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FN 매질에 대한 등가연속체 유동모델의 적용 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Equivalent Continuum Flow Model in DFN Media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7 no.5, 2017년, pp.303 - 311  

이다혜 (부경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엄정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양한 기하학적 속성을 갖는 총 72개의 DFN 블록에 대하여 DFN 유동모델과 등가의 수리상수를 사용한 연속체 모델을 각각 적용하여 두 결과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DFN을 연속체로 가정한 이론적 블록수리전도도와 DFN 유동모델로 산정한 블록수리전도도 사이의 상대오차(ER)가 0.2 이하인 DFN 조건에서 두 접근법 사이에 강한 선형 관계를 이루며 두 결과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DFN 매질에 대한 연속체 유동해석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양한 DFN 조건을 갖는 지중 원형공동에서의 지하수 유입에 대한 모의 수치실험이 총 48회 수행되었다. 일정한 수리간극의 DFN 매질에 대한 등가연속체 유동모델은 유효한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수리간극 변화로 인하여 이방성이 증대되면 DFN 유동모델에 의한 결과에 비하여 과대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from DFN flow model and equivalent continuum flow model were conducted on total of 72 DFN blocks having various fracture geometry and domain size. A strong linear relation seems to exist between the two approaches under condition that normali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FN 블록에 대한 연속체 해석 조건 및 방법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속성을 갖는 DFN 블록에 대하여 DFN 유동모델과 등가의 수리상수를 사용한 연속체 모델을 적용하여 두 결과 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중 공동에 대한 모의 수치실험을 수행 하여 상기 두 접근법에 의한 원형공동 내부로의 유입량을 비교하고 절리의 기하학적 조건에 따른 연속체 해석 결과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이차원 DFN 블록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평가하기 위해서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 변화에 따른 이방적 등가수리상수를 사용하여 연속체 유동모델에 의한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실험에서 사용한 DFN 의 기하학적 속성은 선행연구(Han and Um, 2015)의조건과 동일하다.
  • 본 연구는 절리성 암반에 대한 연속체 유동해석의 조건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속성을 갖는 이차원 DFN 블록에 대하여 DFN 유동모델과 등가의 수리상수를 사용한 연속체 유동모델을 적용하여 두 접근법 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치밀한 결정질의 절리성 암반에서 연속체 유동해석이 가능한 조건은 해석영역의 크기가 REV 이상이며 DFN을 연속체로 가정한 이론적 블록수리전도도와 DFN 유동모델로 산정한 블록 수리전도도 사이의 상대오차(ER)가 0.
  • 현재 현장의 지중 공동에 대한 지하수의 유입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속체 유동해석을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DFN 유동해석 결과와의 차이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절리성 암반에 대한 등가수리상수를 사용한 연속체 유동해석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지중 공동에서의 지하수 유입에 대한 모의 수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치밀한 결정질의 절리성 암반에 위치한 지중 공동에서 지하수의 유입은 절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현재 현장의 지중 공동에 대한 지하수의 유입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속체 유동해석을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DFN 유동해석 결과와의 차이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제 현장의 절리가 갖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Snow(1965)는 절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고정 좌표계에서 임의의 방향성과 간극을 갖는 무한 길이의 단일 절리에 대한 수리전도도텐서를 수학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절리연결망에 대한 수리전도도텐서는 개별 절리로부터 얻은 수리전도도텐서 성분의 합으로 결정하였다. 실제 현장의 절리는 유한의 연장성을 갖으며 주위의 다른 절리와 연결되어야만 유체의 유동 통로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절리연결망의 수리전도도텐서를 단순히 개별 절리의 수리전도도 성분의 합으로 정의하 기에는 무리가 있다. Rocha and Franciss(1977)는 Snow (1965)의 해석 기법을 보정하는 경험적인 현장 기법을 제안하였지만 절리의 기하학적 속성을 고려하지 못하 였다.
절리성 암반에서 유체의 흐름을 연구할 때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무엇인가? 절리성 암반에서 유체의 흐름을 연구할 때 고려해야 하는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절리연결망이 전통적인 수리수문학에서의 다공성 매질과 유사하게 취급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즉, 절리연결망 시스템에 대하여 등가의 수리상수에 의한 연속체 모델을 수립하고 초기 및 경계 조건을 부여하여 유체유동 해석을 수행할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그동안 관련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이끌었다.
DFN 블록에 대한 연속체 해석 조건 및 방법의 가이드라인의 현장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해 어떤 실험을 하였는가? 본 연구는 DFN 블록에 대한 연속체 해석 조건 및 방법의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속성을 갖는 DFN 블록에 대하여 DFN 유동모델과 등가의 수리상수를 사용한 연속체 모델을 적용하여 두 결과 간의 상관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중 공동에 대한 모의 수치실험을 수행 하여 상기 두 접근법에 의한 원형공동 내부로의 유입량을 비교하고 절리의 기하학적 조건에 따른 연속체 해석 결과를 고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Han J., 2016,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fractured rock masses through 2-D DFN fluid flow modeling,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04p. 

  2. Han, J. and J. Um, 2015, Characteristics of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of 2-D DFN system according to block size and fracture geometry, Tunnel & Underground Space (J.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 25, 450-461. 

  3. Han, J. and J. Um, 2016, Effect of joint aperture variation on hydraulic behavior of the 2-D DFN system, Tunnel & Underground Space (J.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 26, 283-292. 

  4. Long, J.C.S., J.S. Remer, C.R. Wilson and P.A. Witherspoon, 1982, Porous Media Equivalents for networks of Discontinuous fractures, Water Resour. Res. 18.3, 645-658. 

  5. Oda, M., 1985, Permeability tensor for discontinuous rock mass, Geotechnique, 35, 483-495 

  6. Rocha, M. and F. Franciss, 1977, Determination of permeability in anisotrophic rock masses from integral samples, Structural and Geotechnical Mechanics, edited by W. J. Hall, Prentice-Hall, New York, 178-202. 

  7. Snow, D. T., 1965, A parallel plate model of fractured permeable medi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31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