라 부르는가? 혼자 사는 젊은 세대는 소위 ‘화려한 싱글’이나 ‘트렌드 세터(trend setter)’로 불리는 만큼, 자신의 만족과 행복을 중시하는 여가문화의 향유자이자 소비의 새로운 주체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여러 연구[26, 38, 53, 14]에서도 이들의 소비 특성이나 여가문화 향유의 수준과 방식 등이 다른 세대 1인가구와는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가장 흔한 가구유형이 1인가구가 이유는? 서구의 경우 당시 이미 1인가구의 비중이 20~30%를 기록하였으며 증가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11]. 국내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증가가 이혼과 사별, 우리나라 전통 효 사상의 쇠퇴, 경제활동참여율 증가, 가족의 부양의식 및 돌봄 기능의 약화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에서 기인한 것으로 진단되었으며[10, 32, 1, 16, 9], 특히 노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들을 복지 대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서의 연구가 많았다[52, 15, 24, 20, 33, 51]. 한편,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에서 차지하는 청년세대의 증가는 고학력,가치관의 변화에 따른 만혼과 비혼, 도시화, 고용시장의 불안정성, 한국사회에 작용하는 경쟁 심리와 과잉과시의 사회적 압력 등과 맞물려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41, 27, 2, 31, 50], 그 결과 청년세대가 결혼 지연, 포기, 거부의 변곡점에 서 있게 되었다는 사회적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hn, K. S. (2005).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couples and single households elderly. Journal of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 25(1), 1-19. 

  2. Ban, J. H. (2012).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one-person households. Labor Review, 85 , 55-67. 

  3. Bardasi, E. & Wodon, Q. (2006). Measuring time poverty and analyzing its determinants: Concepts and application to Guinea. MPRA Paper , 73, 75-95. 

  4. Brady, D. (2003). Rethinking the sociological measurement of poverty, Social Forces , 81(3), 715-752. https://doi.org/10.1353/ sof.2003.0025 

  5. Byun, M. R. (2015). Single-person household and urban policy in Seoul.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1(3) , 551-573. https://doi.org/10.20406/kjcs.2015.08.21.3.551 

  6. Byun, M. R., Shin, S. Y., & Choi, K. J. (2009). One-person households change Seoul. SDI Report, 30, 1-18. 

  7. Cha, K. W. (2006). Economic structure of male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4(1), 253-269. 

  8. Cha, S. E. (2010). Who is the busiest in Korea? A study on gender difference in time pressur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1), 27-49. 

  9. Chae, O. H. (2000). Home management performance and problem of rural elderly living alon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3), 85-97. 

  10. Chin, K. H. (2014). How to overcome the family crisis in Korea and the revival of filial piety. Journal of Adolescents and Filial Piety Culture, 23 , 97-117. 

  11. Cho, S. C. (2012). Metropolitan housing demand with single-personhousehold analysis of housing supp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12. Choi, S. B. (2014).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ultural participation of single household: in comparison to the multiplehousehold. Journal of Leisure Studies , 12(2), 1-24. 

  13. Choi, H. J. (2007). The effects of the attitude as to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on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among working married women. Family and Culture , 19(4), 75-102. 

  14. Chun, S. M. (2013). Spending pattern types and their determinants for one person households in Korea. Consumer Problems Studies, 44(3), 21-43. 

  15. Chung, G. H. (2015). Family life of older person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Forum, 192, 6-16. 

  16. Chung, K. B. (200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ublic Pension System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7. Joung, S. H. & Lim, E. J. (2014). A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of employed youth-single households. Financial Planning Review, 7(4), 1-19. 

  18. Coltrane, S. & Adams, M. (2008). Gender and families. United States: Rowman & Littlefiled Publishers. 

  19. Craig, L., & Mullan, K. (2010). Parenthood, gender and work-family time in the United States, Australia, Italy, France, and Denmark.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5), 1344-1361. https://doi. org/10.1111/j.1741-3737.2010.00769.x 

  20. Han, H. J., & Jung, S. H. (2013). Single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Review , 6(2), 35-62. 

  21. Ho, J. H. (2014). A study of marriage values system among Korean young adults across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Journal of Korean Demography, 37(4), 25-59. 

  22. Hong, S. C. (2015). A study on one-person households and their media consumptions.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16(3), 59-84. 

  23. Hochschild, A., & Machung, A. (1989). The second shift, working families and the revolution at home. New York: Viking Penguin. 

  24. Hwang, J. I., & Choi, Y. G. (2013, October). An analysis of the rural living condi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Paper presented at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Seoul, Korea. 

  25. Im, Y. S. (2016). The income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eholds in poverty. Health and Welfare Forum, 226, 90-103. 

  26. Kho, G. Y. (2014). One-person household changes the consumption pattern. LG Business Insight, 8, 2-16. 

  27. Kim, D. H. (2013). Analysis of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increase of single-youth households and government policy issu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25(3), 717-742. 

  28. Kim, H. (2016). Resolving time poverty in family resources management: a coaching approach in education.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2), 43-56. 

  29. Kim, H. J. (2015). A study on social exclusion of women singlehousehold. Journal of Women Studies, 25(2), 7-40. 

  30. Kim, H. Y. (2014). Floating families in Korea: focusing on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Society, 15(2), 255-292. 

  31. Kim, H. Y., Sun, B. Y., Chin, M. J., & Shagong, E. H. (2007). A survey on family consciousness and living conditions of single non-singlefamily households, Seoul: KWDI. 

  32. Kim, J. E. (2013). The heterogeneity of one-person household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Journal of Housing Policy Studies, 21(3), 61-78. 

  33. Kim, S. Y., & Lee, G. H. (2009).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ystems among single-elderly-households. Korean Journal of Research in Gerontology, 29(4), 1559-1575. 

  34. Klinbenberg, E. (2013). Going solo: The extraordinary rise and surprising appeal of living alone. New York: Penguin Books. 

  3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0). http://kostat.go.kr/portal/eng/surveyOutline/8/5/index.static 

  36. KOSIS (2016). Korean Social Trends 2016. https://kosis.kr/eng 

  37. Lee, B. H. (2014). The social engagement of people living alone at mid-life in Korea: A comparison with those of living togeth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4(3), 348-373. 

  38. Lee, E. M. (2013).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one-person households from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and statistics, SERI Econ Focus, 422, 1-10 

  39. Lee, J. S., & Lee, Y. S. (2014). How much time singletons spend on social activities?: A gender comparis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7(4), 1-24. 

  40. Lee, S. L., & Kim, G. O. (2009).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of the single households’ leisure activity. Consumption Culture Studies, 12(3), 105-123. 

  41. Lee, Y., & Han, J. (2013). The ri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KIET Industrial Economic Review, 18(4), 16-28. 

  42. Noh, H. J. (2013). Women's social roles and poverty. Feminism Research , 13(2), 1-34. 

  43. Noh, H. J. (2017). Meaning of time poverty and time inequality. Monthly Welfare Trend, 225, 5-13. 

  44. Noh, H. J., & Kim, K. S. (2010). Double poverty of time and income.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2), 159-188. 

  45. OECD (2016). OECD Employment Outlook; Hours worked. 

  46. Oh, H. E. (2017). Poverty of both time and income in householders. Social Welfare Policy, 44(1), 161-185. 

  47. Wodon, Q., & Beegle, K. (2006). Labor shortages despite underemployment? Seasonality in time use in Malawi. MPRA Paper, 73. 

  48. Rudd, M., Vohs, K., & Aaker, J. (2012). Awe expands people's perception of time, alters decision making, and enhances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 23(10), 1130-1136. 

  49. Shin, M. K. (2014).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 of one-person households. Financial Planning Review, 7(1), 1-24. 

  50. Son, S. Y. (2005). Labor experiences and dilemma of highly-educated professional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Women Studies, 21(3), 67-97. 

  51. Song, Y. J. (2007). Characteristics of the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during widowhood- regional distributi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nts of living arrangement.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8(1), 147-160. 

  52. Song, Y. S. (2015). Actual condition and policy improvement plan of single female elderly women. Ewha Gender Law Studies , 7(2), 33-69. 

  53. Sung, Y. A. (2013). Cluster analysis for the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s of one-person households of different age groups. Journal of Customer Studies, 24(3), 157-181. 

  54. Szollos, A. (2009). Toward a psychology of chronic time pressu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review. Time & Society, 18(2-3), 332-350. 

  55. Wajcman, J. (1998). Managing like a man: Women and men in corporate management. Cambridge, MA: Policy Press. 

  56. Woo, M. H., Lee, M. J., & Choi, S. B. (2015). A study on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valu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oneperson household: Focusing on comparisons with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Journal of Korean Society Studies, 16(1), 201-231. 

  57. Yeo, Y. G., & Yang, S. J. (2001).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of various household type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2(4), 65-81. 

  58. Yoon, S. Y.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ingle people time use and leisure behavior: A comparison of single people an unmarried group and a married group.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6), 209-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